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와 역사/고구려

16. 고국원왕(故國原王)

오늘의 쉼터 2008. 10. 27. 23:56

 

 

16. 고국원왕(故國原王)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고국원왕(故國原王)

■ ?∼371
■ 고구려 제16대왕
■ 재위 331∼371



※ 본문설명

국원왕(國原王) 또는 국강상왕(國岡上王)이라고도 하며, 한때 ‘소열제(昭烈帝)’라 칭하기도 하였으며, 이름은 사유(斯由) 혹은 유(劉), 교(釗)라고도 하였다. 아버지는 미천왕, 어머니는 주씨부인(周氏夫人)이다. 314년(미천왕 15) 정월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331년 2월 미천왕이 죽자 즉위하였다.

고구려는 미천왕대에 이어 요동지역 확보를 위하여 선비족(鮮卑族)의 일파인 모용부(慕容部)의 국가 전연(前燕)과 심각한 대립을 보였으므로, 왕은 336년 동진(東晉)에 외교사절을 파견한다든지, 338년 전연공격에 실패한 후조(後趙)와의 연결을 꾀하는 등 외교전에서의 우위확보에 노력하였고, 336년 모용황(慕容)의 즉위에 반대하여 일어난 ‘모용인(慕容仁)의 난’(333∼336)에 가담하였던 곽충(郭充)과 동수(壽)가 고구려로 도망쳐 오자 이들을 받아들였으며, 다시 338년 후조의 전연공격시 후조에 내통하였던 봉추(封抽) 및 송황(宋晃) 등이 역시 투항해 오자 이들을 받아들이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335년 제3현도군지역을 차지하여 그곳에 신성(新城:撫順北關山城)을 축조하였는가 하면, 342년 국도인 국내성(國內城)을 증축하여 전연과의 대결을 준비하였다.

그러나 후조 및 요서지방의 선비족의 일파인 우문부(宇文部)를 격파, 중원진출을 위한 후방의 안정을 얻기 위하여 342년 기습공격을 감행해 온 모용황의 침략을 받아 고구려의 국도는 함락, 파괴되고 선왕의 시신 및 왕모 주씨는 인질로 잡혀가는 한편, 왕 자신은 단웅곡(斷熊谷)으로 피신하는 등, 일대국난을 당하였다.

그리하여 343년 국도를 평양 동황성(東黃城: 지금의 江界?)으로 옮기는 한편, 전연에 사절을 파견하여 스스로 신하를 칭하기도 하였으며, 349년 고구려로 투항해왔던 송황을 다시 전연으로 돌려보내기도 하였고, 355년 전연으로부터 ‘낙랑공고구려왕 (樂浪公高句麗王)’에 봉해짐과 동시에 영주제군사 정동대장군 영주자사(營州諸軍事 征東大將軍營州刺史)라는 관직을 받기도 하였다.

그뒤 345년 모용각(慕容恪)의 남소성(南蘇城)으로 쳐들어 가기는 하였지만, 전연이 중원장악에 주력함에 따라 전연과의 관계는 소강상태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370년 전진(前秦)이 전연을 격파하고 고구려와 경역을 접하게 됨에 따라 고구려로 피신해온 전연의 권신 모용평(慕容評)을 전진으로 압송하는 등, 전진과의 우호관계의 수립에 노력하였다.

한편, 왕은 한반도 중부지역으로의 진출을 꾀하여 대방군(帶方郡) 지역으로 북진하고 있던 백제와 격돌하게 되었다. 왕은 369년 스스로 군대를 이끌고 백제를 침공하였으나, 치양(雉壤: 지금의 白川)전투에서 백제 태자 근구수(近仇首)가 이끄는 군사에 패배하였고, 371년 10월 고구려 깊숙이 진격해온 백제 근초고왕군을 맞아 평양성에서 싸우다가 유시(流矢)에 맞아 전사하여 고국원(故國原)에 묻혔다.


--------------------------------------------------------------------------------


▶ 참고문헌

三國史記
隋書
晉書
梁書
資治通鑑
高句麗東黃城考(李丙燾, 韓國古代史硏究, 1976)
高句麗平壤遷都의 動機(徐永大, 韓國文化 2, 1981)
南北朝時代の滿洲(箭內互, 滿洲歷史地理, 1913)
高句麗の南北道と南蘇·木底(今西春秋, 靑丘學叢 22, 1935)
晉代の遼東(池內宏, 滿鮮史硏究, 1951)

'뿌리와 역사 > 고구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 고국양왕(故國壤王)  (0) 2008.10.28
17. 소수림왕(小獸林王)  (0) 2008.10.27
15. 미천왕(美川王)  (0) 2008.10.27
14. 봉상왕(烽上王)  (0) 2008.10.27
13. 서천왕(西川王)   (0) 2008.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