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男],여[女]의 어원
※ 9자음 ※ 6모음
① [ㅇ] : 원천 꼴 ---> [원천]근원 ① [ㅏ] : 東(동방태양)
② [ㄷ] : 다음 꼴 ---> [다음]도달 ② [ㅓ] : 西(서방태양)
③ [ㅅ] : 시작 꼴 ---> [시작]솟음↑ ③ [ㅗ] : 南(남방태양)
④ [ㄴ] : 내부 꼴 ---> [내부]내림↓ ④ [ㅜ] : 北(북방태양)
⑤ [ㅂ] : 분리 꼴 ---> [분리]분산 ⑤ [ㅡ] : 수평(진행)
⑥ [ㅁ] : 뭉침 꼴 ---> [뭉침]모임 ⑥ [ㅣ] : 수직(마침,사람)
⑦ [ㄱ] : 곡선 꼴 ---> [곡선]꺽다
⑧ [ㅍ] : 평선 꼴 ---> [평선]펴다
⑨ [ㄹ] : 울림 꼴 ---> [울림]활동
변형자음
[ㅌ] : 특징 다음 꼴 ---> 다아서(투과, 튕김)
[ㅈ] : ㅅ(솟음)을 막는 꼴 ---> 저장, 조금솟음↑, 중간
[ㅊ] : 막힘을 뚫고 새로운 시작 꼴 ---> 처음솟음↑, 초월솟음↑
* 한글은 위 공식에 대입하여 풀면 한글의 뜻이 살아납니다.
※ [남(男)]
남(男) = ㄴ(내부) + ㅏ(밖) + ㅁ(뭉침)
ㄴ : 내부, 성기가 내부에서
ㅏ : 밖, 밖으로
ㅁ : 뭉침, 단단하게 뭉침
해설) 남(男) : 성기가 내부[ㄴ]에서 밖[ㅂ]으로 나와 단단하게 뭉치[ㅁ]는 사람
※ [여(女)]
여(女) = ㅕ(열림)
ㅕ : 열림, 성기가 열림
※ 논
논 = ㄴ(내림) + ㅗ(지상) + ㄴ(내림)
ㄴ = 내림, 물이 마지막으로 내려온 곳
ㅗ : 땅위
ㄴ : 내림
해설) 논 : 농사를 짖기 위하여 물이 마지막으로 내려[ㄴ]온 땅[ㅗ]
※ 밭
밭 = ㅂ(빛) + ㅏ(하다) + ㅌ(다음)
ㅂ : 빛
ㅏ : 하다
ㅌ : 다음,곡식이 잘 자라도록 빛이 다은 곳
해설) 밭 : 곡식이 잘 자라도록 빛[ㅂ]이 많이[ㅏ] 도달[ㅌ]하는 장소
※ 삽
삽 = ㅅ(솟음) + ㅏ(앞으로) + ㅂ( 모음)
ㅅ : 솟음, 뾰쪽꼴, 두 발 꼴 두 가지 뜻이 동시에 담김
ㅏ : 앞으로
ㅂ : 모음, 흙을 품
해설) 삽 : 뾰쪽[ㅅ]하[ㅏ]게 생긴 부분으로 땅을 파[ㅂ]는 농기구
※ 호미
호미 = ㅎ(원천) + ㅗ(좁은) + ㅁ(구멍) + ㅣ(마침모음)
ㅎ : 원천, 원천음으로 약한 소리
ㅗ : 좁음, 모음중 가장 입술이 작게 벌리고 내는 소리
ㅁ : 구멍
홈 : 좁은 구멍
ㅣ : 마침모음
해설) 호미 : 좁[ㅗ]은 구멍[ㅁ]을 파는 농기구[ㅣ]
홈[ㅎ,ㅗ,ㅁ]을 파는 농기구[ㅣ]
※ 고캥이
고캥이 = ㄱ(곡선) + ㅗ(강함) + ㅋ(깨다) + ㅐ(양성마침모음) + ㅇ(종성) + ㅣ(마침)
ㄱ : 곡선
ㅗ : 강함
ㅋ : 캐다
ㅐ : 깨다(ㅏ)가 흙에 다아 마침(ㅣ)
ㅇ : 마침자음
ㅣ : 마침모음
해설) 고캥이 : 끝이 곡선[ㄱ]으로 생겼고 흙을 캐[ㅋ]는 강한[ㅗ] 농기구[ㅣ]
※ 갈퀴
갈퀴 =ㄱ(곡선) + ㅏ(하다) + ㄹ(움직임) + ㅋ(캐다) + ㅜ(밑) + ㅣ(마침모음)
ㄱ : 곡선, 갈퀴의 모양
ㅏ : 하다
ㄹ : 움직임, 일함
ㅋ : 캐다, 땅을 캐다
ㅜ : 밑, 땅
ㅣ : 마침모음
해설) 갈퀴 : 곡선[ㄱ]모양으로 땅[ㅜ]을 갈[ㅏ,ㄹ]고 캘[ㅋ]때 사용하는 도구[ㅣ]
※ 쇠시랑
쇠시랑 = 쇠 + ㅅ(솟은)
쇠 : 쇠
ㅅ : 솟은
해설) 쇠시랑 : 쇠[쇠]가 포크쩌럼 솟[ㅅ]은 농기구[ㅣ]
※ 낫
낫 = ㄴ(내림) + ㅏ(하다) + ㅅ(속도)
ㄴ : 내림, 낮은 밑 부분
ㅏ : 하다, 낮다.
