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와 역사/고구려

◈ 고구려왕계

오늘의 쉼터 2008. 5. 12. 11:50

    고구려왕계

 

 

         불리지고모수═╤═.유화부인(하백의 딸)

                                    

           소서노1.추모왕(BC37~19)═╤══예씨부인(소야)

                        │    [고주몽.중해]           │

                        ├───┐                2.유리명왕(BC19~AD18) ═╤═ (송씨)송양의 딸  

                        비류      온조                                                      │ 고추가

             ┌──┬──┬────┬────┬──────┬────┴ㅣ┐      

           도절   해명  세류   3.대무신왕     여진         4 .민중왕            재사 ═╤═부여태후

                                     [무휼:19~44]                  [해색주:44~48]          │

                 갈사국왕녀═╣             ╠═ 원비               ┌─────────┼───────┐

                                   호동     5.모본왕[해색주]   6.태조왕[]          7.차대왕[수성]  8.신대왕[백고]

                                                 [49~53]              [54~146]           [146~165]         [65 ~ 179]

                                                                            ┌─┴─┐                  │                        │

                                                                          막덕      막근              추안                       │

                ────┬────────────┬────┬────────────────┴──┐

               (?)    9.고국천왕[이이모:179~197]   발기  10.산상왕[연우]  ═╤═ 후녀(주통부인)        계수

                               ║                                                [197~227]       │    

                          우씨왕후(우소 딸)                                                      │    

                                                                                                  11.동천왕[교체:227~248]

                                                                                                          │

                                                             ┌──────────────┴──────┬────┐

                  관나부인(장발미녀).══12.중천왕[연불: 248~270]═╤═연씨왕후          예불        사구

                                                                                                 │

             ┌────┬──────────────────────┴┬──┬──┬───┐ 

            (?)    13.서천왕[약로:270~292]╤ 우씨왕후(우수의 딸)     달가   일우   소발   (?)공주명림홀도(부마도위) 

                       ┌──────────┤                                                                              

               14.봉상왕[상부:292~300]    돌고

                    ┌┴┐                              │

                   (?)  (?)                      15.미천왕[을불:301~331]

                                                           ├───────────┐

                                                 16.고국원왕[사유:331~371]    무

                 ┌─────────────┴─┐

          7.소수림왕[구부:371~384]     18.고국양왕[이연:384~391] 

                                                                 │

                                                      19.광개토대왕[담덕:391~412]

                                                                 │

                                                         20.장수왕[거련:413~491]

                                                                 ├──────┐

                                                               조다               승천

                                                               │

                                                        21. 문자왕[나운:491~519]

                                ┌──────────┴─────────────┐

                        22.안장왕[흥안:519~531]한씨미녀                 23.안원왕[보연:531~545]  

                                                                                                           │

                                                                                                   24.양원왕[평성:545~559]

                                                                                                           │                           

                                                                                                   25.평원왕[양성:559~590]

                                                                             ┌─────────┼───────────┬───┐

                                                                     26.영양왕[]         27.영류왕[건무:618~642]    태양  평강공주═온달장군

                                                                         [590~618]                 │                                 │                   (부마도위)

                                                                                                          환권                       28.보장왕[보장:642~668]

                                                                                                                       ┌───┬───┼───┬───┐

                                                                                                                      복남     임무      덕남     덕무     안승 

 

 

 

고구려의 왕위 역사 

 

    

   동명성왕으로 불리는 고구려의 시조는 고주몽이라는 이름으로 가장 많이 알려져 있다.

그의 생애를 알 수 있는 이야기는 김부식의 『삼국사기』와 일연의 『삼국유사』,

이규보의 「동명왕편」에서 전하고 있다.

어느 날 부여의 금와왕은 태백산 남쪽 우발수(優渤水)에서 한 여인을 만나게 되었다.

그 여인은 이렇게 말하였다.

“저는 하백(河伯)의 딸로 이름은 유화(柳花)라고 합니다.

어느 날, 여러 아우들과 함께 나와 놀고 있었는데, 한 남자가 나타나서 자기는 천제의 아들 해모수라고

하면서 저를 웅심산 밑 압록강가에 있는 집으로 유인하여 정을 통해 놓고는 가서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부모님께서는 제가 중매 없이 혼인한 것을 꾸짖어 이 곳 우발수에 귀양보냈습니다.”

 이 말은 들은 금와왕은 이를 이상하게 여겨 그 여인을 데리고 와 깊숙한 방에 가두어 두었다.

그러나 햇빛이 그녀의 몸을 따라다니면서 비추더니 곧 임신을 하였고 얼마 뒤에 알을 하나 낳았는데,

그 알의 크기가 닷 되들이 바가지만 하였다.

금와왕은 이를 괴이하게 여겨 그 알을 개와 돼지에게 주었다.

그러나, 개와 돼지가 이를 먹지 않았다.

그러자, 다시 이 알을 길 한가운데에 버렸더니 소와 말이 그 알을 피하였다.

그리하여 또한 들판에 그 알을 버리자 새들이 모여 들어와 그 알을 품고 날개로 덮어 주었다.

금와왕이 그 알을 깨어 버리려고 하였으나 깨지지 않자,

하는 수 없이 그 알을 여인에게 도로 가져다 주었다.

여인이 그 알을 따뜻하게 덮어주자 마침내 한 사내아이가 껍질을 깨고 알속에서 나왔는데,

매우 영특하고 준수하게 생긴 아이였다.

사내 아이가 일곱 살이 되었을 때에 남들보다 재능이 뛰어났으며 활을 잘 쏘아 쏘는 것마다 백발백중이었다.

부여 사람들이 그 아이를 주몽이라 불렀는데, 이는 활 잘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금와왕에게는 일곱명의 아들이 있었다. 그런데, 이들 모두의 재능에 주몽보도 뛰어나지 못하였다.

큰아들의 이름은 대소(帶素)였는데, 그가 어느 날 금와왕에게 “주몽은 알에서 태어난 아이이니

매우 불길한 놈입니다.

그가 더 강해지기 전에 죽여버립시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금와왕은 활을 잘 쏘고 사냥을 잘한다는 이유를 들어 주몽을 죽인다면

백성들이 그를 비웃을 것이라 생각하였다.

그래서, 주몽에게 말을 돌보는 마구간지기를 하도록 시켰다.

주몽은 마구간지기를 하면서,

좋은 말은 먹이를 적게 먹여 여위게 만들고 나쁜 말은 잘 먹여 살찌게 만들었다.

그러자, 이를 모르는 금와왕은 살찐 말만을 골라 타고 주몽에게 여윈 말을 주었다.

또, 금와왕은 사냥에 나가서 주몽이 활을 잘 쏘므로 화살을 적게 주었다.

그러나, 주몽은 활을 잘 쏘아 적은 화살로도 짐승을 많이 잡았다.

그러자, 왕자들 뿐 아니라 신하들도 주몽을 죽이고자 하였다.

