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보물 (제2104호) |
명 칭 | 안동 병산서원 만대루 (安東 屛山書院 晩對樓) |
분 류 |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서원 |
수량/면적 | 1동 |
지 정 일 | 2020.12.28 |
소 재 지 | 경상북도 안동시 병산길 386 (풍천면, 병산서원) |
시 대 | 조선시대(1717년 이전 건립) |
소 유 자 | 병산서원 |
관 리 자 | 병산서원 |
일반설명 만대루는 퇴계 이황의 문인으로 조선 중기 대표 문신・학자인 류성룡과 류진을 모신 병산서원의 누각건물로 유생들이 유식하고 주변 산천의 풍광을 보며 시회를 가졌던 공간임. 건립은 17세기 서원의 창건기에 비롯하였다는 점은 분명하지만, 현재의 건물이 그 당시의 것 그대로인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박하고 단단한 가구의 구성과 세부 기법의 처리는 조선후기의 번잡함이나 장식적 면과 다른 조선중기의 특색을 유지함. 만대루는 정면 7칸 측면 2칸 규모로 최소한의 구조부재만을 이용하여 공간을 조성하여 주변 자연경관과 하나가 되도록 조영하여 한국 누각 건물의 조형미와 절제미를 보여줌. 우리나라 서원의 문루 중 긴 장방형 평면과 벽체 없는 기둥과 간결한 가구 구조이며, 주요 경관 요소인 병산과 낙동강, 모래를 조망하도록 하여 주변의 탁월한 입지환경을 기반으로 내부에서 외부로의 시각적 경관성을 고려하였음. 강학 영역보다 낮게 조성한 대지 위에 절제된 건축은 주변 건물과 조화를 반영한 점이 서원의 본질적 질서체계와 건축 조영원리를 따르면서 병산서원만의 독자적인 입지 선정 및 지형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음. 서원 누각이 가져야 하는 기능을 잘 유지하면서, 경관을 이용하는 전통적인 조경 기법을 잘 살렸고, 인공적 조작과 장식을 억제하고 건축의 기본에 충실한 성리학적 건축관을 잘 보여주는, 우리나라 서원 누각의 대표작으로 평가됨. 이상의 사유로 역사적, 학술적, 건축사적 가치가 뛰어나 보물로 지정해 보존 관리할 필요가 있음. |
'문화재 >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2106호) 안동 도산서원 농운정사 (0) | 2023.04.12 |
---|---|
보물 (제2105호) 안동 도산서원 도산서당 (0) | 2023.04.12 |
보물 (제2103호) 구미 금오서원 상현묘 (0) | 2023.04.12 |
보물 (제2102호) 구미 금오서원 정학당 (0) | 2023.04.12 |
보물 (제2101호) 순천향교 대성전 (0) | 2023.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