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60호 |
---|---|
명 칭 | 동방사지칠층석탑(東方寺址七層石塔) |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
수량/면적 | 1기 |
지정(등록)일 | 1974.12.10 |
소 재 지 | 경북 성주군 성주읍 예산리 269-10 |
시 대 | 고려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국유 |
관리자(관리단체) | 성주군 |
상 세 문 의 | 경상북도 성주군 새마을과 054-930-6063 |
일반설명
동방사터에 남아 있는 7층 석탑으로, 원래는 9층이었다고 전한다. 절터는 성주읍내에서 왜관으로 가는 국도를 따라 약 1㎞ 떨어진 도로변에 자리잡고 있는데, 신라 애장왕 때 창건되었다가 임진왜란 때 절이 모두 불타버리고 현재는 이 석탑만 남아 있다.
기단(基壇)의 네 면과 탑신(塔身)의 각 몸돌에는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으며, 특히 1층 몸돌에는 문(門)모양을 깊게 새겼다. 1 ·2 ·3층 지붕돌 네 귀퉁이에는 연꽃무늬가 조각되어 있는 것이 특징으로, 고려시대의 자유로운 조각양식이 엿보인다. 탑이 자리하고 있는 성주지역의 지형은 소가 누워서 별을 바라보는 형상으로, 이 때문에 냇물이 성주읍을 돌아 동쪽으로 빠져 나가는 것으로 보아, 성주땅의 기운이 냇물과 함께 빠져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이 탑을 세웠다고 전한다. 성주따의 기운을 보호하는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에 일명 ‘지기탑(地氣塔)’이라 부르기도 한다. ![]() 동방사지칠층석탑(전경) ![]() 동방사지칠층석탑 ![]() 측면 ![]() 동방사지칠층석탑 |
'문화재 > 경북유형문화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62호 영천 권응수 장군 유물 <해지> (0) | 2010.07.16 |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61호 성주 쌍충사적비 (0) | 2010.07.16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9호 대구 영영축성비 <해지> (0) | 2010.07.15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8호 상주 남장사 목각후불탱 <해제> (0) | 2010.07.15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7호 상주 남장사 철불비로자나불좌상 <해지> (0) | 2010.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