 이 사실은 안 주몽의 어머니 유화부인은 주몽에게 멀리 달아나 나라를 세우라고 타일러 말하였다.

주몽은 어머니의 명을 따라 오이(烏伊), 마리(摩離), 협보(陜父) 등 세 사람을 데리고 부여에서

달아나기로 하였다.

떠나기 전날 밤에 주몽은 임신중이던 그의 아내에게 반 토막의 칼을 신표로 주면서 장치 사내아이가

태어나거든 자신을 찾아오게 하라는 말을 남겼다.

 달아나던 주몽의 일행이 엄체수(淹遞水)에 이르렀을 때, 그곳에 다리가 없어 건너지 못하였는데,

대소의 군사들이 주몽을 뒤쫓아오고 있었다.

그러자, 주몽이 “나는 천제의 손자요, 하백의 외손이다.

오늘 도망가는데 뒤쫓는 자가 거의 이 곳에 당도했으니 어찌해야 하겠느냐?”고 큰 소리로 외쳤다.

 주몽의 외침이 끝나자,

강물에서 고기와 자라가 떠올라 다리를 만들어 이들이 건널 수 있도록 해 주었다.

주몽 일행이 무사히 강을 건너자 물고기와 자라들은 다시 강물 속으로 들어가 버렸고,

이들을 뒤쫓던 무리들은 결국 주몽을 잡지 못한 채 돌아갈 수 밖에 없었다.

 금와왕의 압박에서 벗어난 주몽 일행은 졸본부여의 영토인 모둔곡(毛屯谷)이라는

험한 요새에 터를 잡고 그 세력을 확장해 나갔다.

세력이 어느 정도 커진 이후에 주몽은 담판을 짓기 위해 졸본부여의 왕을 찾아갔다.

졸본부여왕 연타발(延陀勃)은 이미 대세가 주몽에게로 기운 것을 알고는 자신의 딸을 주몽에게 주며

사위로 삼고 나라를 주몽에게 넘겨 주었다.

주몽 일행은 모둔곡에서 베옷 입은 사람과 장삼옷 입은 사람과 마름옷 입은 사람을 만나 이름을 물으니

그들은 각각 재사(再思), 무골(武骨), 묵거(默居)라 대답하였다.

그러자 주몽은 이들에게 극씨(克氏), 중실씨(仲室氏), 소실씨(少室氏)라는 성을 주고 함께 나라를 세우자며

졸본천으로 데리고 갔다.

졸본 땅은 기름지고 아름다우면서 험한 곳이었기 때문에 그곳에 도읍을 정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아직 궁실을 지을 겨를이 없어 비류수 상류에 집을 짓고 살면서 나라이름을 고구려(高句麗)라

하였고 고(高)를 성씨로 삼았다.

이 때, 주몽의 나이 22세로, 한 효원제 건소 2년(기원전 37년)이었다.

 즉위한지 4년째에 주몽은 성을 쌓고 궁궐을 지었다.

그리고 즉위 6년에 오이와 부분노를 시켜 태백산의 동남쪽에 있는 행인국을 정복하도록 하여 영토를 확장하였다.

즉위 10년인 기원전 28년에는 북옥저 지방을 병합하고,

즉위 14년에는 주몽의 생모인 유화부인이 동부여에서 사망하였다.

주몽은 친어머니가 죽었다는 말을 듣고 부여에 사신을 파견하여 조의를 표하였다.

즉위 19년인 기원전 19년에 동부여에서 유리왕자가 어머니와 함께 고구려로 탈출해 왔다.

그러자, 주몽은 졸본에서 태어난 비류와 온조를 제치고 유리를 태자로 책봉하였다.

그리하여, 비류와 온조는 고구려를 떠나 남쪽으로 내려가 백제를 세웠다.

그 해 9월에 주몽은 갑자기 세상을 뜨게 되니

이 때의 나이 40세였으며 장지는 용산(龍山)이었다.  

(제 2대)  유리(명)왕

 주몽이 부여에서 달아날 때, 아내 예씨의 태중에 있던 아기가 바로 유리이다.

이 때 주몽은 신표로서 반토막의 칼을 아내에게 주며 사내아이가 태어나면 자신을 찾아오라는

말을 남기고 떠났다. 따라서, 아버지 없는 유복자와 같은 처지에서 태어나 성장하였다.

금와왕의 아들 대소는 여러 차례 유리와 그의 어머니를 죽이려 하였으나 유화의 간곡한 부탁으로

금와왕이 이들의 목숨만은 살려 두었다.

유화부인은 금와왕과 대소의 눈길을 피해 유리를 돌보았다고 한다.

유리는 아버지 주몽을 닮아 영리할 뿐 아니라, 활을 잘 쏘고 말도 잘 탔다고 한다.

유리 모자를 돌봐주던 유화부인이 세상을 떠나자 신변에 위협을 느낀 유리모자는

주몽을 찾아가기로 결심하고 부여를 떠나 고생 끝에 졸본성에 도착하게 된다.

그리고 주몽이 남기고 간 반 토막의 칼을 내밀어 자신을 증명하였다.

이렇게 급작스럽게 유리가 등장하자,

주몽과 소서노 사이의 두 아들 비류와 온조 사이에 왕위 계승을 둘러싼 갈등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유리가 결국 태자로 책봉되고 이후 얼마 후 주몽이 세상을 떠나자 고주몽의 유언에 따라 유리가

그 뒤를 이어 고구려왕으로 즉위하였다.

그러자,

이에 반기를 들었던 비류와 온조는 무리를 이끌고 고구려를 떠나 남쪽으로 내려가 백제를 세우게 된다.

유리왕은 즉위 11년인 기원전 9년에 국경을 자주 넘어오는 선비족을 대대적으로 토벌하기 시작하였다.

본래, 선비족은 험한 산속에 숨어 있으면서 유리하면 나와 약탈을 일삼고 불리하면 들어가는

게릴라 전법을 구사하였다.

 유리왕은 부분노 장군과 함께 선비족을 그들의 은신처 부근에서 싸움을 건 후,

패한 체하면 달아나는 전법으로 유인해 내어 크게 싸워 이겼다.

그리고 이로써 선비족을 복속시킬 수 있었다.

이 전투가 끝나고 왕은 부분노의 공을 높이 사며 선비가 살던 땅을 식읍으로 주었으나 부분노는 사양하였다.

그러자 유리왕은 부분노에게 황금 30근과 좋은말 11필을 내렸다.

유리왕은 재위 22년에 수도를 국내성으로 옮기고 위나암성을 쌓았으며,

31년에는 중국의 신나라를 세운 왕망과 전쟁을 벌였다.

또한, 그 다음해에는 부여의 공격을 받았으나 왕자 무휼이 이를 물리치자

그 공을 인정해 무휼을 태자로 책봉하였다.

