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이 부처의 사리를 모시는 곳이라면, 부도는 유명했던 스님들의 사리를 두는 곳이다 부도의 구성은 석탑과 같아서, 기단(基壇) 위에 사리를 모시는 탑신(塔身)을 두고 그위에 머리장식을 얹는다.
이 부도는 연곡사의 동쪽에 네모난 바닥돌위로 세워져 있으며, 전체적으로 8각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연곡사는 고려 전기까지 스님들이 선(禪)을 닦는 절로 이름이 높았는데, 이 때문인지 이곳에는 이 부도 외에도 서부도(보물 제154호), 북부도(국보 제54호) 등 2기가 더 있다. 동부도는 그 중 형태가 가장 아름답고 우아한 작품이다.
기단(基壇)은 세 층으로 아래받침돌, 가운데받침돌, 윗받침돌을 올렸다. 아래받침돌은 두 단인데, 구름에 휩싸인 용과 사자모양을 각각 조각해 놓았다. 가운데받침돌에는 둥근 테두리를 두르고, 부처님의 설법을 들으러 몰려든다는 8부중상(八部衆像)을 새겼다. 윗받침돌 역시 두 단으로 나뉘어 두 겹의 연꽃잎과 기둥모양을 세밀하게 묘사해 두었는데, 이 부분에 둥근 테를 두르고 그 안에 불교의 낙원에 사는 극락조인 가릉빈가(伽陵頻迦)를 새겨둔 점이 독특하다.
탑신(塔身)은 몸돌의 각 면에 테두리를 두르고, 그 속에 향로와 불법을 수호하는 방위신인 4천왕상(四天王像)을 돋을새김해 두었는데, 그 수법이 그리 훌륭하지는 못하다. 지붕돌에는 서까래와 기와의 골을 새겼으며, 기와를 끝맺음할 때 두는 막새기와까지 표현할 정도로 수법이 정교하다. 머리장식으로는 날개를 활짝 편 봉황과 연꽃무늬를 새겨 아래위로 쌓아 놓았다.
도선국사의 부도라고 전해지고 있으나 확실한 것은 알 수가 없으며, 일제 때 동경대학으로 반출될 뻔한 위기도 있었지만 다행히도 제자리를 지키고 있다. 기단이 좀 높아 보이기는 하나 전체적으로 안정된 비례감을 잃지 않으면서 훌륭한 조각수법을 보이고 있어 통일신라 후기를 대표할 만한 우수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전문설명
통일신라시대에 속하는 부도 중 가장 형태가 우아하고 조식이 정교한 작품중의 하나이다.
8각원당형(八角圓堂型)을 기본형으로 삼고 방형(方形) 지대석 위에 8각 2단의 하대석을 얹었는데 운룡(雲龍)과 사자(獅子)로 장식되어 있다. 중대석 및 상대석의 윗부분에는 안상(眼象) 속에 8부신중(八部神衆)과 가릉빈가(伽陵頻迦), 사천왕상(四天王像) 및 문비(門扉) 등 갖가지 형태의 무늬를 조각하였다. 기단부가 높기는 하나 아직 안정된 비례를 잃지 않았고 각부의 조각수법 또한 정교하다.
이 부도는 도선국사(道詵國師)(827∼898) 부도라고 전하나 확실히 알 수는 없고, 전체적인 형태나 조각수법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측된다.
구례 연곡사 동 승탑 구례 연곡사 동 승탑 기단부
구례 연곡사 동 승탑 문비
구례 연곡사 동 승탑 옥개석 암,수 막새기와 구례 연곡사 동 승탑 옥개석과 상륜부(복원후) 구례 연곡사 동 승탑 중대석 팔부신중 구례 연곡사 동 승탑 탑신받침대 가릉빈가 구례 연곡사 동 승탑 탑신부 보여 구례 연곡사 동 승탑 사천왕상 구례 연곡사 동 승탑 하대석 사자상 구례 연곡사 동 승탑 구례 연곡사 동 승탑 옥개석과 상륜부 구례 연곡사 동 승탑 중대석 팔부신중 구례 연곡사 동 승탑 구례 연곡사 동 승탑 탑신부와탑신받침 기단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