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국보

국보 제270호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 (靑磁 母子猿形 硯滴)

오늘의 쉼터 2008. 2. 2. 10:53


종     목 국보  제270호
명     칭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 (靑磁 母子猿形 硯滴)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토도자공예/ 청자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1992.04.20
소 재 지 서울 성북구  (간송미술관)
시     대고려시대
소 유 자전성우
관 리 자전성우

일반설명

고려시대 만들어진 청자 연적으로,크기는 높이 9.8㎝, 몸통 지름 6.0㎝이다.

어미 원숭이 머리 위에는 지름 1.0㎝ 정도의 물을 넣는 구멍이, 새끼의 머리 위에는 지름 0.3㎝인 물을 벼루에 따라내는 구멍이 각각 뚫려 있어 연적임을 알 수 있다.

두 원숭이의 손가락과 발가락은 그 사이사이를 파내어 도드라지게 표현하였고, 어미 원숭이의 눈, 코와 새끼 원숭이의 눈은 검은 색 안료로 점을 찍어 나타냈다. 어미 원숭이의 엉거주춤한 자세, 보채는 새끼의 모습을 통해 원숭이 모자의 사랑을 재미있게 묘사하였다. 유약은 잘 녹아 투명하고 잔잔한 기포가 전면에 있어 은은하고, 표면의 색깔은 아름다운 비취색이다.

1146년에 제작된 청자과형화병, 청자합과 유약 색이 동일하여 12세기 전반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청자 연적 중 원숭이 모양의 연적은 드물며 더욱이 모자(母子) 모양으로서는 유일한 예이다.

 

전문설명

 

고려청자의 문양은 공예의장(工藝意匠)이면서 자연현상(自然現狀)에서 소재(素材)를 찾아냈기 때문에 사실에 가깝고, 자연과 접하는 것 같다. 또한 문양 뿐만 아니고 형태 자체를 자연에서 찾아낸 것도 많다. 오리·원앙·공작 등 각종 새, 사자·원숭이·개구리 등 동물, 각종 물고기, 상상의 동물인 용·봉황, 각종 과실인 복숭아·석류·참외, 나팔꽃, 표주박 등이 청자로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어느 것이나 동물과 식물이 지니는 특징과 자연의 향기를 지니고 있으며 절묘하고, 때론 익살스럽게 나타내서 보는 이로 하여금 자연에 대하여 우리가 느끼지 못하는 어떤 특징과 개성을 청자를 만든 작자(作者)에 의해서 느끼게 된다.

이 원숭이모양 연적은 어미원숭이의 엉거주춤한 자세, 보채는 새끼의 모습을 통해서 원숭이 모자(母子)의 사랑을 재미있게 표시하였다. 성긴듯 섬세한 감정의 표현과 절묘한 듯 대범하고 아기자기한 감정이 보는 이의 마음을 때론 흔연(欣然)하고 때론 흥이 나며 때론 사랑을 느끼게 한다.

이 원숭이모자연적은 그냥 청자연적이 아니고 고려사람들의 사랑이며 익살이다. 어미의 머리 위에는 직경 1.0㎝ 정도의 둥근 물들어가는 구멍이, 새끼의 머리 위에는 직경 0.3㎝ 크기의 물을 벼루에 따라내는 구멍이 각각 뚫려 있어 연적(硯滴)임을 알 수 있다. 두 원숭이의 손가락과 발가락은 사이를 파서 두드러지도록 표현하였으며, 어미원숭이의 눈·코와 새끼원숭이의 눈은 철사점(鐵砂點)을 찍어 표현하였다. 유약은 잘 녹아 투명하고 잔잔한 기포가 전면에 있어 은은하며 빙열(氷烈)이 없으며 표면색조는 아름다운 비색(翡色)이다. 밑바닥의 유약은 닦아 냈으며 양 발과 엉덩이 세곳에 내화토를 받쳐서 번조하였다.

고려청자연적(高麗靑磁硯滴)중 원숭이모양의 연적은 드물며 더욱이 모자형(母子形)은 유일한 예로서 고려귀족사회(高麗貴族社會)에 애완용으로 수입되었을 원숭이를 그당시 사기장인(沙器匠人)이 훌륭한 솜씨로 표현한 명품(名品) 중의 하나로 청자압형연적(靑磁鴨形硯滴)과 함께 쌍벽을 이루는 작품이다.

1146년경 제작된 인종(仁宗)의 장릉출토(長陵出土) 청자과형화병(靑磁瓜形花甁), 청자합(靑磁盒) 등과 유색(釉色)에 있어 동일(同一)하여 12세기 전반경(前半頃) 강진(康津) 사당리요(沙堂里窯)에서 제작된 것 추정된다.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