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경남유형문화재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83호 진주 월명암 목조 아미타여래좌상 <해제>

오늘의 쉼터 2010. 8. 31. 08:59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83호 (진주시)
명 칭 진주 월명암 목조 아미타여래좌상(晉州 月明庵 木造 阿彌陀如來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목조/ 불상
수량/면적 1구

지정(등록)일

2009.08.06~2011.04.28

소 재 지 경남 진주시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대한불교 조계종 월명암
관리자(관리단체) 월명암
상 세 문 의 경상남도 진주시 문화관광담당관실 055-749-2053
 
일반설명
 
월명암(月明庵) 인법당에 봉안되어 있는 목조아미타여래좌상(木造阿彌陀如來坐像)은 1612년에 수화승 현진(玄真)이 학문(學文), 명은(明隱), 의능(義能), 태훈(太訓) 4명의 조각승을 이끌고 제작한 불상이다. 복장발원문을 살펴보면, 상련대 관음보살좌상과 제작 시기와 날짜 그리고 불상 제작에 관련된 스님들의 중요 소임 등 시주자들을 제외한 대부분이 일치한다. 이를 통해 볼 때 월명암(月明庵) 목조아미타여래좌상(木造阿彌陀如來坐像)은 함양 상련대 관음보살좌상과 동시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상련대 관음보살좌상에서 공덕주로 나오는 벽암각성(碧巖覺性)이 월명암(月明庵) 목조아미타여래좌상(木造阿彌陀如來坐像)에서는 복장시주자로 나타나서 불상제작에 벽암각성(碧巖覺性)이 깊이 관련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월명암(月明庵) 목조아미타여래좌상(木造阿彌陀如來坐像)의 복장발원문은 불상에 다시 납입된 상태이다. 아미타불좌상(阿彌陀如來坐像)의 전체적으로 동시 조성된 상련대 관세음보살좌상보다 넓은 어깨와 당당한 신체 비례를 보인다. 불상의 두부는 둥글고 높은 복발형으로 앞으로 살짝 숙이고 있다. 나발 사이에 둥근 정상계주와 반달형의 중간계주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상호는 갸름한 타원형으로 이마는 넓은 편이며 반개한 두 눈은 좌우로 길게 뻗어 있다. 호형을 그리며 내려오는 콧대는 콧등이 얇고 돌출되어 있으며, 작은 입술에는 미소를 짓고 있어 전반적으로 인자한 모습이다. 넓은 어깨에 가슴은 편평하여 양감 있고, 허리는 길며 아랫배는 살짝 부풀어 있다. 수인은 오른손을 가슴 높이로 올리고 왼손은 오른발 위에 올려 자연스럽게 엄지와 중지를 맞대었다. 하체는 오른발을 위로 올린 결가부좌를 하고 있으며, 무릎은 낮고 넓은 편이어서 안정적인 자세이다. 법의는 일반적인 이중착의법으로 착용하였으며, 승각기는 가슴까지 올려 일자로 표현하였다. 다리를 덮은 대의자락은 형식화된 4단의 부채모양의 주름이 길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표현은 동시 조성된 상련대 관세음보살좌상과 유사하다. 월명암(月明庵) 아미타불좌상(阿彌陀如來坐像)은 현전하는 현진작 불상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얼굴의 형태는 동시 조성된 상련대 관세음보살좌상보다는 2년 후에 제작된 천은사 관음, 대세지보살좌상과 더욱 유사하다. 이후에 제작되는 1626년작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과 법주사 소조삼신불좌상은 얼굴이 크고 신체가 당당해지는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월명암(月明庵) 아미타불좌상(阿彌陀如來坐像)은 현진작 불상의 양식변화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며, 아울러 17세기 전반기에 나타나는 불상양식의 편년을 나타내는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 판단된다.

※복장유물(腹藏遺物)

후령통, 능엄경신주 11장, 묘법연화경 제6권 44장, 주서다라니 40장, 묵서다라니 9장, 묘법연화경 권3 등 55장, 묘법연화경 권4 등 81장, 묘법연화경 권7 등 89장
※조성발원문(造成發願文)

大乘庵創立己訖無佛像而夂矣壬子開春
如意而新造彌陀兩尊及双磎寺大像彌陀
形身破洛不知歲月夂矣扵今如舊重修柳
與新造觀音二尊等開眼點畢然後切有淨土
因緣而發願廣大大小檀越隨喜助緣等同證
金仙俱登覺岸爾
願以次功德普及於一切我等與衆生當極樂
國同見無量壽皆共成佛道
主上殿下壽萬世 世子邸下萬萬歲
王妃殿下壽千秋 國泰民安法輪轉
佛像大施主洪雲起兩主
烏金引勸施主金平舟
上大施主 宋非郞波時保體
泥金大施主 車漢連兩主 引勸文仝
腹藏大施主 覺性比丘 引勸施主金二龍
腹藏施主 鄭連福兩主 空俊比丘
腹藏施主 嚴愛福兩主 姸花
朱紅大施主 趙南 九應致金保體
供養大施主 金國只 尙宮訔德保體
末醬大施主 智崇比丘
布施大施主 鄭思竣
像匠秩 緣化秩
上畵員 玄眞比丘 別座 智崇比丘
副員 學文比丘 飯頭 淨修比丘
行斑 明訔比丘 熟頭 寶澄比丘
義能比丘 修菜 敏淨比丘
太訓比丘 助緣 海淨比丘
證明 正旭比丘 海堂比丘
持殿 處源比丘 海運比丘
冶工 慶星比丘 居士 鄭希保體
居士 朴延梅保體
幹善 普明比丘
萬曆四十年壬子十月初五月開眼點畢也 


보물 제1686호로 승격지정됨에 따라 2011년4월28일 해지.
 
 
 


월명암 목조 아미타여래좌상


월명암 목조 아미타여래좌상


월명암 목조 아미타여래좌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