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2호) |
명 칭 | 남양주 견성암 현왕도 (南楊州 見聖菴 現王圖) |
분 류 |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
수량/면적 | 1점 |
지 정 일 | 2022.08.23 |
소 재 지 | 경기도 남양주시 |
시 대 | 조선시대 |
소 유 자 | 견성암 |
관 리 자 | 견성암 |
문화재설명 견성암 대웅전 내 서쪽 벽면에 봉안된 <남양주 견성암 현왕도>는 1882년 견상암 중수 때에 일괄 조성된 불화 중 하나로서, 불화승 혜고봉간과 금화기형이 조성하였다. 수화승인 봉간은 19세기 후반에 서울,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는데, 활동 초기에 서울, 경기지역의 불화승 경선응석(慶船應碩)과 화산재근(華山在根) 등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남양주 견성암 현왕도>에서 병풍을 배경으로 의자에 앉아 있는 현왕을 중심으로 여러 권속이 둘러싼 구성, 현왕이 앉은 의자 가장자리의 용두(龍頭) 장식, 팔뚝까지 걷은 옷소매와 팔 근육을 바림하여 음영을 표현한 기법, 하단에 명부를 적고 있는 인물과 벼루를 받친 인물의 모습은 화산재근(華山在根)이 조성한 〈강릉 백운사 현왕도〉(1879)와 유사하여 재근에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책관을 쓰고 홀을 든 현왕의 모습과 앞쪽에 포치된 목리문의 탁자, 그 위에 올려진 서갑과 두루마리형 경전, 필통, 인궤 등 기물은 <남양주 흥국사 현왕도〉(1846년), 〈안성 운수암 현왕도〉(1873년), 〈서울 미타사 현왕도〉(1899년) 등 19세기 후반 서울, 경기지역 현왕도의 영향이 보임. 따라서 <남양주 견성암 현왕도〉는 재근의 〈강릉 백운사 현왕도〉를 기본으로 하여 서울, 경기지역 현왕도를 참고하는 등 봉간 나름대로의 도상으로 변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남양주 견성암 현왕도>는 화기에 의해 1882년이라는 제작 연대와 봉안처, 조성화원 등 당시 불사에 관여한 연화질의 명단과 시주자의 이름까지 파악할 수 있으며, 안정된 화면 구성과 활달한 필선 등이 조화를 이루는 등 19세기 경기 현왕도의 도상과 화승의 활동내역을 파악할 수 있는 작품이다. |
'문화재 > 경기유형문화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4호) 파주 보광사 대웅보전 현왕도 (0) | 2023.04.23 |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3호) 용인 백령사 석조여래좌상 (0) | 2023.04.23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1호) 남양주 견성암 영산회상도 (0) | 2023.04.23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0호) 고양 원각사 관음보살도 (0) | 2023.04.23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89호) 윤씨 자기록 (0) | 2023.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