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보물

보물 (제2252호) 보은 법주사 천왕문

오늘의 쉼터 2024. 6. 8. 21:38
종 목
보물 (제2252호)
명 칭
보은 법주사 천왕문 (報恩 法住寺 天王門)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4.04.02
소 재 지
충청북도 보은군 법주사로 405 (속리산면, 법주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법주사
관 리 자
법주사
문화재설명
「보은 법주사 천왕문」은 정확한 창건 연대를 알 수 없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이후 법주사 재건이 이루어지던 17세기 초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2018년 천왕문 기둥과 사천왕상에 대한 연륜연대 분석결과, 기둥이 1619년과 1620년에 수렴하는 건축연대가 측정되어 있어 역사적 가치가 크다.
건물 규모는 정면 5칸, 측면 2칸으로 현존 천왕문 중 가장 크고 넓으며, 좌·우 협칸과 퇴칸에는 소조사천왕 2구씩 4구가 안치되어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규모가 제일 큰 소조상으로 보물로 지정(‘23. 10. 26.)되었다.
가구구조는 1고주 7량가로 몸체 구조부와 공포부, 지붕가구부를 초방*, 덕량*, 승두* 등의 부재를 활용하여 정교하고 치밀하게 정교하고 치밀하게 일체화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초방(初枋) : 창방 또는 인방의 뺄목, 끝머리 등을 초새김하여 장식한 것
* 덕량(德梁) : 도리와 종보 또는 동자주를 걸쳐대는 휨한 보
* 승두(蠅頭) : 중도리, 보가 장여 위에 걸칠 때 기울어지지 않게 직교하여 받치는 짧은 부재
포작은 외2출목, 내3출목 다포식 박공집임에도 정·배면 외 양 측면에도 포작이 짜여 있고 특히, 우주 상부 귀포는 45°방향 귀한대와 좌우대가 설치된 팔작집에서나 볼수 있는 전각포 형식을 갖춘 특징이 있으며, 특히, 내1출목에서 중첨차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법주사 원통보전, 팔상전, 대웅보전(상층) 등 정유재란 이후 재건되는 법주사의 주요전각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보은 법주사 천왕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