33년에는 주몽이 데리고온 오이와 마리라는 장수를 보내어 서쪽 지방에 있던 양맥(梁貊)을 정벌해

멸망시켰으며 한나라 현도군에 속해있던 고구려현을 습격하기도 하였다.

그러던 중,

즉위 37년 4월 왕자 여진이 물에 빠져 죽고 같은 해 10월 두곡(豆谷)이라는 곳에서 왕이 사망하니,

두곡의 동쪽 언덕에 장사지냈다. 

 
 

  유리왕의 셋째 아들로 어머니는 다물도주 송양의 딸 송씨이다.

이름은 무휼인데, 유리왕 33년인 14년에 태자로 책봉되었는데 이 때 나의 11세였다.

해명태자가 유리왕의 명으로 자결했을 때 무휼은 6살이었는데,

이 때 이미 조리있게 말을 잘 하였으며 10살에는 귀신같은 전술로 부여군을 섬멸하였다고 전하고 있다.

삼국사기에는 무휼이 나면서부터 총명하고 성장하며 인품이 뛰어난 데다가 지략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리하여 해명태자가 죽자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유리왕이 세상을 떠난 18년에 그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대무신왕은 즉위 기간동안, 할아버지 주몽의 원수와도 같은 부여의 대소와 전쟁하여 이를 꺽어 동부여 땅을

병합하였다.

또한, 후한 요동태수의 침공을 격퇴하였고 최리(崔理)의 낙랑국을 호동왕자의 활약에 힘입어 공격하는 등

주변 부족국가를 병합하여 영토를 확장하였다.

그리고,

후한의 광무제에게 정식으로 사신을 보내어 국제무대에서 처음으로 고구려가 국가로서 인정받게 하였다.

대내적으로는 을두지(乙豆智), 송옥구(松屋句)와 같은 인재를 등용하여 좌우보체제(左右輔體制)로 국정을

운영하여 중앙집권적 통치체제의 기초를 다졌다.

이같은 업적을 남긴 대무신왕은 즉위 27년인 44년 10월에 세상을 떠났으며 대수촌원(大獸村原)에 장사지냈다.

 

 

(제 4대)  민중왕

 

민중왕의 생애와 업적에 대해서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약간의 기록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민중왕은 대무신왕의 동생으로 이름은 해색주(解色朱)이다.

37년에 대무신왕이 낙랑을 습격하여 이를 빼앗자 대무신왕 44년에 후한의 광무제가

이를 정벌하기 위해 군대를 일으켰는데 이 전쟁에서 왕이 죽었다.

이 때, 태자인 해우의 나이가 어려 아직 사를 맡기 어려웠으므로 부족장들이 모여 동생인 해색주를

왕으로 삼았다고 한다.

그러나, 이와 달리 삼국유사에는 민중왕이 대무신왕의 아들이고 모본왕의 동생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민중왕은 즉위 4년째 되던 해에 민중원이라는 곳으로 사냥을 나가 커다란 석굴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자신이 죽으며 이곳에서 장사를 지내달라고 하였는데, 그로부터 민중왕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같은 해 10월에 잠지락부(蠶支落部)의 대가(大家, 大加)인 대승(戴升) 등 1만여 가(家)가 한나라가 지배하던

낙랑군으로 도피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재위 5년인 48년에 세상을 떠났으며 그가 유언하였던 민중원의 석굴에 장사지냈다. 

(제 5대)  모본왕

대무신왕의 첫째 부인에게서 태어난 아들로 이름은 해우(解憂), 또는 해애루(解愛婁)로 기록되어 있다.

호동왕자가 자결한 직후인 32년 12월에 태자로 책봉되었으나, 대무신왕이 죽은 44년에 나이가 어려서

왕위를 이을 수 없다고 하여 숙부인 민중왕이 왕위에 올랐다.

그리고, 민중왕이 재위 5년만에 죽자 비로소 왕의 자리를 이었다.

즉위 2년째 봄에 군사를 파견하여 한나라의 북평(北平), 어양(漁陽), 상곡(上谷), 태원(太原)을 습격하였다.

한나라 북평은 지금의 북경으로 바로 하북지방이며, 상곡은 북평 바로 위이다.

또한 태원은 태행산 서쪽에 있는 산서성의 치소가 있는 곳이며, 이곳에서 낙하가 발원한다.

여기까지 모본왕이 습격해 들어갔다면 이는 대단한 업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왕은 요동태수 채동(蔡?)이 은의와 신의로써 왕을 대접하자 화친하였다.   

그 해 3월에 태풍이 불어 나무가 뽑히고 4월에는 우박이 내렸는데,

8월에 왕이 사자를 보내어 국내의 굶주린 백성들을 구제하였다고 한다.

이 때 모본왕의 나이는 기껏해야 20세 미만이었으니

이러한 사실만으로 볼 때 초창기 모본왕은 매우 현명한 왕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모본왕에 대해서는 이와 정반대의 기록이 함께 전해진다.

재위 4년째인 51년의 내용은 이러하다.

“왕은 날로 포악해져 늘 사람을 깔고 앉거나 베개로 베고 누웠는데, 만약 그 사람이 조금이라도

  움직이면 가차없이 죽이고,신하로서 간하는 자가 있으면 활을 당겨 쏘아 죽였다.”

결국, 이 기록에서와 같이 모본왕은 성품이 어질지 못하고 국사를 제대로 돌보지 않아

백성들의 원망을 샀으며 재위 6년인 53년에 시종이었던 두로(杜魯)에게 살해당하였다고 한다.

모본왕은 죽은 후 모본 언덕에 묻혔으며 태조왕이 다음 왕위를 이었다.

또한, 기록에 의하면 유리왕부터 모본왕까지 성씨를 해씨라 했고 출신 부족이 소노부였다.

반면, 태조왕은 성씨가 고씨이며 출신 부족을 계루부라고 전한다.

따라서, 다음의 태조왕대부터 왕위가 소노부에서 계루부로 넘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제 6대)  태조대왕

  태조대왕의 이름은 궁(宮)이었으며 아명은 어수(於漱)였다.

기록에 의하면 그는 유리왕(琉璃王)의 아들인 재사(再思)와 부여 출신 어머니와의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후한서(後漢書)』 태어나면서 곧 눈을 뜨고 사람을 보았다고 한다.

53년에 모본왕(慕本王)이 살해된 후 연로한 아버지 재사가 왕위를 사양하여 불과 7세의 나이로 즉위하였다.

  태조대왕은 활발한 영토확장전쟁을 벌였다.

56년(태조대왕 4년) 동옥저를 정복하여 동으로는 동해, 남으로는 살수(薩水)에 이르기까지 영역을 확장하였다.

68년(태조대왕 16년)에는 갈사국(曷思國)을 병합하고,

72년(태조대왕 20년)에는 조나(藻那)를 공격하여 왕을 사로잡고,

74년(태조대왕 22년)에는 주나(朱那)를 공격하여 왕자 을음(乙音)을 사로잡았다.

