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부산유형문화재 223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13호) 홍현주 필 산수도

종 목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13호) 명 칭 홍현주 필 산수도 (洪顯周 筆 山水圖)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 산수화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0.04.29 소 재 지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부민동2가, 동아대학교부민캠퍼스)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동아대학교 관 리 자 동아대학교 박물관 일반설명 다산 정약용의 대표작인 양 간주되던 그림으로 익히 알려진 동아대학교 박물관 소장 산수도 「잔산잉수(殘山剩水)」는 동양사학자 동빈 김상기(東濱 金庠基, 1901-1977) 선생이 동아대학에 기증한 작품 중에 하나다. 화면 왼쪽 하단 모서리의 백문방인 ‘현주사인(顯周私印)’을 역시 홍현주가 소장인이라고 간주하는 의견에 따른 것이었으나, 최근에는 다산은 다만 제시를 썼을 뿐 이 산수도를 그린 이..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12호) 해운정사 삼층석탑

종 목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12호) 명 칭 해운정사 삼층석탑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2020.04.29 소 재 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2로 40-6 (우동, 해운정사) 시 대 신라시대 소 유 자 해운정사 관 리 자 해운정사 일반설명 해운정사 경내에 위치해 있는 이중기단 삼층탑신의 석탑이다. 상륜의 노반 이상이 결실되었으나 석탑의 구조 및 비례에서 전형적인 이중기단의 신라석탑 양식을 따르고 있다. 이 석탑은 원래 경주에서 대구로 이건되었다가 경주 손재림박물관 정원에 있던 것이 기증에 의해 해운정사로 반입된 것이다. 기단부를 구성하는 하층기단, 상층기단의 부재가 4-4-2이며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1매씩으로 정연한 구성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11호) 보광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종 목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11호) 명 칭 보광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普光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3구 지 정 일 2020.01.29 소 재 지 부산광역시 동구 범상로 1번길 35 시 대 조선시대 후기 소 유 자 보광사 관 리 자 보광사 일반설명 보광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은 본존인 아미타여래좌상 1구와 양측의 보살살 2구로 구성되어 있다. 본존인 아미타여래좌상은 좌우협시보다 크게 조성해 격을 달리하는 조선후기 불상의 보편적인 특징을 따르고 있다. 신체에 비해 머리가 큰 편이지만 어깨와 다리의 비례가 적당해 안정감이 있다. 허리가 짧은 상반신을 앞으로 약간 숙여 결가부좌한 자세를 취하고 양손은 다리 위에서 살짝 들어 엄지와 중지를 맞댄 아미타..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10호) 관세음보살 42 수 진언집

종 목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10호) 명 칭 관세음보살42수진언집(觀世音菩薩42手眞言集)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 수량/면적 1축 지 정 일 2019.12.04 소 재 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1667번길8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사유 관 리 자 허ㅇ 문화재설명 ​ 관세음보살42수진언집은 보관 상태가 불량하여 수리한 것으로 원래 절첩장(병풍식)이던 것을 권자본(두루마리)형태로 만들었다. 앞표지는 있으나 글자 판독이 불가하고 뒷 표지는 없으며 발문이나 간기가 없다. 권수(卷首)에 관세음보살께 귀의(歸依)하는 내용의 원문이 열거되고 제1 관세음보살 여의주수진언(如意珠手眞言)으로 시작하여 제42 관세음보살 총섭천비수 진언(摠攝千臂手 眞言)을 끝으로 상단에 42수의 변상(變相)과 그 우측에..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09호 나전칠국화모란넝쿨무늬상자

종 목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09호 명 칭 나전칠국화모란넝쿨무늬상자(螺鈿漆菊花牧丹唐草文箱子)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 목공예 / 가구류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19.07.24 소 재 지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301번길 45 (동삼동, 국립해양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국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