ㅅ : 속도, 지나가 자르다
해설) 낫 : 낮[ㄴ,ㅏ]은 밑을 자[ㅅ]르는 농기구
※ 망치
망치 = ㅁ(뭉침) + ㅏ(하다) + ㅇ(큰 울림) + ㅊ(치다) + ㅣ(마침모음)
ㅁ : 쇠뭉침
ㅏ : 하다
ㅇ : 물체를 쳐서 큰 울림이 나는 것을 형상화 한 것임
ㅊ : 치다
ㅣ : 마침모음
해설) 망치 : 쇠뭉치[ㅁ]로 무엇을 칠[ㅊ]때 쓰는 도구[ㅣ]
※ 장도리 망치
장도리 = ㅈ(솟지 못함) + ㄷ,ㅗ,ㄹ(돌림) + ㅣ(마침모음)
ㅈ : 솟지 못하게, 잡다
ㄷ,ㅗ,ㄹ : 돌리다
ㅣ : 마침모음
해설) 장도리 망치 : 못을 잡[ㅈ]아 돌[ㄷ,ㅗ,ㄹ]려서 못을 뺄 수 있는 망치[ㅣ]
※ 도끼
도끼 = ㄷ(다음) + ㅗ(강함) + ㄲ(깨다) + ㅣ(마침모음)
ㄷ : 다아서
ㅗ : 강함
ㄲ : 깨다
ㅣ : 마침
해설) 도끼 : 다아[ㄷ]서 깨[ㄲ]는 강한[ㅗ] 도구
※ 톱
톱 = ㅌ(강한 다음) + ㅗ(강함) + ㅂ(종성)
ㅌ : 다음, 강하게 닿는다
ㅗ : 강함
ㅂ : 결실, 나무를 자른다.
해설)톱 : 물체를 강[ㅗ]하게 다아[ㅌ]서 자르[ㅂ]는 도구
※ 대패
대패 = ㄷ(다음) + ㅏ(하다) + ㅣ(마침모음) + ㅍ(평평) + ㅏ(하다) + ㅣ(마침모음)
ㄷ : 다음, 대다
ㅏ : 하다
ㅣ : 마침모음
ㅍ : 평평
ㅏ : 하다
ㅣ : 마침모음
해설) 대패 : 대[ㄷ] 평평[ㅍ]하게 하[ㅏ]는 기구[ㅣ]
※ 빠로
빠로 = ㅃ(분리) + ㅏ(하다) + ㄹ(활동) + ㅗ(위)
ㅃ : 분리, 빼다
ㅏ : 하다
ㄹ : 활동, 움직임
ㅗ : 위로 힘
해설) 빠로 : 못을 분리[ㅃ]하는데 사[ㅏ]용하는 도구로 위[ㅗ]로 움[ㄹ]직여 뺀다.