 그리고 98년(태조대왕 46년)에는 책성(柵城)을 순수(巡狩)하였고,

102년(태조대왕 50년)에는 책성을 안무(安撫)하였고,

114년(태조대왕 62년)에는 남해(南海)지방을 순행하여 새로 병합된 지역에 대한 통제력을 넓혔다.

 한편 대외관계에 있어서 후한(後漢)에 대하여 적극적인 공세를 펼쳤다.

즉, 55년(태조대왕 3년) 요서지역에 10성을 쌓아 후한의 침공에 대비하였다.

105년(태조대왕532년)에는 후한의 요동군(遼東郡)을,

111년(태조대왕 59년) 118년(태조대왕 67년)에는 예맥(濊貊)과 함께 현도군(玄?郡) 및 낙랑군(樂浪郡)의

화려성(華麗城)을 공격하였다.

그리하여 121년(태조대왕 69년) 후한의 유주자사(幽州刺史) 풍환(馮煥), 현도태수 요광(姚光),

요동태수 채풍(蔡諷)의 침공을 받았으나, 오히려 요동, 현도를 공격하고

현도군 소속의 후성(候城)을 불태우기도 하였다.

4월에는 요동의 선비족(鮮卑族)과 함께 요동군의 요대현(遼隊縣)을 공격하여 태수 채풍을 죽였다.

12월과 이듬해인 122년(태조대왕 70년)에는 마한, 예맥과 더불어 현도군, 요동군을 공격하였다.

146년(태조대왕 94년)에는 요동군의 신안거향(新安居鄕)과 서안평(西安平)을 공격하여 대방현령(帶方縣令)을

죽이고 낙랑태수(樂浪太守)의 처자를 생포하는 등, 후한과 낙랑과의 교통로를 위협하기도 하였다.

한편 68년(태조대왕 16년)에는 투항한 갈사왕(曷思王)의 손자 도두(都頭)를 우태(于台)로 삼고,

74년(태조대왕 22년)에는 주나의 왕자 을음을 고추가(古鄒加)에 임명하는 등,

주변 소국의 지배세력을 왕권아래에 편제하였다.

 121년(태조대왕 69년) 후한 유주자사의 침입을 물리치면서 권력을 장악한 동생 수성(遂成)이 왕위를 노리자

결국 좌보(左輔) 고복장(高福章)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146년 수성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별궁에서 은거하다가,

165년 119세로 죽었다고 전한다.

그러나 『후한서』에는 121년에 죽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제 7대)  차대왕

  차대왕의 이름은 수성(遂成)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태조대왕(太祖大王)의 동생(『후한서(後漢書)』에는 아들로 전한다)으로 전한다.

 차대왕은 용감하지만 인자함이 적은 성품인 것으로 전해진다.

 수성은 121년(태조대왕 69년)에 후한(後漢)의 유주자사(幽州刺史) 풍환(馮煥) 등의 침공을 격파한 공으로

 군사와 국정 전반에 관한 업무를 장악하였다.

이후 더욱 그 세력이 커져 측근세력들과 더불어 왕위를 노리다가 마침내 146년 태조대왕의 양위를 받아

76세의 나이로 즉위하였다.

그러나 『후한서』에는 121년에 즉위한 것으로 되어 있다.

즉위 후 147년(차대왕 2년)에 측근세력이었던 관나부(貫那部) 패자(沛者) 미유(彌儒), 환나부(桓那部)

우태(于台) 어지류(瘀支留), 비류나부(沸流那部) 조의(早衣) 양신(陽神) 등을 각각 좌보(左輔)

�중외대부(中畏大夫)에 임명하였다.

한편 태조대왕의 측근세력인 우보(右輔) 고복장(高福章)과 태조대왕의 아들인 막근(莫勤) 막덕(莫德)을

제거하였다.

나아가 자신의 동생인 백고(伯固)를 축출하는 등 왕권의 강화를 도모하였다.

그러나 재위기간 중에 천재지변이 계속되고 사회불안이 계속되는 가운데

165년 연나부((椽那部) 조의(早衣) 명림답부(明臨答夫)에게 시해당하였다. 

(제 8대) 신대왕

 신대왕의 이름은 백고(伯固) 혹은 백구(伯句)였다.

신대왕의 가계에 대해서는 태조대왕의 동생, 태조대왕의 아들, 차대왕의 아들이라는 등 여러 설이 있다.

그는 성품이 영특하고 인자하였다고 전해진다.

형인 차대왕의 탄압으로 산골에 은거하고 있다가, 차대왕이 명림답부(明臨答夫)에 의하여 살해된 뒤 즉위하였다.

그러나 『삼국유사(三國遺事)』에서는 태조대왕과 차대왕을 살해하고 왕위에 오른 것처럼 기록되어 있다.

즉위한 이듬해인 166년(신대왕 2년) 대사면령을 내려 차대왕의 태자 추안(鄒安)을 양국군(讓國君)에 봉하고

식읍(食邑)을 내려주는 등 세력의 통합에 힘을 기울였다.

 한편 고구려 최고관직이던 좌보(左輔)와 우보(右輔)를 개편하여 국상(國相)이라는 관직을 설치하고

명림답부를 임명하여 귀족세력들을 조정하고 통제하려 하였다.

그리고 176년(신대왕 12년) 왕자 남무(男武)를 태자로 책봉하여 왕위의 부자상속제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후한(後漢)과는 즉위 초기에는 평화정책을 추구하다가 점차 충돌이 거듭되었다.

169년(신대왕 5년)과 172년(신대왕 8년)에 후한의 현도태수(玄?太守) 경림(耿臨)의 침입을 받기도 하였지만,

여러 차례에 걸쳐 요동군을 공격하였다.

또 169년(신대왕 5년)에는 대가(大加) 우거(優居)와 주부(主簿) 연인(然人)을 파견하여 당시 요동

요서지역의 신흥세력으로 등장하던 공손탁(公孫度)을 도와 부산적(富山賊)을 공격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공손탁이 독립세력으로 등장한 것은 190년 이후이기 때문에 후대의 사실이

신대왕 때의 사건으로 잘못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179년 91세로 죽고 고국곡(故國谷)에 장사하였다고 전해진다. 

(제 9대) 고국천왕

 고국천왕의 이름은 남무(男武)이며 국양왕(國襄王) 혹은 국양왕(國壤王)이라고도 한다.

신대왕(新大王)의 둘째 아들로 176년(신대왕 12년) 태자로 책봉되었고,

신대왕이 죽은 뒤 국인(國人)의 지지를 받아 즉위하였다.

고국천왕은 키가 9척이나 되고 위엄을 갖춘 외모에 가마솥을 들만큼 힘이 장사였다고 한다.

