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불상의 머리는 후대에 새롭게 붙여 놓은 것으로 발견 당시에는 몸통과 대좌만 있었다. 불상이 앉아 있는 대좌(臺座) 역시 원래 불상과 같이 있던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비록 원래의 모습이 많이 없어지고 보존 상태도 그리 좋지 못하나 세부의 조각 수법이 우수하고 안정된 자세를 취하고 있다.
양 어깨에 걸쳐 입고 있는 옷은 소매 하나까지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하였고, 짤막하게 이어진 옷주름 역시 활달한 모습이다. 오른손을 무릎 위에 올리고 손끝이 땅을 향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것은 악귀를 물리친다는 의미의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이다.
비록 불상의 신체만 남아 있지만 균형 잡힌 자세나 둥글게 처리된 어깨, 부드럽게 흘러내린 옷주름 등 힘있고 사실적인 모습을 통해 이 작품이 통일신라 후기의 것임을 알 수 있다.
전문설명
이 불상은 광배(光背)나 대좌(臺座)는 물론 머리까지 잃어버린 채 몸체만 남아있던 석불좌상이다.
신체는 결가부좌(結跏趺坐)한 모습의 안정감있는 자세, 당당한 가슴, 유려하게 흘러내린 옷주름 등 신체 각 부분의 세부표현이 생동감이 넘치고 세련된 점에서 통일신라(統一新羅) 불상(佛像)의 사실적인 작풍이 잘 묘사되고 있다. 만약 당시의 머리까지 갖추었다면 보다 자비롭고 우아한 모습으로 중생들을 교화하고 있는 우수한 불상으로 높이 평가 될 수 있을 것 이다.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 석불좌상의 상반신(양 어깨와 후보된 머리)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