※ 못
1, 못 = ㅁ(못 머리) + ㅗ(선 모습) + ㅅ(끝이 뾰족함)
ㅁ : 못 머리
ㅗ : 수직 모양
ㅅ : 끝이 뾰족한 모양
2, 못 = ㅁ(뭉침) + ㅗ(지면에 세워) + ㅅ(속도)
ㅁ : 뭉침, 두 물체를 뭉치게 함
ㅗ : 지면위에 세워서
ㅅ : 빠른 속도로 박아서
해설) 못 : 머리[ㅁ]를 수직[ㅗ]으로 쳐서 빠른속도[ㅅ]를 이용하여 박는다.
※ 뺀찌
뺀찌 = ㅃ(분리) + ㅐㄴ + 찌
ㅃ : 분리, 철사를 분리함
해설) 뺀찌 : 철사나 전선을 분리[ㅂ]할 때 사용하는 연장
※ 지게
지게 : ㅈ(저장) + ㅣ(마침모음) + 게
ㅈ : 저장, 지게 위에 물건을 실은 것을 표현함
ㅣ : 마침모음
게 : 게, 나무를 깨서 만든 얇게 조각이 난 막대기
예) 이쑤시게, 귀후비게, 불쏘시게
해설) 지게 : 짐[ㅈ]과 막대기[게]
※ 구루마
구루마 = ㄱ(곡선) + ㅜ(밑) + ㄹ(회전) + ㅜ(밑) + ㅁ(뭉침) + ㅏ(하다)
ㄱ : 곡선, 곡선으로 생긴 바퀴
ㅜ : 밑
ㄹ : 회전, 바퀴의 움직임
ㅜ : 밑
ㅁ : 뭉침, 짐
ㅏ : 하다
해설) 구루마 : 곡선[ㄱ]으로 생긴 바퀴를 회전[ㄹ]시켜서 짐[ㅁ]을 실어 나르는 도구
※ 사다리
사다리 = ㅅ(솟음) + ㅏ(하다) + ㄷ(다음) + ㅏ(하다) + ㄹ(윤활유) + ㅣ(마침모음)
ㅅ : 솟음, 세우다
ㅏ : 하다
ㄷ : 다음, 도달하기 위하여
ㅏ : 하다, 도달하다
ㄹ : 소리 사이를 부드럽게 해주기 위한 윤활유의 역활로 쓰였음
ㅣ : 마침모음
해설) 사다리 : 세[ㅅ]워[ㅏ]서 도달[ㄷ,ㅏ]기 위하여 사용하는 도구[리]
※ 칼
칼 = ㅋ(깍다) + ㅏ(앞) + ㄹ(활동)
ㅋ : 깍다
ㅏ : 앞
ㄹ : 움직임
해설) 칼 : 깍는[ㄲ,ㅏ] 도구로 손을 움직여[ㄹ] 깍는다.
※ 가세
가세 = ㄱ(가름) + ㅏ(하다) + ㅅ(솟음) + ㅔ
ㄱ : 가름, 자름
ㅏ : 자르다
ㅅ : 솟음, 자르는 속도를 표현하기 위하여 선택된 자음
ㅓ : 음성
ㅣ : 마침모음
해설) 가세 = 가르[ㄱ,ㅏ]는 도구로 속도[ㅅ]내어 자른다.
※ 멧돌
멧돌 = ㅁ(뭉침) + ㅓ(안) + ㅣ(마침모음) + ㅅ(속도) + 돌
ㅁ : 뭉침, 두 돌을 겹침(뭉침)
ㅓ : 안, 콩이 안에서 갈린다
ㅣ : 존재, 마침모음
ㅅ : 속도, 멧돌이 돌아감을 표현함
돌 : 돌[ㄷ(단단) + ㅗ(힘) + ㄹ(생명)]
돌에 ㄹ이 붙은 이유는 일(日), 월(月), 불, 물, 풀, 사람, 바람, 흙처럼 모두 ㄹ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사용된 사용된 자음입니다
해설) 멧돌 : 뭉처[ㅁ,ㅓ] 회전[ㅅ] 하는 돌[돌]
※ 다드미
다드미 = ㄷ(다음) + ㅏ(하다) + ㄷ(다음) + ㅡ(평평) + ㅁ(뭉침) + ㅣ(마침모음)
ㄷ : 다음, 몽둥이가 옷에 다음
ㅏ : 하다, 때리다
ㄷ : 다음, 두드리다
ㅡ : 평평, 몽둥이로 옷을 때려 평평하게 하다
ㅁ : 뭉침, 옷감을 강하게 뭉쳐서 쫙 펴지게 하다
ㅣ : 존재, 마침모음
해설) 다드미 : 다[ㄷ,ㅏ]고 두둘[ㄷ]기고 뭉치[ㅁ]게 하여 옷감을 펴[ㅡ]는 생활도구[ㅣ]
※ 바늘
바늘 = ㅂ(분리) + ㅏ(하다) + ㄴ(내부) + ㅡ(평평) + ㄹ(꼬불꼬불)
ㅂ : 분리, 바늘구멍
ㅏ : 하다
ㄴ : 내부
ㅡ : 평평, 옷감
ㄹ : 꼬불꼬불, 옷감안으로 들어갔다 나왔다 함
해설) 바늘 : 구멍난[ㅂ,ㅏ] 침이 옷[ㅡ] 내부[ㄴ]로 꼬불[ㄹ]거리면 옷을 꿰멘다.
