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76

종 목 보물 (제2063호) 육조대사법보단경 .

종 목 보물 (제2063호) 명 칭 육조대사법보단경 (六祖大師法寶壇經)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0.04.23 소 재 지 경상남도 사천시 시 대 1300년(고려 충렬왕 26) 경 판각ㆍ인출 추정 소 유 자 백*** 관 리 자 백*** 일반설명 『육조대사법보단경』은 중국 선종(禪宗)의 제6조인 당나라 혜능(慧能, 638-713)이 소주(韶州)의 대범사(大梵寺)에서 대중에게 육조(六祖: 중국 선종의 창시자 달마대사의 법계를 이은 제6대 祖師)의 지위에 이르기까지의 수행과정과 문인들의 수행을 위하여 설법한 10가지 법문을 그의 제자 법해(法海)가 집성한 것이다. 보물 제2063호 ‘육조대사법보단경’은 1책(64장)으로 1290년(충렬왕 16)년 원나라 덕이 선사(德..

문화재/보물 2022.09.25

보물 (제2062호) 최광지 홍패

종 목 보물 (제2062호) 명 칭 최광지 홍패 (崔匡之 紅牌)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0.04.23 소 재 지 전라북도 부안군 시 대 1389년(고려 창왕 1) 소 유 자 전*** 관 리 자 전*** 일반설명 보물 제2062호 ‘최광지 홍패’는 고려 말~조선 초에 활동한 문신 최광지(崔匡之)가 1389년(창왕 1) 문과 ‘병과 3인(丙科 第三人)’으로 급제하여 받은 문서로서, 약 630년 전 고려 말에 제작된 매우 희귀한 사료이다. ‘홍패(紅牌)’는 왕명으로 발급된 과거합격증을 말하며, 보통 홍화씨 등으로 붉게 염색한 종이로 발급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명칭을 갖게 되었다. 최광지는 고려 말기~조선 초기에 활동한 학자로, 활동연대는 대략 14~15세기에 이른다..

문화재/보물 2022.09.25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86호 예천 직산재

명 칭 예천 직산재 (禮泉 稷山齋)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면적 2동 / 188.02 ㎡ 지 정 일 2017.03.13 소 재 지 경상북도 예천군 피실길 60-25 (호명면)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안동김씨비안공파문중 관 리 자 안동김씨비안공파문중 일반설명 예천 직산재는 16세기 초·중엽에 건립된 재사건축물로 안동김씨와 아주신씨 두 문중이 한 건물에서 하나의 산에 위치한 조상의 묘소를 수호하고, 묘제를 올리고 있다는 점에서 민속적으로 독특한 사례로 평가받아 도지정 민속문화재 제186호로 지정됐다.

국보 (제336호)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종 목 국보 제336호 명 칭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求禮 華嚴寺 木造毘盧遮那三身佛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불상 3구, 후령통 2건 일괄, 시주질 2건 지 정 일 2021.06.23 소 재 지 전라남도 구례군 시 대 조선시대 (1635년인조 13) 소 유 자 화엄사 관 리 자 화엄사 ​일반설명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은 화엄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으며, 1635년(인조 13) 조선 후기 유명 조각승인 청헌(淸軒, 淸憲)과 응원(應元), 인균(印均)을 비롯해 이들의 제자들이 협업해 완성한 17세기를 대표하는 불교조각이다. ‘삼신불’은 법신(法身) 비로자나불(毘盧舍那佛), 보신(報身) 노사나불(盧舍那佛), 화신(化身) 석가불(釋迦佛)을 말하며 화엄..

문화재/국보 2022.09.24

보물 (제2061호) 관북여지도

종 목 보물 (제2061호) 명 칭 관북여지도 (關北輿地圖)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수량/면적 1첩(13면) 지 정 일 2020.02.27 소 재 지 부산광역시 서구 시 대 조선 1738년(영조 14)~1753년(영조 31) 사이 소 유 자 동아대학교 관 리 자 동아대학교 석담박물관 일반설명 보물 제2061호 ‘관북여지도(關北輿地圖)’는 표기된 지리와 표현방식 등으로 보아 1738년(영조 14)~1753년(영조 31)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1첩의 지도집으로, 조선시대 관북(關北) 지방인 함경도 마을과 군사적 요충지를 그린 것이다. ‘관북여지도’는 1719년 함경남도병마절도사 이삼(李森, 1677~1735)의 지시로 제작된 함경도 지도집의 계보를 잇고 있는 작품으로, 조선과 청나라 정계(定界)를..