또한 잘 듣고 판단하며 관용과 용맹을 떨쳤다고 기록되어 왕으로서의 자질이 충분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180년(고국천왕 2년) 연나부(椽那部) 우소(于素)의 딸을 왕비로 맞았다. 184년(고국천왕 6년)

후한 요동태수의 침입을 격퇴시켰다.  

190년(고국천왕 12년)∼191년(고국천왕 13년)에 걸친 연나부의 좌가려(左可慮)와 어비류(於卑留)의

반란을 진압하였다.

194년(고국천왕 16년) 진대법(賑貸法)을 실시하여 농민 생활을 안정시켰다.

그리고 지속적인 개혁을 통한 왕권의 강화를 이루기 위해 191년(고국천왕 13년) 파격적으로 한미한

집안 출신인 을파소(乙巴素)를 국상(國相)으로 임명하기도 하였다. 

(제 10대) 산상왕

  산상왕의 이름은 연우(延優) 혹은 이이모(伊夷模)이다.

신대왕의 아들이며 고국천왕의 동생으로 우씨왕후(于氏王后)와 귀족세력의 추대를 받아

고국천왕에 이어 즉위하였다.

왕비는 형수였던 우씨왕후였다.

소후(小后)는 관노부(灌奴部) 주촌통(酒村桶) 출신의 여인으로, 209년(산상왕 13년) 그녀와의 사이에서

태자 교체(郊?, 뒤의 동천왕)를 낳았다.

산상왕이 즉위한 197년(산상왕 1년) 형인 발기(發岐)가 왕위계승에 불만을 품고 소노부(消奴部)

세력과 더불어 궁성을 포위하기도 하였을 뿐만 아니라 후에는 요동지방에서 세력을 떨치던 공손씨(公孫氏)의

군대를 이용하여 고구려를 공격하였으나

산상왕의 동생인 계수(須)가 물리쳤다.

공손씨와는 이후로도 계속 긴장관계가 유지되었고 공손씨의 영역인 현도군을 공격하기도 하였다.

한편, 198년(산상왕 2년) 환도성(丸都城)을 쌓고 209년(산상왕 13년) 이곳으로 천도하였다고 하는데

천도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227년 5월에 죽어 산상릉(山上陵)에 장사하였다. 

(제 11대) 동천왕

  동천왕은 동양왕(東襄王)이라고도 하였다.

동천왕의 이름은 우위거(憂位居), 위궁(位宮)이라고 불렸는데 위궁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태어나면서부터 눈을 뜨고 능히 사물을 보아서 선조인 태조왕(太祖王) 궁(宮)을 닮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산상왕(山上王)의 아들로 어머니는 관노부(灌奴部) 주통촌(酒桶村) 출신의 주통부인(酒桶婦人)이었다.

어렸을 때의 이름은 체(郊)였다. 성품은 관대하고 인자하였다고 한다.

 

213년(산상왕 17년) 태자로 책봉된 후 산상왕이 죽자 즉위하였다.

 재위기간 전반기에는 요동지방에서 세력을 구축한 공손씨(公孫氏)와 대립이 계속되었다.

 

234년(동천왕 8년) 이래 오(吳)나라와 외교관계를 단절하고 공손씨의 배후에 있던 위(魏)나라와

외교관계를 강화하였다.

 

238년(동천왕 12년)위나를 도와 공손씨세력을 멸망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고구려의 기대와는 달리위나라와 국경을 접하게 되면서 위와 긴장이 높아진다.

 

242년고구려는(동천왕 16년)에 위에 대한 선제공격을 감행하였다.

 

그러나 위는 유주자사(幽州刺史) 관구검(관丘儉)으로 하여금

244년(동천왕 18년)과 245년(동천왕 19년)에 두 차례에 걸쳐 고구려를 공격하였다.

 

초기에는 고구려가 유리하였으나 위의 4각형 진법(陳法)에 걸려 대패하였다.

결국 수도인 환도성(丸都城)은 함락당하여 파괴되었고 동천왕은 남옥저(南沃沮)를 거쳐

북옥저(北沃沮) 방면으로 패주하였다.

 

이때 밀우(密友), 유유(紐由) 유옥구(劉屋句) 등의 활약으로 상황을 반전시키며 위군을 낙랑방면으로 몰아냈다.

그러나 위의 침입으로 환도성은 왕이 거처할 수 없을 정도로 파괴되었고

247년(동천왕 21년) 평양성(平壤城, 평북 강계지방으로 추정)으로 일시 천도하였다고 전해진다.

한편 『삼국사기(三國史記)』에 기록된 245년(동천왕 19년)과 248년(동천왕 22년) 신라와의 교섭은 당시

상황으로 보아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

 

248년에 왕이 죽자 왕의 은덕을 사모하여 왕을 따라 죽은 사람이 많았다고 전해진다.

 이에 중천왕(中川王)은 따라죽지 말 것을 명하기도 했지만 장례일에 따라 죽은 사람이 많자

나라 사람들이 나무로 시신을 덮어주었다고 한다.

 현재 평안남도 강동군 마산면에는 동천왕릉으로 전해지는 고구려 봉토분(封土墳)이 있다.

 

(제 12대) 중천왕

 중천왕은 일명 중양왕(中壤王)이라고도 한다.

중천왕의 이름은 연불(然弗)이다.

 

동천왕(東川王)의 아들로 243년(동천왕 17년)에 태자가 되었고, 왕이 죽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외모가 준수하고 지략이 있었다고 한다.

 왕비는 연나부(椽那部) 출신인 연씨(椽氏)이다.

 즉위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동생 예물(豫勿) 등이 모반하자 연나부의 지원을 받아 반란을 진압하고

 정국을 안정시켰다.

250년(중천왕 3년) 국상(國相)인 명림어수(明臨於漱)로 하여금 군사관계의 일도 아울러 관장하게 하였다.

 

251년(중천왕 4년) 왕비 연씨와 더불어 왕의 총애를 다투던 관나부(貫那部) 출신인 관나부인(貫那夫人)을

 투기가 심하다는 이유로 서해바다에 수장시켜 버렸다.

 

254년(중천왕 7년) 명림어수가 죽자, 비류나부(沸流那部) 출신인 음우(陰友)를 국상에 임명하였다.

 

255년(중천왕 8년) 왕자 약로(藥盧, 뒤의 서천왕)를 태자로 삼았다.

 한편 다음해(256년)에는 공주를 연나부 출신 명림홀도(明臨笏都)에게 시집보냈다.

 

259년(중천왕 12년) 위(魏)나라의 위지해(尉遲楷)가 침략해오자 양맥지곡(梁貊之谷)에서 격파하였다.

 재위 23년 만에 죽자 중천지원(中川之原)에 장사지냈다고 한다.

(제 13대) 서천왕

 서천왕은 서양왕(西壤王)이라고도 전한다.

서천왕의 이름은 약로(藥盧), 약우(若友)로 불렸다 중천왕(中川王)의 둘째 아들로 255년(중천왕 8년)에

 태자로 책봉된 후 부왕이 죽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성품이 총명하고 인자하여 사람들로부터 사랑과 존경을 받았다고 한다.

