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 후기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실상사 창건 당시부터 지금까지 보존되어 오고 있는 유명한 철불이다. 통일신라 후기에는 지방의 선종사원을 중심으로 철로 만든 불상이 활발하게 만들어졌는데, 이 불상 역시 한 예로서 당시의 불상 양식을 잘 표현하고 있다.
머리에는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기교있게 붙여 놓았고, 정수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아담한 크기로 자리잡고 있다. 귀는 그런대로 긴 편이고, 목에 있는 3줄의 주름인 삼도(三道)는 겨우 표현되고 있다. 좁아진 이마, 초생달 모양의 바로 뜬 눈, 다문 입 등의 근엄한 묘사는 이전의 활기차고 부드러운 모습과는 판이하게 다르다. 어깨선이 부드럽고 가슴도 볼륨있게 처리되었지만 전반적으로 다소 둔중한 느낌을 주며, 양 어깨에 모두 걸쳐 입은 옷 역시 아래로 내려올수록 무거운 느낌을 준다. 옷주름은 U자형으로 짧게 표현되고 있는데 이것은 당시에 유행하던 옷주름 표현기법으로 비교적 자연스러운 모습이다.
이상과 같은 특징을 지닌 실상사 철제여래좌상은 긴장감과 활력이 넘치던 8세기의 불상이 다소 느슨해지고 탄력이 줄어드는 9세기 불상으로 변화하는 과도기적인 작품이라는 점에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전문설명
이 불상은 신라 선종사찰(禪宗寺刹) 가운데 초기에 창건된 실상사의 본존불상(本尊佛像)으로 창건조사(創建祖師)인 홍척국사(洪陟國師) 내지 2대조사인 수철국사(秀澈國師)이래 수많은 사람들의 귀의(歸依)를 받아온 부처이다.
이 불상은 신라하대인 9세기 때 지방의 선종사원을 중심으로 활발히 만들기 시작한 철불상 가운데 그 최초의 예란 점에서 크게 주목되고 있다. 그뿐 아니라 이 철불상은 9세기 전반기 불상양식을 잘 표현하고 있는 대표작으로 중요시 된다. 큼직한 육계(肉계), 촘촘한 나발(螺髮), 근엄하면서도 박력있는 얼굴, 당당한 가슴과 잘쑥한 허리 등은 신라중엽 불상의 이상적 사실주의 양식을 잘 계승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통견(通肩)의 불의(佛衣)도 얇고 탄력있게 표현하여 불상기법(佛像技法)과 함께 불상의 격을 잘 보여주고 있다. 오른손을 들고 왼손을 내린 9품인 두 손은 새로 찾아낸 원래 철제손 그대로 1986년도에 복원한 것이다. 무릎 아래부분 역시 원래 모습대로 복원한 것이다.
남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 남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