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가가 설법하는 장면인 영산회상도를 그린 괘불이다.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대형 불교그림을 말한다.
길이 10.4m, 폭 6.4m 크기의 이 괘불은 본존불인 석가를 중심으로 양옆에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배치되어 있다. 화면 중심에 꽉 차게 배치되어 있는 석가는 얼굴이 둥글고 풍만한 모습에 상체는 짧지만 당당하고 우람하게 표현되었다. 두 어깨에 걸친 옷은 중후하게 묘사하였는데, 가슴을 과감히 노출시킨 점이 눈에 띈다. 옷은 붉은색과 녹색으로 채색하였고 옷깃에도 변화를 주었으며 전면에 걸친 꽃무늬 장식이 밝고 선명해 보인다.
석가 좌우에 있는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은 연꽃가지를 들고 서 있다. 본존보다 약간 작은 신체, 화려한 보관, 둥근 얼굴, 정면을 향한 자세 등이 매우 당당하고 화려하며 본존 뒤로 물러서게 배치해 원근감을 나타냈다. 청색, 하늘색, 연분홍색 등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복잡하고 화려한 꽃무늬와 장신구가 보살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보살의 머리 위에는 석가의 제자인 아난, 가섭을 비롯해 여러 불상이 그려져 있다.
조선 경종 2년(1722)에 승려화가인 의겸(義謙) 등이 참여하여 제작된 이 괘불은 석가불, 문수보살·보현보살을 화면 가득 배치한 구도, 당당하고 건장한 체구, 둥글고 원만한 얼굴, 화려하고 밝은 색채와 꽃무늬 장식 등에서 18세기 초반의 불화 가운데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된다. 석가·문수·보현의 삼존불입상이라는 점에서 예천 용문사의 괘불도와 비교되며, 의겸의 작품 가운데 가장 우수한 것이라 보여져 불교회화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되는 매우 가치있는 작품이다.
전문설명 이 괘불도는 높이가 10.4m나 되는 대형으로 거대한 화면에 삼존불입상을 가득 채우고 있어서 더욱 장대하게 보인다.
화면 중심에 꽉차게 배치한 본존불은 키형 광배를 배경으로 정상 계주에서 흰빛이 위로 뻗치고 있고 육계는 팽이형을 하고 있다. 얼굴은 둥글고 풍만한 원만상을 하고 있어 쌍계사 팔상전 영산회상도 석가불의 계통을 따르고 있는데, 상체는 짧은 편이지만 어깨가 넓고 가슴이 당당하며 하체 역시 우람하고 건장한 모습을 하고 있다. 두 어깨에 걸친 불의는 중후한 편으로 가슴을 과감하게 노출시킨 점이 눈에 띄며, 내의는 붉은색과 녹색으로 채색되고 하의는 연한 분홍색이며 옷깃도 변화를 주어 전면에 걸쳐 묘사된 꽃무늬들과 함께 밝고 선명한 색감을 강조하고 있다.
거의 흡사한 모습의 좌·우 보살상은 불상보다 약간 작은 신체, 화려한 보관, 둥근 얼굴, 불의같은 중후한 천의, 정면을 향한 자세 등에서 당당하면서도 화려한 보살상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특히 천의의 채색에 코발트 계통의 청색과 연한 하늘색, 아름다운 연분홍색 등 화려한 색감을 다양하게 나타내었고 복잡하고 화려한 꽃무늬가 호화롭고 번잡한 장신구 치레가 이 보살상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이와 함께 두 보살상을 본존불뒤로 약간 물러나게 배치하여 원근감을 자연스럽게 나타내고자 하였다. 보살의 머리위 키형 광배 좌우에 아난, 가섭과 각 3구의 불상, 1구의 천부상 등이 대칭되게 그려져 있어 화면 구성상 상부에 지나치게 치우친 듯한 인상을 주고 있다.
이처럼 이 괘불화는 삼존불을 화면 가득히 배치한 구도, 당당하고 건장한 체구, 둥글고 원만한 얼굴(존용〈尊容〉), 화려하고 밝은 색채와 꽃무늬 등으로 18세기 초반기의 불화 가운데 수작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석가, 문수, 보현의 삼존불로 생각되는 삼존입상의 불화는 예천 용문사 괘불도와 비교되는 귀중한 자료라 평가된다. 더욱이 화기가 있어 이 불화가 경남과 전남일대에서 활약했던 가장 유명한 화사 의겸일파의 작품이고 의겸작품 가운데서도 가장 우수한 걸작이라 보여져 불교회화연구에도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청곡사영산회괘불탱 본존불 보현보살 문수보살 청곡사영산회괘불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