※ 실
실 = ㅅ(선) +ㅣ(마침모음) + ㄹ(꼬불꼬불)
ㅅ : 선, ㅅ은 가늘게 세는 소리로써 수직, 수평, 선 처럼 선의 뜻으로도
사용되는 자음입니다.
ㅣ : 마침모음
ㄹ : 꼬불꼬불, 실은 꼬불꼬불하다.
해설) 실 : 가는 선[ㅅ]으로 꼬불꼬불[ㄹ]하게 생긴 줄[ㅣ]
※ 타래
타래 = ㅌ(다음) + ㅏ(하다) + ㄹ(회전) + ㅏ(하다) + ㅣ(마침모음)
ㅌ : 다음, 실끼리 다음
ㅏ : 하다, 감다
ㄹ : 회전, 실을 돌려서 감다
ㅏ : 하다, 감다
ㅣ : 마침모음
해설) 타래 : 실끼리 다[ㅌ,ㅏ]아서 돌[ㄹ]려 감[ㅏ]아 놓은 뭉치[ㅣ]
※ 빗
빗 = ㅂ(분리) + ㅣ(마침모음) + ㅅ(속도)
ㅂ : 분리, 빗살이 여러갈래로 분산되어 있음
ㅣ : 마침모음
ㅅ : 속도, 머리를 다듬을 때의 속도를 표현하기 위하여 선택된 자음
해설) 빗 : 여러 갈래로 분산[ㅂ]된 꼴로써 머리를 다듬[ㅅ]을 때 사용하는 물건[ㅣ]
※ 빗자루
빗자루 = ㅂ(분산) + ㅣ(마침모음) + ㅅ(속도) + ㅈ(솟음 멈춤) + ㅏ(하다) + ㄹ(꼬불꼬불) + ㅜ(음성모음)
ㅂ : 분리, 빗자루의 쓰는 부분이 여러갈래로 분산되어 있음
ㅅ : 속도, 빗자루 질을 할 때의 속도를 표현하기 위하여 선택된 자음
ㅈ : 솟음 멈춤, 여기서는 손에 잡힌 것을 표현하기 위하여 선택 된 자음입니다.
ㅏ : 하다, 잡다
ㄹ : 꼬불꼬불, 빗자루 질을 하는 모습를 표현하기 위하여 선택된 자음
ㅜ : 음성모음
해설) 빗자루 : 쓰는 부분이 여러 갈래로 분산[ㅂ]된 꼴로써 손으로 잡[ㅈ,ㅏ]고 꼬불꼬불[ㄹ]하게 마당을
쓸[ㅅ]때 사용하는 도구[ㅣ]
※ 마대
마대 = ㅁ(뭉침) + ㄷ(다음)
ㅁ : 뭉침, 모음
ㄷ : 다음, 담다
해설) 마대 : 모아서 담는 것
※ 푸대
푸대 = ㅍ(평평) + ㄷ(다음)
ㅍ : 평평, 푸대는 평평하게 생겼다,
ㄷ : 다음, 담다
해설) 푸대 : 평평[ㅍ]하게 생긴 것으로 담[ㄷ]는데 사용되는 자루
'종합상식 > 만물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굴 (0) | 2010.08.12 |
---|---|
단종이 유배된 영월 청령포 풍경 (0) | 2010.08.12 |
임진각 / 자유의다리 (0) | 2010.07.18 |
하루 그리고 하루살면서 (0) | 2010.07.10 |
乞人과 娼女와 天使 (0) | 2010.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