 왕비는 서부(西部) 대사자(大使者) 우수(于漱)의 딸인 우씨왕후이다.

 

271년(서천왕 2년) 국상(國相) 음우(陰友)가 죽자 그의 아들 상루(尙婁)를 국상으로 임명하는 등

기존의 정치질서를 인정하였다.

 

273년(서천왕 4년)에는 기근이 들자 창고를 열어 백성을 구제하였다.

 

고구려 동북쪽에 있던 숙신(肅愼)을 통제하기 위해서 276년(서천왕 7년)과 288년(서천왕 19년)에

 신성(新城)에 행차하였다.

 

그러나 고구려의 간섭이 강화되자 숙신(肅愼)은 280년(서천왕 11년) 고구려의 변경을 침입하고 백성들을

살해하였다.

 이에 맞서 서천왕의 동생 달가(達賈)는 숙신을 공격하여 단로성(檀盧城)을 함락시키고 추장을 죽였으며,

 숙신인 600여가를 부여 남쪽의 오천(烏川)에 집단이주시켰고 항복한 부락 6, 7개소를 다스렸다.

 서천왕은 숙신을 성공적으로 정벌한 후 달가를 안국군(安國君)에 봉하고 군사권을 주어 양맥(梁貊) 및

 숙신의 여러 부락을 다스리도록 하였다.

 

286년(서천왕 17년)에는 왕위를 찬탈하려던 동생인 일우(逸友)와 소발(素勃)을 제압하였다.

 

292년에 죽었는데 서천지원(西川之原)에 장사하였다고 한다.

 한편 서천왕릉은 296년(봉상왕 5년)에 모용씨(慕容氏)의 군대가 고구려를 침입하였을 때 도굴되었다고 한다.

 당시의 상황을 『삼국사기(三國史記)』 봉상왕본기에서는 그때 작업하던 자들이 갑자기 죽고 무덤 안에서

 음악소리가 울려나와 이를 두려워한 모용씨의 군사들이 고구려로부터 철수하게 되었다고 전한다. 

(제 14대) 봉상왕

 서천왕의 아들로 이름은 상부(相夫), 또는 삽시루(삽矢婁)이다.

부왕인 서천왕이 죽자 왕위를 이었으며 치갈왕(雉葛王)이라고도 한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그는 어려서부터 의심이 많고 교만한 성품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왕위에 오른 봉상왕은 곧바로 왕권을 강화하는 데에 크게 힘을 쏟았다.

이를 위해 자신의 왕권에 위협이 될 수 있는 모든 세력들을 제거해 나갔다.

먼저, 숙신을 격파하여 고구려의 영웅으로 추앙받던 숙부인 달가를 죽이고,

자신의 동생인 돌고(돌固)를 다음해에 죽였다.

또한, 훗날의 보복을 두려워하여 돌고의 어린 아들인 을불(乙弗)을 죽이려 하였다.

그러나, 을불은 서천왕의 뒤를 이어 뒷날 미천왕으로 즉위하게 된다.

 자신에게 위협적인 인물을 제거한 봉상왕은 왕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대규모의 궁궐 증축 사업을 벌였다.

한편, 대외적으로는 중국의 다링강(大凌河)하류 방면에서 일어나 세력을 확장해가던 선비(鮮卑)

모용부의 모용외와 충돌하였다.

그리하여, 293년과 296년 모용외가 군대를 이끌고 침략하였으나,

293년에는 신성태수(新城太守)인 북부소형(北部小兄) 고노자(高奴子)가 이들을 무찔렀고,

296년에는 침략군이 고국원(故國原)에 이르러 서천왕릉을 도굴하려다가 무덤 속에서 음악소리가 들리자

놀라서 스스로 물러갔다고 한다.

그런데 이같은 사실들은 당시 모용외의 세력이 아직 요하(遼河)를 넘지 못한 상태였기 때문에

그 사실성 여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견해도 있다.

 그러던 중, 300년에 왕이 궁실을 수리하려고 백성을 동원하려 하였다.

이 때에 가뭄이 심해 백성들이 몹시 어려운 상황이었다.

따라서, 당시의 국상(國相)인 창조리(倉助利)가 이같은 사업이 옳지 않다고 왕에게 간언하였으나,

왕은 오히려 창조리를 죽이고자 하였다.

그러자, 창조리는 다른 신하들과 함께 왕의 폐위시키기 위한 계획을 꾸미게 된다.

결국, 상황을 되돌릴 수 없는 것을 깨닫게 된 봉상왕은 마침내 두 아들과 함께 자살하였고

시신은 봉산원(烽山原)에 묻혔다. 

 

(제 15대) 미천왕

 이름은 을불(乙弗)·을불리(乙弗利) 또는 우불(憂弗)이며 호양왕(好壤王)이라고도 한다.

 서천왕의 손자이고, 고추가 돌고(돌固)의 아들이다.

봉상왕 2년에 왕이 자신의 형인 돌고를 죽이자 을불은 위험을 피해 숨어살면서 고용살이·소금장수 등으로

떠돌았다. 그러던 중,

300년에 국상 창조리(倉助利) 등이 봉상왕을 폐위하고 을불을 왕으로 옹립하였다.

 미천왕이 통치하던 시기에는 중국에서 진(晉)나라가 와해되는 혼란스러운 국제정세가 전개되고 있었다.

 그러나, 미천왕은 이 같은 주변상황을 이용하여 적극적으로 대외팽창 정책을 추진하여 서방과 남방으로

 급속한 팽창을 시도하였다.

302년에 현도군을 공격해 적 8천 여명을 사로잡았다.

 

311년에는 요동의 서안평을 점령하였다.

 

313년과 314년에는 낙랑군과 대방군을 병합하였다.

 

317년에 다시 현도성을 공격하기도 하였다.

그러던 중, 4세기초에 선비족(鮮卑族)의 일파인 모용부(慕容部)가 요동지방으로 점차 세력 확장해 오게

되자 모용부와의 전쟁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따라서 진(晉)나라의 평주자사(平州刺史)인 최비(崔毖)의

권유에 따라 역시 선비족의 일파인 단부(段部)·우문부(宇文部)와 더불어 모용부를 공격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하고, 그 뒤 모용부가 요동을 장악하여 국경을 정하게 되자, 모용부와의 긴장관계가 더욱 고조되었다.

 

319년 고구려의 장군 여노자(如奴子)가 모용부의 군대에 의하여 포로가 되기도 하였으나, 고구려측은

 자주 요동을 공격하여 양자는 일진일퇴를 되풀이하였다.

 

330년 후조(後趙)에 사신을 파견하여 중원세력과의 연결을 통하여 모용부를 견제하고자 노력하였다.

 

331년 재위 32년 만에 죽자 미천지원(美川之原)에 장사지냈다.

