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제22대 임금이었던 정조(재위 1776∼1800)의 초상화를 모셔놓고, 해마다 제사지내던 건물이다. 23대 임금 순조는 아버지 정조의 지극한 효성을 본받기 위하여 순조 1년(1801)에 수원부의 행궁 옆에 건물을 짓고 화령전이라 하였다.
처음 지어질 당시의 화령전은 정조의 초상화를 모셔놓은 정전인 운한각을 비롯하여, 이안청·재실·전사청·향대청·제기고·외삼문·내삼문·중협문이 있었다. 이 중 남쪽에 있었던 향대청과 제기고 건물은 남아있지 않다. 정전 현판의 글씨는 순조가 직접 쓴 것이다.
이곳에 속하는 건물들은 대부분이 정전인 운한각의 건축규범에 따라 지어졌다. 특히 이안청은 지붕이 있는 복도식으로 정전과 연결이 되어있어, 눈이나 비가 올 때도 젖지 않도록 하였다.
순조는 이곳에서 노인들을 모아놓고 잔치를 베풀기도 하였으며, 직접 정조가 태어난 탄신일과 돌아가신 납향일에 제향을 지내기도 하였다. 제향은 1920년 일본인에 의해 정조의 초상화가 창덕궁으로 옮겨질 때까지 계속되었다.
궁궐에 지어진 다른 영전들과는 달리, 수원에 세워진 화령전은 대칭에 의한 격식과 기능에 따른 영역의 구분이 확보된 대표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몇 채의 사라진 건물을 제외하면 비교적 좋은 상태로 보존되어 당시의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전문설명
이곳은 조선 순조< 純祖 >가 부왕인 정조< 正祖 >의 어진< 御眞 >을 봉안하고, 부왕의 지극한 효성을 본받기 위하여 순조 원년(1801)에 지은 건물이다. 조선조 말기까지 제조< 提調 > 위장< 衛將 > 이하의 관리를 두고 수원유수< 水原留守 >와 수원판관< 水原判官 >이 관리토록 하여 해마다 제향< 祭享 >을 드리던 곳이다. 순조는 화산릉< 華山陵 >을 참배하고 돌아가다 이곳에 들러 정전< 正殿 >인 운한각< 雲漢閣 > 북쪽 풍화당< 風化堂 >에 노인들을 모아 시회< 詩會 >와 주연을 베풀어 경로사상을 고취하기도 하였다. 정조의 어진은 한일합방 직전에 창덕궁 으로 옮겨 봉안하던 중 일제강점기에 분실되었는데, 1992년 11월 수원시에서 새로 복원하여 봉안한 것이다.
화령전
운한각 정조대왕초상화 외삼문 내삼문 현판 편액 하마비 정조대왕초상화 운한각과 이한청 이한청 풍화당 중협문 북도각 신도 운한각 배면 운한각 전경 운한각 이안정 측면 제정1 제정2 풍화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