도산서원은 퇴계 이황 선생이 도산서당을 짓고 유생을 교육하며 학문을 쌓던 곳이다.
퇴계 이황(1501∼1570) 선생은 주자학을 집대성한 유학자로 우리나라 유학의 길을 정립하면서 백운동서원의 운영, 도산서당의 설립으로 후진양성과 학문연구에 전력하였다. 중종, 명종, 선조의 지극한 존경을 받았으며 일본 유학의 부흥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도산서원은 조선 선조 7년(1574) 그의 학덕을 추모하는 문인과 유생들이 상덕사(보물 제211호)란 사당을 짓고 전교당(보물 제210호) 동·서재를 지어 서원으로 완성했으며, 선조 8년(1575) 국왕에게 이름을 받아 사액서원이 되면서 영남지방 유학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 서원의 건축물들은 민간인들의 집처럼 전체적으로 간결, 검소하게 꾸며 퇴계의 품격과 학문을 공부하는 선비의 자세를 잘 반영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전문설명
도산서원은 원래 해동주자< 海東朱子 >라 일컫는 퇴계< 退溪 > 이황< 李滉 >이 도산서당< 陶山書堂 >을 짓고 유생< 儒生 >을 교육하며 학문을 쌓던 곳으로 조선< 朝鮮 > 선조< 宣祖 > 7년(1574) 그의 학덕< 學德 >을 추모< 追慕 >하는 문인< 門人 >과 유림< 儒林 >들이 상덕사 < 尙德祠 >(보물 제211호)란 사묘< 祠廟 >를 지어 그를 향사< 享祀 >하였고 전교당 < 典敎堂 >(보물 제210호)과 동< 東 >·서재< 西齋 >를 지어 서원< 書院 >으로 완성하였으며 선조 8년(1575) 사액< 賜額 >을 받음으로써 영남유학< 嶺南儒學 >의 총본산이 되었다. 퇴계 이황(1501∼1570)은 대사성< 大司成 >, 단양< 丹陽 >·풍기군수< 豊基郡守 >, 공조< 工曹 >·예조판서< 禮曹判書 >, 우찬성< 右贊成 > 등을 거쳐 양관대제학< 兩館大提學 >을 지냈으며 주자학< 朱子學 >을 집대성< 集大成 >한 대유학자< 大儒學者 >로 동국유학< 東國儒學 >의 도통< 道統 >을 정립< 定立 >하면서 백운동서원< 白雲洞書院 >의 사액, 도산서당의 설립으로 후진양성과 학문연구에 진력하였다. 그의 학문과 사상은 그의 시문< 詩文 >과 더불어 동방도학< 東方道學 >의 정수< 精髓 >이자 중종< 中宗 >·명종< 明宗 >·선조< 宣祖 >의 지극한 존경을 받았으며 일본< 日本 > 유학< 儒學 >의 부흥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이 서원은 정문을 들어서면 우측에 도산서당이 있고 좌측에는 농운정사< 瀧雲精舍 >가 있으며, 그 뒤로 올라가 진도문< 進道門 >을 지나면 전적< 典籍 >을 소장< 所藏 >한 동·서의 광명실< 光明室 >이 있고, 그 뒤로 서원의 주 건물로 전교당과 동·서재가 있다. 또한 전교당 뒤로는 퇴계의 신위< 神位 >를 모신 상덕사가 있고 주변에는 『도산12곡< 陶山十二曲 >』의 판목< 板木 >이 소장된 장판각< 藏板閣 >이 있으며 이 외에 고사< 庫舍 >, 주방< 廚房 >, 유물전시관< 遺物展示館 >(옥진각< 玉振閣 >)이 있다. 이 서원의 건축물들은 당시 민간사가< 民間士家 >의 사저양식< 私邸樣式 >을 따라 전체적으로 간결, 검소하게 꾸며 퇴계의 품격< 品格 >과 위학자세< 爲學姿勢 >를 잘 반영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도산서원전경 전경 상덕사 도산서원강당 광명실 정면 광명실 삼문 상 고직사 상덕사 정면 역락서재 원경 장판각 내부 장판각 전경 전사청 천연대 현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