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 지구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무덤인 황남대총에서 발견된 병 1점과 잔 3점의 유리제품이다.
병은 높이 25㎝, 배지름 9.5㎝이고, 잔① 높이 12.5㎝, 아가리 지름 10㎝ 잔② 높이 8㎝, 아가리 지름 10.5㎝ 잔③ 높이 10.5㎝, 아가리 지름 9.5㎝의 크기를 하고 있다.
병은 연녹색을 띤 얇은 유리제품으로 타원형의 계란 모양이다. 물을 따르기 편하게 끝을 새 주둥이 모양으로 좁게 오므렸다. 가느다란 목과 얇고 넓게 퍼진 나팔형 받침은 페르시아 계통의 용기에서 볼 수 있는 것이다. 목에는 10개의 가는 청색 줄이 있고, 아가리에는 약간 굵은 선을 돌렸고, 손잡이에는 굵은 청색 유리를 ㄱ자로 붙였다. 손잡이에는 금실이 감겨져 있었는데 이는 무덤에 넣기 전에 이미 손상되어 수리를 한 듯 보인다.
잔①은 병과 같이 연녹색 유리를 사용했고, 위는 넓고 밑은 좁아진 컵 모양을 하고 있다. 아가리 주위는 속이 빈 관(管)모양으로 돌리고, 그 위에 청색 유리띠를 한 줄 둘렀다. 몸체의 윗쪽에는 청색 유리로 물결무늬를 두르고, 밑쪽에는 격자무늬를 도드라지게 새겼다.
잔②는 색은 연녹색이고 아가리가 넓다. 아가리 주위는 약간 도톰하게 돌기가 있으며, 밑면 가운데 부분이 약간 들어가 있다.
잔③ 역시 연녹색이고 아가리가 넓은 원통형이다. 아가리 주위는 관(管) 모양이고 위와 아래에는 약간 청색을 띠고 있다.
모두 파손이 심한 상태로 발굴되었으나 다행히 원형을 알아 볼 수 있게 복원되었다. 병과 잔①은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출토되어 아마 세트를 이루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유리의 질과 그릇의 형태 색깔로 미루어 서역에서 수입된 것으로 보이며, 그 당시 서역과의 문화 교류를 알게 해 주는 자료가 된다.
전문설명
경주(慶州) 시내의 고신라시대(古新羅時代) 고분(古墳)에서 출토된 여러 가지 유리제품 중에서 볼 수 없었던 기형(器形)이다.
병은 연록색(軟綠色)을 띤 얇은 유리제품으로 주둥이는 아래위로 파상형(波狀形)의 굴곡을 내면서 거의 타원형에 가까워 페르시아 지방의 제병(提甁) 입과 매우 닮았다. 구연부는 깔대기 모양으로 가늘어져서 목에 연결되었고 다시 차츰 넓어지면서 동체(胴體)에 이르러 가장 넓어졌다가 굽을 향하여 다시 좁아졌다. 이 곡선은 신라시대(新羅時代) 용기(容器)에서는 재료 여하를 막론하고 볼 수 없는 독특한 곡선이고 페르시아계(系) 용기(容器)에서 볼 수 있다. 굽은 가는 목과 얕고 넓게 퍼진 나팔형 받침으로 되었다. 주둥이에서 어깨에 걸쳐 거의 ㄱ자로 꺾이는 손잡이가 있고 주둥이에는 굵게 그리고 목에는 여러 줄로 가늘게 청색(靑色)으로 띠를 돌렸고 손잡이는 청색 유리로 만들었다.
배(杯)는 역시 연록색(軟綠色)이며 입이 넓고 밑으로 갈수록 좁아지다가 굽을 붙인 형태이다. 주둥이는 기벽(器壁)보다 두꺼워졌을 뿐 아니라 단면(斷面) 타원형의 구멍이 뚫린 띠를 돌렸고 그 위에 다시 단면 원형(圓形)의 청색 유리대(帶)를 붙여서 장식하였다. 그릇 하반부에는 사격문(斜格文)이 표현되고 상반부 중간쯤에는 가는 청색 유리로 파상문이 장식되었고 파상문대 아래위에는 물결처럼 주름이 잡혀 있다.
병(甁)과 배(杯)는 인접해서 매장하였던 듯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출토되었고 유리의 색조나 기형(器形) 등으로 보아 서방에서 수입된 듯하다. 현재 모두 파손이 심한데도 불구하고 원형을 알 만하며 손잡이에 금사(金絲)가 여러 줄 감겨 있음을 보면 부장(副裝)하기 전 사용 도중에 이미 손상을 입었던 것으로 보인다. 서방과의 문화교류의 양상을 짐작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경주 98호 남분 유리제배 경주 98호 남분 유리제배 경주 98호 남분유리병 및 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