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제281호 (노원구) |
---|---|
명 칭 | 도선사석삼존불상(道詵寺 石 三尊佛像) |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
수량/면적 | 3구 |
지정(등록)일 | 2009.03.05 |
소 재 지 | 서울 노원구 상계동 산154 (대한불교 조동종 도선사) |
시 대 | 고려말~조선초기 |
소유자(소유단체) | 대한불교 조동종 도선사 |
관리자(관리단체) | 대한불교 조동종 도선사 |
상 세 문 의 | 서울특별시 노원구 문화과 02-950-3089 |
일반설명
현재 도선사 법당에 봉안되어 있는 돌로 만든 삼존불좌상으로 삼존불 가운데 본존상은 좌우의 두 상에 비해 약간 큰 편이다. 중앙에 있는 본존불은 원래는 얼굴이 동그랗고 온화한 모습의 불안(佛顔)이었던 것으로 보이나, 지금은 마멸이 심하여 이목구비를 잘 알아볼 수 없다. 목과 백호가 새겨진 부분도 손상되어 후보(後補)된 상태이다. 대의는 어깨를 드러내는 편단우견식으로 입었고 어깨와 무릎에는 넓은 띠주름이 새겨져 있다. 오른손은 올려 수인을 결하고 있다.
향우측의 협시상은 머리 위에 원통형 보관을 쓰고 두 손으로 화염보주같은 지물을 들고 있으며 양 어깨 위에는 넓은 옷주름이 표현되어 있다. 그러나, 허리가 짧고 무릎 높이가 낮아, 전체적으로 본존상보다 왜소한 느낌을 주며 뒷면은 조각이 되지 않아 밋밋하다. 향좌측의 협시상은 머리가 없어진 것을 석고로 만들어 붙여 다소 부자연스러운 모습을 하고 있다. 정면은 통견식으로 법의를 입은 듯하고 양어깨에는 옷주름이 새겨져 있으나, 뒷면에는 편단우견식으로 오른쪽 어깨를 벗고 옷주름이 넓은 간격으로 사선으로 새겨져 있고, 두 손은 마주 대어 수인을 결하고 있다. 다리 위에는 옷주름이 사선으로 새겨져 있다. 이 불상은 전체적으로 체구의 비례면에서 균형감이 다소 떨어지고 훼손된 측면이 있지만, 세 상 모두 전체적으로 양감이 있고 안정된 자세를 보여줘 고려시대 석불의 전통을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불상은 목불이나 금동불에 비해 석불이 많이 전하지 않는 고려말~조선초기의 석조삼존상이라는 점에서도 가치가 있다. 도선사 석 삼존불상
도선사 석 삼존불상
|
'문화재 > 서울유형문화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제283호 (종로구) 지장암지장보살도(地藏菴 地藏菩薩圖) (0) | 2011.12.17 |
---|---|
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제282호 (노원구) 기원사독성도(祈願寺 獨聖圖) (0) | 2011.12.17 |
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제280호 (광진구) 상부암석불입상(上浮庵 石佛立像) (0) | 2011.12.17 |
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제279호 (중구) 대한천일은행창립관련문서및회계문서일괄 (0) | 2011.12.17 |
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제278호 (종로구) 백자청화화분문호(白磁靑畵花盆文壺) (0) | 2011.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