문화재/보물 2022.09.23

보물 (제2060호)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상 일괄

종 목 보물 (제2060호) 명 칭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상 일괄 (扶餘 無量寺 五層石塔 出土 金銅佛像 一括)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금속조 / 불상 수량/면적 4구 지 정 일 2020.02.27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시 대 고려전기 및 조선 초기 소 유 자 무량사 관 리 자 불*** 일반설명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상 일괄(扶餘 無量寺 五層石塔 出土 金銅佛像 一括)’은 무량사 오층석탑에 봉안됐던 금동보살좌상(1구)과 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3구)로서, 1971년 8월 오층석탑 해체 수리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1구는 고려시대의 금동보살좌상이며, 3구는 조선 초기의 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이다. 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은 좌협시(左脇侍) 관음보살상과 우협시(右脇侍) 지장보살상으로..

문화재/보물 2022.09.14

보물 (제2059호) 부산 복천동 11호분 출토 도기 거북장식 원통형 기대 및 단경호

종 목 보물 (제2059호) 명 칭 부산 복천동 11호분 출토 도기 거북장식 원통형 기대 및 단경호 (釜山 福泉洞 十一號墳 出土 陶器 龜裝飾 圓筒形 器臺 및 短頸壺)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토도자공예/ 도기 수량/면적 1건 2점 지 정 일 2020.02.27 소 재 지 경상남도 김해시 시 대 가야시대 소 유 자 국립김해박물관 관 리 자 국립김해박물관 일반설명 ‘부산 복천동 11호분은 1980~1981년까지 부산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한 수혈식 석실분으로서, 5세기 경 부산에 있었던 가야 세력의 수장급 인물의 무덤이다. 인근의 복천동 10호분과 함께 주곽(主槨)과 부곽(副槨)을 이루는 대형 고분임이 밝혀졌으며, 그 중 11호분은 가야 고분 중에서는 보기 드물게 도굴되지 않은 상태로 발굴되었다. ‘부산 복..

문화재/보물 2022.09.14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종 목 국보 (제337호) 명 칭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靑陽 長谷寺 金銅藥師如來坐像 및 腹藏遺物)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금속조 / 불상 수량/면적 불상 1구, 복장유물 13건 18점 지 정 일 2022.06.23 소 재 지 충청남도 청양군 장곡길 241 (대치면, 대한불교조계종 장곡사) 시 대 고려시대 (1346년(충목왕 2)) 소 유 자 장곡사 관 리 자 장곡사 ​ 일반설명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으나, 이후 발원문을 포함한 복장유물이 추가로 연구됨에 따라 제작시기와 발원자 등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게 되었다. 발원문에는 1346년(고려 충목왕 2)이라는 정확한 제작시기가 있어, 고려 후기 불상 연구의 절대 기준을 제시해주고 있다. 고려 후기 불상조각 중 정확한 약기인(藥器印)..

카테고리 없음 2022.09.14

국보 (제335호) 이십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

종 목 국보 (제335호) 명 칭 이십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 (二十功臣會盟軸-保社功臣錄勳後)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수량/면적 1축 지 정 일 2021.02.17 소 재 지 경기도 성남시 시 대 조선시대 (1680년 숙종 6) 소 유 자 국*** 관 리 자 한*** ​일반설명 ‘이십공신회맹축 –보사공신녹훈후’는 1680년(숙종 6) 8월 30일에 개국공신(開國功臣) 이래 보사공신(保社功臣) 까지의 공신과 그 자손들을 모아 회맹제(會盟祭)를 거행한 후 작성한 회맹축이다. 이 회맹축이 작성된 시기는 1694년이다. ‘보사공신’이란 1680년(숙종 6)년 4월에 서인이 다시 집권하게 된 ‘경신환국(庚申換局)’ 때에 공을 세운 이들에게 내린 훈호(勳號)였으나, 1689년에 삭훈되었고 이후 169..

문화재/국보 2022.09.14

국보 (제334호) 기사계첩 및 함

종 목 국보 (제334호) 명 칭 기사계첩 및 함 (耆社契帖및 函)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 풍속화 수량/면적 화첩 1첩, 내함 1점, 호갑 1점, 외궤 1점 지 정 일 2020.12.22 소 재 지 충청남도 아산시 시 대 조선시대 1719∼1720년(숙종 45∼숙종 46) 소 유 자 홍*** 관 리 자 홍*** 일반설명 ‘기사계첩’은 1719년(숙종 45) 59세가 된 숙종이 태조 이성계의 전례를 따라 기로소(耆老所)에 들어 간 것을 기념해 기로소에서 주관한 계첩(契帖)으로, 18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궁중기록화이다. 기로 소는 70세 이상, 정2품 이상 직책을 가진 노년의 문관(文官)들을 우대하던 기관이다. 행사는 1719년에 실시되었으나 계첩은 초상화를 그리는데 오랜 시간이 걸려 1720년(숙종 ..

문화재/국보 2022.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