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76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39호 청송 대전사 신중도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39호 명 칭 청송 대전사 신중도 (靑松 大典寺 神衆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19.08.26 소 재 지 경상북도 청송군 부동면 공원길 226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대전사 관 리 자 대전사 일반설명 청송 대전사 신중도(靑松 大典寺 神衆圖)는 경상도 사불산화파(四佛山畵派)의 대표적 화승(畵僧)인 신겸(愼謙, 1790∼1830년경 활동)이 관여해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불화이다. 다섯 폭의 비단을 잇대어 하나의 화폭을 이루고 있는 채색 불화이며, 전반적인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으로, 화면 구성이나 도상 배치, 인물 표현 등 신겸의 독자적인 화풍이 돋보이는 불화로서 학술적 가치가 크다고 판단돼 유형문화재로 지정됐다. 청송 대전사 신중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38호 영천 은해사 기기암 신중도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38호 명 칭 영천 은해사 기기암 신중도 (永川 銀海寺 奇奇庵 神衆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19.08.26 소 재 지 경상북도 영천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기기암 관 리 자 기기암 일반설명 이 불화는 18세기 후반 경상도 일대에서 활동한 유성(有誠)이 수화승으로 조성한 신중도이다. 화면의 등장인물로 대자재천왕(大自在天王)이 나오는 사례는 매우 드문데, 그 중 제작시기가 가장 올라가는 작품이다. 섬세한 세필의 필선이 돋보이는 작품으로서 화기(畵記)를 통해 1777년이라는 명확한 제작시기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중도 가운데 대자재천왕의 존명을 보여주는 방제(旁題)를 통해 도상을 이해하는데 판단근거가 된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 중요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37호 영천 임고서원 영조을묘모본 정몽주 초상 및 함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37호 명 칭 영천 임고서원 영조을묘모본 정몽주 초상 및 함 (永川 臨皐書院 英祖乙卯摹本 鄭夢周 肖像 및 函)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 인물화 / 초상화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19.08.26 소 재 지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포은로 447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임고서원 관 리 자 임고서원 일반설명 이 초상화는 고려시대 충신인 정몽주의 초상화로, 관리들이 쓰는 모자와 엷은 청색의 관복을 입고 오른쪽을 바라보며 의자에 앉아있는 전신상이다. 임고서원 소장(所藏) 3점의 정몽주 영정 가운데 1점으로, 크기는 세로 224.8㎝, 가로 106.0㎝이다. 오른쪽 하단에 ‘英廟乙卯摹本’이라 쓰여 있어 1735년(영조 11)에 이모(移模)된 본(本)임을 알 수 있는데 화사..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36호 영천 묘봉암 목우자수심결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36호 명 칭 영천 묘봉암 목우자수심결(永川 妙峰庵 牧牛子修心訣)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19.08.26 소 재 지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청통로 951-891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묘봉암 관 리 자 묘봉암 일반설명 이 책은 고려시대 보조국사 지눌(知訥, 1158∼1210)의 『修心訣』을 세조의 命으로 구결(口訣)하고 신미(信眉)가 국역한 간경도감본을 저본(底本)으로 하여 1500년(연산군 6)에 합천 봉서사에서 복각(覆刻)하여 간행한 책이다. 목판으로 간행된 선장본 형태이며, 표지는 개장(改裝)하였다. 저본인 간경도감본은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된 사례가 있으며, 이번에 문화재로 지정 신청한 봉서사본은 보존상태가 양호할..

천연기념물 제555호 포천 초과리 오리나무

종 목 천연기념물 제555호 명 칭 포천 초과리 오리나무 (抱川 初果里 五里木) 분 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생활 수량/면적 1주 지 정 일 2019.09.05 소 재 지 경기도 포천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농림부 관 리 자 포천시 일반설명 - 초과리 오리나무는 수고, 근원둘레, 수관 폭, 수령 등 규격적인 측면에서 희귀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고유의 수형을 잘 유지하고 있으며, 마을주민들의 쉼터로서 정자목과 같은 역할을 해오고 있는 등 자연학술적, 경관적 가치가 높음 - 오리나무는 전통 혼례식 때 존안례(尊雁禮)를 위하여 신랑이 가지고 가는 나무기러기, 하회탈, 나막신, 칠기의 목심(木心) 등 우리의 생활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 포천 초과리 오리나무 포천 초과리 오리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