 

※그러나 342년(고국원왕 12)에 전연(前燕)의 군대가 그의 무덤을 파헤치고 시체를 가져가는 일이 벌어졌다.

고국원왕은 그 다음해 전연에 사신을 보내어 진기한 물건 등을 다수 주고 시체를 찾아오게 하였으나

그뒤 시체의 재매장에 관한 기록은 나오지 않는다. 

(제 16대) 고국원왕

 고국원왕은 국원왕(國原王) 또는 국강상왕(國岡上王)이라고도 하며, 한때 '소열제(昭烈帝)’라 칭하기도 하였다.

이름은 사유(斯由) 혹은 유(劉), 교(釗)라고도 하는데, 아버지는 미천왕이고 어머니는 주씨부인(周氏夫人)이다.

미천왕 15년인 314년 정월에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331년 2월 미천왕이 죽자 그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고구려는 미천왕대에 이어 요동지역 확보를 위하여 선비족(鮮卑族)의 일파인 모용부(慕容部)의 국가

전연(前燕)과 심각한 대립을 보이고 있었다.

이에, 왕은 336년 동진(東晉)에 외교사절을 파견하고, 338년에는 전연 공격에 실패한 후조(後趙)와 연결을

꾀하였다.

또한, 336년 모용황(慕容)의 즉위에 반대하여 일어난 '모용인(慕容仁)의 난’에 가담하였던 곽충(郭充)과

동수(동壽)가 고구려로 도망쳐 오자 이들을 받아들였으며, 다시 338년 후조의 전연을 공격할 때 후조에

내통하였던 봉추(封抽) 및 송황(宋晃) 등이 투항해 오자 이들 역시 받아들였다.

 뿐만 아니라 335년 제 3현도군 지역을 차지하여 그곳에 신성(新城:撫順 北關山城)을 축조하였는가 하면,

342년 국도인 국내성(國內城)을 증축하여 전연과의 대결을 준비하였다.

그러나 후조 및 요서지방의 선비족의 일파인 우문부(宇文部)를 격파하고 중원 진출을 위해 후방의 안정을

모색하던 모용황은 342년에 고구려를 침입해 왔으며 이 싸움에서 고구려는 수도가 함락되었다.

모용황은 철군하면서 선왕인 미천왕의 능을 파헤쳐 그 시신을 가져갈 뿐 아니라,

왕모 주씨를 인질로 데리고 갔다. .

그리하여 고국원왕은 343년에 수도를 동황성(東黃城)으로 옮기고, 미천왕의 시신과 왕모의 반환을 청하며

전연에 사절을 파견하여 스스로 신하를 칭하기도 하였다.

또한, 349년에는 고구려로 투항해왔던 송황을 다시 전연으로 돌려보내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355년에 전연으로부터 '낙랑공 고구려왕(樂浪公高句麗王)’에 봉해졌으며

'영주제군사 정동대장군 영주자사(營州諸軍事 征東大將軍 營州刺史)'라는 관직을 받게 된다.

342년에 있었던 모용황과의 전쟁 이후, 345년에 모용각(慕容恪)의 남소성(南蘇城)으로 쳐들어가기는

하였으나, 전연이 중원장악에 주력함에 따라 전연과의 관계는 소강상태를 유지하였다.

그리고, 그 이후로는 370년 전진(前秦)이 전연을 격파하고 고구려와 국경을 접하게 되자,

고구려로 피신해 온 전연의 권신 모용평(慕容評)을 전진으로 압송하는 등 전진과의 우호관계의 수립에

노력하였다.

한편, 고국원왕은 한반도 중부지역으로 눈을 돌려 대방군(帶方郡) 지역으로 북진하고 있던 백제와 격돌하게

되었다.

그래서, 고국원왕은 369년에 스스로 군대를 이끌고 백제를 침공하였으나, 치양(雉壤: 지금의 白川)전투에서

백제 태자 근구수(近仇首)가 이끄는 군사에 패배하였다.

또한, 371년 10월에 고구려 지역에 깊숙이 진격해 온 백제 근초고왕의 군사을 맞아 평양성에서 싸우다가

화살에 맞아 전사하여 고국원(故國原)에 묻혔다. 

(제 17대) 소수림왕

 소수림왕은 소해주류왕(小解朱留王) 혹은 해미류왕(解味留王)이라고도 한다.

이름은 구부(丘夫)이다.

제16대 고국원왕(故國原王)의 아들로 355년(고국원왕 25) 태자로 책봉되었고 371년 부왕의 전사에 따라

17대 왕으로 즉위하였다.

 소수림왕은 고구려 사회의 동요를 극복하기 위한 일련의 체제정비를 단행하였다.

즉 372년(소수림왕 2년)에는 전진(前秦)에서 온 승려 순도(順道)를, 374년(소수림왕 4년)에는

아도(阿道)를 통해 불교를 수용하였고,

375년(소수림왕 5년)에는 성문사(省門寺)와 이불란사(伊弗蘭寺)를 창건하여 이들을 거주하게 하였다.

한편 372년(소수림왕 2년)에는 유교교육기관인 태학(太學)을 설립하여 유교이념의 확대와 인재의 양성에

주력하였다.

뿐만 아니라 373년(소수림왕 3년)에는 국가의 기본법인 율령(律令)을 반포하였다.

이는 전통적인 관습법을 대신하여 성문법인 율령을 바탕으로 하여 중앙집권적인 국가체제의 확립에 기여하였다.

 대외적으로는 374년(소수림왕 4년),375년(소수림왕 5년),376년(소수림왕 6년)에 잇따라 백제를 공격하는 등

전대에 이어 백제와 공방전을 계속하였다.

378년(소수림왕 8년)에는 거란족의 침략을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전연(前燕)이 멸망한 뒤 북중국의 강자로 등장한 전진(前秦)과 372년(소수림왕 2년)과

377년(소수림왕 7년)에 외교사절을 교환하고 불교를 수용하는 등 우호관계를 유지하였다.

죽은 뒤에는 소수림(小獸林)에 묻혔다.  

(제 18대) 고국양왕

 이름은 이련(伊連), 이속(伊速) 또는 어지지(於只支)이며, 국양왕이라고도 한다.

고국원왕의 아들이며, 광개토왕의 아버지이다.

형인 소수림왕이 후사가 없으므로 즉위하였다.

소수림왕 때에 여러 가지 제도를 정비하여 국력이 신장된 상황을 기반으로 하여, 고국양왕은 보다

적극적인 대외활동을 펼쳐나갔다.

우선, 후연에 공격적인 자체를 취하였다.

그리하여, 385년 6월에 4만의 군사를 이끌고 후연(後燕)을 공격하였다.

그런데, 이에 앞서 후연왕 모용수은 대방군왕 모용좌를 시켜 용성(지금 하북성 패현)을 지키게 하였다.

따라서 고구려군이 요동으로 쳐들어 온다는 소식을 듣고 모용좌가 사마학경을 시켜 이를 막도록 하였다.

