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부산유형문화재

부산광역시유형문화재 제38호 (금정구) 금강반야바라밀경변상

오늘의 쉼터 2010. 7. 11. 09:29

 

종 목 부산광역시유형문화재  제38호 (금정구)
명 칭 금강반야바라밀경변상(金剛般若바羅密經變相)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사찰본
수량/면적 1책
지정(등록)일 1999.11.19
소 재 지 부산 금정구  청룡동 546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범어사
관리자(관리단체) 범어사
상 세 문 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문화공보과 051-519-4372
 
일반설명
 
『금강경』의 내용을 요약하여 그림으로 해설한 책으로, 선조 3년(1570) 안동 광흥사에서 간행한 것이다. ‘금강경’은 금강반야바라밀경을 줄여서 부르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조계종의 근본경전으로 『반야심경』 다음으로 가장 많이 읽히는 불교경전이다.

변상도는 경전 속에 삽화 형식으로 배치되거나 책머리에 배치되는 두 가지 형식이 있는데 고려시대에는 삽화 형식으로, 조선시대에는 책머리에 붙여 두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 책은 상단에는 그림, 하단에는 경문이 있는 상하 2단으로 구성되어 있어

조선 전기까지는 삽화 형식의『금강경』이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체 77종의 그림이 실려 있어,『금강경』의 이해는 물론 조선 전기의 회화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금강반야바라밀경변상1

 


금강반야바라밀경변상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