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국가무형문화재

중요무형문화재 제41호 가사(歌詞)

오늘의 쉼터 2008. 2. 10. 22:59


종     목

국가무형문화재 제41호

명     칭가사 (歌詞)
분     류 무형문화재 / 전통 공연·예술 / 음악
수량/면적

개인

지 정 일

1971.01.08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정경태. 이양교

관 리 자정경태. 이양교

일반설명

가사는 우리나라 전통 성악곡의 한 갈래로, 가사체(산문에 가까운 문체)의 긴 사설(글)을 담은 장편 가요를 일컫는다. 언제 발생되었는지는 정확하지 않으나 여러 가사집의 기록으로 미루어 보아 조선 영조(재위 1724∼1776) 이후부터 불리기 시작했으리라 추측된다.

오늘날까지 전래되고 있는 곡은 백구사, 죽지사(건곤가), 황계사, 어부사, 춘면곡, 상사별곡, 길군악(노요곡), 권주가, 수양산가, 처사가, 양양가, 매화타령(매화가) 등 12곡이며, 이를 12가사라고 한다. 이 곡들의 작사자나 작곡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한말에 전통이 성립된 것으로 보고 있다.

가사의 사설은 매우 길면서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창법상 여러 가지 특징과 음을 배열하는 방법이 명확하지 않다. 사설에 따라서 가락이 조금씩 다르며, 조바꿈이나 반복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사용되는 장단을 보면 백구사, 죽지사 등 8곡은 6박인 도드리장단이고, 상사별곡, 처사가, 양양가는 5박장단이며, 권주가는 일정한 장단이 없다. 반주없이 혼자 부르는 것이 원칙이지만, 피리, 해금, 대금, 장구 등으로 반주를 해도 무방하다. 가사의 반주법은 ‘수성(隨聲)가락’이라 하여 노래가락에 따라 반주한다.

가사는 형식이 자유로워 감정이나 자연미를 표현하기에 좋고, 일반적인 노래라기 보다는 전문가의 노래라 할 수 있으며, 평화스러움과 향토적인 멋이 느껴지는 고유음악이다.


전문설명

 

가사는 긴 가사체의 사설(辭說)을 가곡이나 시조와 같은 정가조(正歌調)로 부른 것을 말한다.

가사는 원래 통절형식(通節形式)의 장편가사를 얹어 부르는 것이지만, 뒷소리가 붙는 짧은 장절형식도 있다. 단가 즉 시조와 같은 짧은 시가가 아닌 장편가사체는 고려의 가요에도 보이지만 현재 음악으로 전승되는 것은 없다.

조선중기에 엮은 『악장가사 (樂章歌詞) 』와 영조 때 엮은 『청구영언 (靑丘永言) 』과 같은 많은 가사집에 여러 사설이 적혀 있지만 지금까지 전승되어 오는 것은 백구사(白鷗詞), 죽지사(竹枝詞), 건곤가(乾坤歌), 황계사(黃鷄詞), 어부사(漁夫詞), 춘면곡(春眠曲), 상사별곡(相思別曲), 길군악(노요곡 路謠曲), 권주가(勸酒歌), 수양산가(首陽山歌), 처사가(處士歌), 양양가(襄陽歌), 매화가(梅花歌 매화타령) 등 12종이다.

백구사, 죽지사, 황계사, 어부사, 춘면곡, 상사별곡, 길군악, 권주가 등 8곡의 창은 조선 말기 가객 하규일(河圭一)이 전한 것이며 수양산가, 처사가, 양양가, 매화가 등 4곡의 창 역시 조선 말기의 가객 임기준(林基俊)이 전한 것이다. 이 가사는 이병성(李炳星) 이주환(李珠煥)에게 전해졌다. 십이가사(十二歌詞)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고 이주환이 보유자로 인정받았으나 곧 작고하여 이병성에게 배운 정경태와 이주환에게 배운 이양교가 보유자로 인정되었다.

가곡은 5장형식으로 일정한 형식이 있지만 가사는 통절형식이 많고 장절형식도 있어서 일정한 형식이 없다. 가곡은 남여창의 구별이 있으나 가사는 이에 대한 구별이 없다. 가곡은 우조와 계면조의 두 가지 조로 엄격히 구별되어 곡이 짜여 있으나, 가사의 선율은 계면조가 주류를 이루고 대목에 따라 평조적인 선율이 섞여 나온다. 가곡에는 현악기와 관악기가 고루 섞여 편성된 관현반주가딸리고 반주곡이 정해져 있으나 가사에는 피리, 대금, 해금, 장고로 반주하며 각 악기들은 제창(齊唱)에 가까운 가락을 연주한다.

가사에 쓰이는 장단을 보면 백구사, 죽지사, 황계사, 어부사, 춘면곡, 길군악, 수양산가, 매화가는 6박 장단인 도드리장단이고 상사별곡, 처사가, 양양가는 5박 장단이며 권주가는 무장단이다. 가사에는 가곡과 같은 화평정대한 가락과 향토잡가에서 보이는 향토적인 토리 도 끼어 있고, 멋스런 거드렁성이 있는 것도 있으며, 속목을 쓰기도 하여 가곡에 비하여 향토적인 맛이 있다.




가사(정경태)

가사

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