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76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74호) 양평 상원사 동종

종 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74호) 명 칭 양평 상원사 동종 (楊平 上院寺 銅鐘) 분 류 유물 / 불교공예 / 의식법구 수량/면적 1구 지 정 일 2021.09.02 소 재 지 경기도 양평군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상원사 관 리 자 상원사 일반설명 양평 상원사 동종은 한국과 일본의 혼합양식을 보여주는 범종(절에서 시각을 알리기 위해 치는 종)으로 한국종의 미감이 도드라지며 전반적인 문양의 구성과 표현 기법에서 고려 전반기(11~12세기)로 추정되는 작품이다. 범종 제작 방식의 측면에서 한국 장인의 일본 교류 및 영향을 추정할 수 있으며 종신에 표현된 주악비천상은 고려 후기 여래좌상으로 정착되기 전의 고려 전반기 특징을 보여준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73호) 부모은중경

종 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73호) 명 칭 부모은중경 (父母恩重經)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1.09.02 소 재 지 경기도 용인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용인시 관 리 자 용인시박물관 일반설명 용인시박물관 소장 부모은중경은 왕실에서 간행된 판본(명빈김씨본)을 모본으로 하여 1591년(선조 24)에 용인 광교산 화엄굴에서 간행된 목판본이다. 다른 판종에 비해 본문보다 그림이 크고 구체적이며, 배경과 장식문양이 많이 첨가되어 있고 회화적인 도상으로 현재까지 가장 많은 판본들이 전해지고 있다. 이 부모은중경은 임진왜란 이전의 목판본이라는 점, 용인 광교산 화엄굴에서 간행된 불서로 현존하는 부모은중경 중에서 찾아보기 힘든 희귀한 판본이라는 점에서 문화재 지정..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72호) 묘법연화경

종 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72호) 명 칭 묘법연화경 (妙法蓮華經)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 수량/면적 7권 7책 지 정 일 2021.09.02 소 재 지 경기도 의정부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송*** 관 리 자 송*** 일반설명 묘법연화경 권1~7은 현존 목판의 결판이 포함된 완질본으로 16∼17세기 불교경전인 묘법연화경을 인쇄한 것으로 추정된다. 2종의 변상도(불교 경전 내용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그림)가 남아있어 역사, 학술, 불교미술 분야에서 활용 가치가 있다는 평가다. 용인 묘법연화경 권5~7은 3권 1책으로 완질본은 아니지만, 현재 전해지는 판본이 많지 않은 용인시 소재 서봉사에서 간인됐다는 점에서 문화재 지정가치가 있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71호) 윤승길 초상 및 함 일괄

종 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71호) 명 칭 윤승길 초상 및 함 일괄 (尹承吉 肖像 및 函一括)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 인물화 / 초상화 수량/면적 4점 지 정 일 2021.09.02 소 재 지 경기도 여주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윤*** 관 리 자 윤*** 일반설명 윤승길 초상 및 함 일괄은 1612년 광해군이 책훈한 익사공신(임해군 역모사건에 공을 세운 공신)인 윤승길의 초상과 초상을 보관하는 함, 함 받침대로 모두 온전하게 보존됐다. 인조반정으로 대부분 익사공신이 삭훈되는 상황에서도 드물게 남아있는 초상이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70호) 안성 칠장사 원통전

종 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70호) 명 칭 안성 칠장사 원통전 (安城 七長寺 圓通殿)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1.09.02 소 재 지 경기도 안성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칠장사 관 리 자 칠장사 일반설명 안성 칠장사 원통전은 18세기 전반의 모습을 비교적 양호하게 유지하고 있는 사찰의 불전이다. 조선시대 불전 형식으로 내부 공간을 반자(방이나 마루 천장을 편평하게 한 것)로 구성하고 칸마다 다양한 단청 문양을 넣어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69호) 하남 선법사 석조보살좌상

