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국보

국보 제85호 금동신묘명삼존불(金銅辛卯銘三尊佛)

오늘의 쉼터 2008. 1. 24. 17:22



종     목 국보  제85호
명     칭금동신묘명삼존불(金銅辛卯銘三尊佛)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금속조/ 불상
수량/면적 1구
지 정 일 1962.12.20
소 재 지 서울 용산구  (리움미술관)
시     대삼국시대
소 유 자이건희
관 리 자리움미술관

일반설명

1930년 황해도 곡산군 화촌면 봉산리에서 출토되어 현재는 호암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는 불상으로 높이 15.5㎝이다. 하나의 커다란 광배(光背)에 본존불과 좌우보살상을 조각한 형태의 삼존불(三尊佛)로 현존하는 같은 형식의 불상 중에서 가장 크다.

좌우의 보살상은 본존불보다 훨씬 작게 만들어 광배의 끝에 겨우 매달린 듯 보이는데, 이는 본존불을 한결 돋보이게 하는 효과를 내고 있다. 본존불의 가슴과 광배의 오른쪽 끝에 약간의 흠집이 있을 뿐, 전체적으로 보존 상태가 좋은 편이다.

본존불은 얼굴이 풍만하고 입가에 미소를 띠고 있으며, 머리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큼직하다.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은 두껍게 표현되어 있으며, 옷자락은 양 옆으로 펼쳐지면서 발목까지 덮고 있다. 오른손은 들어 손바닥을 보이고, 왼손은 내려서 손끝이 아래로 향하면서 손바닥을 보이고 있다. 광배는 불상과 분리되며 본존불의 등 뒤에 달려있는 뾰족한 촉(觸)으로 고정시켜 준다.

배(舟) 모양의 광배는 본존불을 중심으로 머리광배와 몸광배를 표현하였고, 그 안에 연꽃무늬, 덩굴무늬, 인동초무늬를 새겼다. 머리광배와 몸광배의 가장자리에는 불꽃무늬를 새기고, 그 사이에는 작은 부처를 조각하였다. 광배의 아래쪽 끝부분에 새겨진 두 협시보살은 큼직한 얼굴에 원통형의 빈약한 체구를 지니고 있다. 가슴에는 X자형의 옷자락이 새겨져 있으며, 전체적으로 본존불에 비해 솜씨가 서툴러 보인다.

광배 뒷면에는 다섯 사람이 모여 그들의 스승과 부모를 위해 이 불상을 만들었다는 내용의 글이 새겨져 있다. 글에 나타난 사람 이름이나 불상의 양식으로 보아 고구려 불상으로 보이며, 글에 나타난 ‘신묘(辛卯)’는 고구려 평원왕 13년(571)년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인 불상 형태는 큼직한 얼굴과 손, 원통형의 체구 등에서 연가 7년명 금동여래입상(국보 제119호)의 양식을 계승하고 있지만, 강인한 기품이 줄어들고 유연하면서 세련된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전문설명

 

이 삼존불(三尊佛)은 일광삼존(一光三尊) 형식인데, 현존하는 금동 일광삼존(一光三尊) 형식의 불상 중 가장 크고, 광배(光背) 뒷면에 명문(銘文)이 있는 가장 뚜렷한 보기이다.

본존(本尊)의 좌대(座臺)가 떨어져 나가고, 가슴에 흠집이 남아 있으며, 여기서 오른쪽으로 길이로 길게 터진 균열과 광배 오른쪽 끝에 약간의 흠집이 있는 것 말고는 보존상태가 좋은 편이다. 본존은 얼굴이 풍만하며, 육계(肉계)가 크고 우뚝한데, 입에는 미소를 풍기고 있어, 평양(平壤) 원오리(元五里)에서 발견된 니불(泥佛)들과 비슷하다. 두 손은 통인(通印)인데, 왼손의 작은 손가락 둘을 꼬부리고 있는 것은 삼국기(三國期) 불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수법이다. 통견(通肩)의 두꺼운 법의(法衣)는 좌우로 펼쳐지면서 발목까지 덮고 있다.

등뒤에는 광배(光背)를 끼우는 촉이 달려 있어 고정시키게 되어 있다. 광배 표면에는 본존을 중심으로 두광(頭光)·신광(身光)을 구획짓고, 그 안에 연화문(蓮華文)·당초문·(唐草文)·인동문(忍冬文)을 양각하였으며, 밖으로 고식(古式)의 화염문(火焰文)을 양주(陽鑄)하고, 그 사이에 화불(化佛) 3구(軀)를 배치하였다.

광배 아랫부분과 본존 좌우에 협시보살상(脇侍菩薩像)이 있고, 뒷면에는 다음과 같은 조상기(造像記)가 음기(陰記)되어 있다. 경□사년재신묘비구(景□四年在辛卯比丘)도국공제선지식나루(道國共諸善知識那婁)천노아왕아거오인(賤奴阿王阿거五人)공조무량수불일구(共造無量壽佛一軀)원망사부모생생심중상(願亡師父母生生心中常)치제불선지식등치(値諸佛善知識等値)우미륵소원여시(遇彌勒所願如是)원공생일처견불문법(願共生一處見佛聞法)

이 불상은 1930년 가을, 황해도(黃海道) 곡산군(谷山郡) 화촌면(花村面) 봉산리(蓬山里)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지는데, 원래 일인(日人) 이등전웅(伊藤전雄)이 소장하고 있었으나, 여러 사람을 거쳐 지금의 소장자가 입수한 것이다.

조상(造像) 연대는 광배 명문(銘文)에 나타난 인명(人名)이나 조상양식으로 보아 고구려불(高句麗佛)로 보여지며, '신묘(辛卯)'는 평원왕(平原王) 13년(북제 무평(北齊 武平) 2년, 571)으로 추정되고 있다.




금동신묘명삼존불입상

금동신묘명삼존불입상

금동신묘명삼존불입상

금동신묘명삼존불입상

금동신묘명삼존불입상

금동신묘명삼존불입상

금동신묘명삼존불입상

금동신묘명삼존불입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