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국보

국보 제52호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陜川 海印寺 藏經板殿)

오늘의 쉼터 2008. 1. 23. 23:17



종     목국보  제52호
명     칭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陜川 海印寺 藏經板殿)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기타
수량/면적 4동
지 정 일 1962.12.20
소 재 지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10 해인사
시     대조선시대
소 유 자해인사
관 리 자해인사


일반설명

가야산 중턱에 자리잡은 해인사는 통일신라 애장왕 3년(802)에 지은 사찰로, 왕후의 병을 부처의 힘으로 치료해 준 것에 대한 감사의 뜻으로 지었다고 한다. 우리나라 3대 사찰 중 하나이며, 8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기 때문에 법보사찰이라고도 부른다.

장경판전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8만여장의 대장경판을 보관하고 있는 건물로, 해인사에 남아있는 건물 중 가장 오래 되었다. 처음 지은 연대는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조선 세조 3년(1457)에 크게 다시 지었고 성종 19년(1488)에 학조대사가 왕실의 후원으로 다시 지어 ‘보안당’이라고 했다는 기록이 있다. 산 속 깊은 곳에 자리잡고 있어 임진왜란에도 피해를 입지 않아 옛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며, 광해군 14년(1622)과 인조 2년(1624)에 수리가 있었다.

앞면 15칸·옆면 2칸 크기의 두 건물을 나란히 배치하였는데, 남쪽 건물은 ‘수다라장’이라 하고 북쪽의 건물은 ‘법보전’이라 한다. 서쪽과 동쪽에는 앞면 2칸·옆면 1칸 규모의 작은 서고가 있어서, 전체적으로는 긴 네모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대장경판을 보관하는 건물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장식 요소는 두지 않았으며, 통풍을 위하여 창의 크기를 남쪽과 북쪽을 서로 다르게 하고 각 칸마다 창을 내었다. 또한 안쪽 흙바닥 속에 숯과 횟가루,소금을 모래와 함께 차례로 넣음으로써 습도를 조절하도록 하였다.

자연의 조건을 이용하여 설계한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점 등으로 인해 대장경판을 지금까지 잘 보존할 수 있었다고 평가 받고 있다.

해인사장경판전은 15세기 건축물로서 세계 유일의 대장경판 보관용 건물이며, 대장경판과 고려각판을 포함하여 1995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전문설명


해인사 장경판전에 팔만대장경이 보관되어 있기 때문에 해인사는 법보사찰(法寶寺刹)이라고 불리우고, 이 건물은 정면 15칸이나 되는 큰 규모의 두 건물을 남북으로 배치하였다.

남쪽의 건물을 수다라장(修多羅藏), 북쪽의 건물을 법보전(法寶殿)이라 하며 동·서쪽에도 작은 규모의 동(東)·서판고(西板庫)가 있다. 건물은 큼직한 부재(部材)를 간결한 방식으로 처리하여 판고로서 필요로 하는 기능만을 충족시켰을 뿐 장식적 의장을 하지 않았으며, 전·후면 창호의 위치와 크기가 서로 다르다. 통풍의 원활, 방습의 효과, 실내 적정 온도의 유지, 판가(板架)의 진열장치 등이 매우 과학적이며 합리적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대장경판이 지금까지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는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라고 평가받고 있다.

조선 세조 3년(1457) 확장·재건한 후 성종 19년(1488) 다시 건립한 것으로 추정되며, 임진왜란에도 피해를 당하지 않아 옛 모습을 남기고 있는데, 광해군 14년(1622)에 수다라장을 중수하고 인조 2년(1624)에는 법보전을 중수하였다.

1964년 해체수리시 상량문(上樑文)과 광해군 어의(御衣)가 발견되어 보존하고 있다.

대장경판과 고려각판을 포함한 해인사 장경판전은 1995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합천 해인사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전경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합천 해인사 원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