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마도장니는 말의 안장 양쪽에 달아 늘어뜨리는 장니에 그려진 말그림이다. 가로 75㎝, 세로 53㎝, 두께는 약 6㎜로 1973년 경주 황남동고분 155호분(천마총)에서 발견되었다.
천마도가 그려져 있는 채화판은 자작나무껍질을 여러 겹 겹치고 맨 위에 고운 껍질로 누빈 후, 가장자리에 가죽을 대어 만든 것이다. 중앙에는 흰색으로 천마가 그려져 있으며, 테두리는 흰색·붉은색·갈색·검정색의 덩굴무늬로 장식되어 있다. 천마는 꼬리를 세우고 하늘을 달리는 모습으로, 다리 앞뒤에 고리모양의 돌기가 나와 있고 혀를 내민 듯한 입의 모습은 신의 기운을 보여준다. 이는 흰색의 천마가 동물의 신으로, 죽은 사람을 하늘 세계로 실어나르는 역할이였음을 짐작해 볼 수 있게 한다.
5∼6세기의 신라시대에 그려진 천마도의 천마의 모습 및 테두리의 덩굴무늬는 고구려 무용총이나 고분벽화의 무늬와 같은 양식으로, 신라회화가 고구려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는 그림이다. 또한 신라회화로서 현재까지 남아있는 거의 유일한 작품으로 그 가치가 크다.
전문설명
천마도(天馬圖)는 경주(慶州) 황남동(皇南洞) 155호분(號墳)인 천마총(天馬塚)을 1973년에 발굴(發掘)할 때 출토된 신라시대(新羅時代)의 회화(繪畵)이다.
직사각형 자작나무껍질로 만든 장니(障泥) 겉면에 채색(彩色)을 써서 그린 것으로 천마(天馬)를 가운데 두고 사방에 인동당초문(忍冬唐草文)으로 테를 둘렀는데 세련된 조화미(調和美)를 보여주고 있다.
가운데 백색(白色)으로 그려진 천마(天馬)는 공중에 떠서 달리는 자세를 보여주는데 갈기와 꼬리의 털이 수평으로 날카롭게 갈라져서 날리고 이와는 대조적으로 네발은 터덜터덜 걷는 듯한 모습을 보여 주고 있어서 모순된 느낌을 준다. 천마(天馬)의 몸에는 군데군데 반달모양의 무늬가 나 있고 앞 가슴과 뒷발 사이에는 각각 갈쿠리 모양의 것이 달려 있는데 이 반달형무늬는 고대(古代) 스키타이족(族)의 문화(文化)에서 연유된 것으로 본다. 다리의 앞 뒤에 고리모양의 돌기가 나와 있는 것과 혀를 내민 듯한 입에서 신기(神氣)를 내뿜는 듯한 형상들로 보아 이 백마(白馬)가 신수(神獸)인 듯하고 사자(死者)의 영혼을 천계(天界)로 실어나르는 기능을 지녔던 것으로 추측된다.
천마도(天馬圖) 네 귀퉁이에 하나씩 그려진 식물문양(植物文樣)이 고구려(高句麗) 무용총(無踊塚)의 천정받침 등에 보이는 연화문(蓮華文)의 변모된 모습으로 볼 수 있어 고구려고분벽화(高句麗古墳壁畵)와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달리는 말의 모습이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보여주는 말들에 비해서 힘찬 생동감(生動感)이 결여되어 있다.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