종 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69호 명 칭 하남 선법사 석조보살좌상 (河南 善法寺 石造菩薩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1구 지 정 일 2021.04.16 소 재 지 경기도 하남시 서하남로588번길 125(선법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선법사 관 리 자 선법사 일반설명 하남 선법사 석조보살좌상은 조선 후기 경기도에서는 흔하지 않은 경주불석(주로 경상도 지역 사찰)으로 만든 중형 규모의 보살상으로 불석으로 조성한 상으로는 큰 편에 속한다. 전형적인 조선시대 후반기(17~18세기) 불상으로 어깨선의 의상 표현, 결가부좌한 다리의 폭과 높이에서 드러나는 양감 등 완성도 측면에서 인정받았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68호) 파주 성재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종 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68호 명 칭 파주 성재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 (坡州 聖在庵 木造阿彌陀如來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1구 지 정 일 2021.04.16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성재암 관 리 자 성재암 일반설명 불상이 봉안된 성재암은 세조 비 정희왕후(貞熹王后, 1418~1483)가 돌아가신 부모의 극락왕생을 기원하기 위해 창건한 것으로 전해진다. 조선시대 주요 문중인 파평윤씨 정정공파 묘역 600여 기가 대규모로 밀집된 묘역 인근에 자리하고 있으며 오랜 시간 문중 조상들의 명복을 비는 원당(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던 법당) 역할을 해온 곳이기도 하다. 파주 성재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상 높이 42.7㎝, 무릎폭 29.0㎝의 소형으로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67호 안성 봉덕사 아미타불회도

종 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67호 명 칭 안성 봉덕사 아미타불회도 (安城 奉德寺 阿彌陀佛會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1.04.16 소 재 지 경기도 시 대 일제강점기 소 유 자 봉덕사 관 리 자 봉덕사 일반설명 안성 봉덕사는 1922년 서운산 청룡사 주지 이응섭(李應涉)이 안성 시내 인근 신도의 편의와 포교를 위해 설립한 사찰이다. 봉덕사 신중도와 아미타불회도는 1917년 청룡사에 봉안하기 위해 조성한 것으로 1922년 봉덕사를 창건하면서 이운해와 현재는 봉덕사 극락전에 봉안되어 있다. 화기(畵記)에 의하면 봉덕사 신중도와 아미타불회도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서울․경기지역에서 활동하던 대표적인 화승 고산축연(古山竺衍)이 초암세복(艸菴世復),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상영도집

종 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명 칭 상영도집 (觴詠圖集)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 기타류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1.04.16 소 재 지 경기도 의왕시 시 대 조선시대 (시문집) 소 유 자 의ㅁㅁ 관 리 자 의ㅁㅁ 일반설명 상영도집(觴詠圖集)은 품산(品山) 김직연(金直淵)이 그의 주변인물 13인과 함께 상영도(觴詠圖) 놀이를 즐기며 지은 시문(詩文)을 모은 책이다. 상영도는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즐겼던 놀이로 ‘술을 마시고[觴]’, ‘시를 읊는[詠]’다는 뜻이다. 김직연 외에 13명의 본관, 이름, 생년, 호 등이 기록되어 있고 작품의 제목, 작품의 문체, 각 행의 하단에 작품의 저자가 호로 표기되어 있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65호) 양주 청련사 아미타불괘불도 및 복장물

종 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65호) 명 칭 양주 청련사 아미타불괘불도 및 복장물 (楊州靑蓮寺 阿彌陀佛掛佛圖 및 腹藏物)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괘불화 / 미륵불도 수량/면적 불화 1점, 복장물 9점 지 정 일 2020.12.03 소 재 지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권율로169 청련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청련사 관 리 자 청련사 일반설명 ‘양주 청련사 아미타불괘불도 및 복장물’은 중앙에 아미타여래입상을 중심으로 좌우협시인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꽉 채워 배치해 19세기말 20세기 초 조성된 서울 경기지역 괘불도의 도상을 보여준다. 근대기 사찰에서 진행된 예불에 괘불도가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어 사료적인 가치가 높다. 또한 괘불 제작 당시에 조성한 복장낭 등 복장물(불상이나 탱화에 사리나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