그러나, 고구려군은 이를 격파하고 요동군과 제 3 현도군으로 들어가 이를 점령하고 남녀 1만 명을

사로잡아 왔다.

『자치통감』권106의 호삼성(胡三省) 주에 의하면, 이 때에 "후연은 고구려를 능히 이기지 못하였다."라고 한다.

그러나, 같은 해 11월에 후연의 장수 모용농이 군사를 이끌고 쳐들어와 점령당했던 요동·현도 2군을 회복하였다.

이 때, 처음에는 유주·기주(모두 황하 이북)에서 유랑하던 백성들 중 많은 수가 고구려의 편을 들었으나,

모용농이 범양 출신 방연이란 사람을 요동태수로 삼자 그들을 다시 불러 편안히 살게 했다.

그리하여, 385년에 고구려가 차지했던 요동·현도 군은 다음해인 386년에 후연에게 다시 빼앗기고 말았다.

또한, 386년 3년 정월에 왕자 담덕을 태자로 삼았으며 8월에는 왕이 군사를 이끌고 남쪽의 백제를 공격하였다.

그 해 10월에는 초봄에 피는 복숭아꽃과 자두꽃이 피고 암소가 발이 여덟개이고 꼬리가 둘인 새끼 말을

낳았다고 한다.

 388년 4월에는 나라에 가뭄이 들고 8월에는 누리가 번성하였으며 다음해 봄에는 굶주린 백성들이

서로를 잡아먹었다고 한다.

그러자 왕은 창고의 곡식을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그러나, 389년 9월에 백제가 쳐들어와 변경의 부락을 약탈해 갔으며 다음해인 390년 9월에도 백제가

달솔(관명) 진가모로 도압성을 치게 해 2백 명을 잡아갔다.

한편, 『삼국사기』에 따르면, 392년에는 신라에 사신을 파견하여 신라 내물 마립간에게 실성(實聖)을

인질로 보내도록 하였다.

또한, 불교신앙의 확대를 꾀하였을 뿐 아니라,

사직을 세우고 종묘를 수리하기도 하였다.

그러던 중 그 해 5월에 왕이 죽었으니,

고국양에 장사하고 시호를 고국양왕이라 했다. 

(제 19대) 광개토대왕

 광개토왕은 고국양왕의 장남으로 375년에 태어났다.

이름은 담덕(談德)인데 중국측 기록에는 안(安)이라 전하고 있다.

고국양왕 재위 3년인 386년 태자에 책봉되었고 391년 고국양왕이 죽자 고구려 19대왕으로 등극하였다.

재위기간 동안에는 영락(永樂)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광개토왕은 나면서부터 기개가 웅대하고 활달한 뜻이 있었다고 한다.

 광개토왕의 치적은 광개토왕릉비나 『삼국사기』를 통해 자세히 알 수 있는데 그의 시호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재위기간 동안의 가장 큰 업적은 영토 팽창에 주력하여 고구려의 세력권을 확대시켰다는 것에 있다.

 392년 광개토왕은 즉위하자마자 남쪽으로는 백제 정벌을, 북쪽으로는 거란 정벌을 감행하였다.

특히 백제정벌에 큰 힘을 기울여 석현성을 비롯한 10개성을 함락시키는가 하면 같은해에 난공불락의 요새인

관미성을 20 여일 만에 함락시켜 백제와의 전쟁에 불을 붙였다.

이에 백제는 394년과 395년에 영토탈환을 위해 침공하였으나 각각 수곡성과 패수에서 고구려군에게 밀려

퇴각해야했다.

이처럼 백제의 침입이 계속되자 광개토왕은 대대적인 공격을 준비하여 396년 마침내 한강 너머 백제의

도성에까지 진격하였다.

고구려군이 한강을 넘지 못할 것이라고 예상했던 백제는 뒤늦게 군대를 도성에 집결시켜 고구려군을

막아보려 했으나 역부족이었다.

결국 백제의 아신왕은 화친을 제의하였고 이 요구가 받아들여짐에 따라 백제는 고구려에 대해 영원한

노객(奴客)이 될 것을 맹세하였다.

고구려는 이 전쟁을 통해 한강 이북의 58성 700촌을 고구려 영토 내에 편입시켰을 뿐만 아니라 수많은

전리품을 획득하고 백제 왕족 및 대신을 볼모로 얻는 등 쾌거를 이룩하였다.

그러나 백제의 아신왕은 영토 회복이라는 야심을 버리지 못하고 계속해서 군대를 증강하고 성을 쌓는 등

대고구려전을 위한 준비를 진행시켰으며 397년 왜에 구원병을 요청하기까지에 이르렀다.

399년 왜는 백제의 요청에 따라 고구려와 동맹관계에 있었던 신라를 공격하였다.

그러나 이듬해 광개토왕은 보병과 기병 5만을 신라에 파견하여 왜를 물리치고 가야지역까지 추격하여

왜 세력을 완전히 궤멸하였다.

신라 공략에 실패한 백제는 이후 다시 왜와 함께 고구려 영토인 대방고지 공격에 나섰으나 역시 실패하고 만다.

 5세기에 접어들면서 광개토왕은 요동지역에 눈을 돌려 적극적으로 서방 진출을 꾀하였다.

이는 400년 후연의 왕 모용성이 고구려왕이 무례하다하여 군사 3만을 이끌고 고구려땅을 침입한 데서

본격화되었다.

후연은 이 선공으로 신성과 남소성을 빼앗고 주변 700여리의 땅을 넓혀 5천여호를 이주시킨 뒤 돌아갔다.

이에 광개토왕은 402년 숙군성을 공격하여 평주자사 모용귀를 도망치게 했고 404년 재차 후연을 침공하였다.

후연 역시 고구려에 대한 반격을 시도하여 405년과 406년에 각각 요동성과 목저성을 공격하였으나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돌아가야만 했다.

후연과의 전쟁을 통해 요동지역을 확보한 고구려는 후연을 멸망시키고 등장한 북연과 우호 관계를 맺음에

따라 서방 진출을 일단락 짓는다.

 광개토왕은 이 외에도 거란의 일부로 추측되는 비려, 숙신, 동부여를 정벌하여 복속시켰다.

이러한 왕성한 정복활동을 통해 광개토왕은 재위기간동안 서쪽으로는 요동을 확보하고 시무라렌강 유역까지

원정을 나갔으며, 동쪽으로는 목단강 유역으로부터 연해주 일원, 북쪽으로는 송화강 유역의 북만주일대,

남쪽으로는 한강 유역을 확보하는 한편 낙동강 유역까지 진출할 수 있었다.

 광개토왕은 대외 정복사업뿐만 아니라 평양에 9사를 창건하여 불교를 적극 권장하고 장사(長史), 사마(司馬),

참군(參軍) 등의 관직을 신설하여 체제 정비를 도모하는 등 내정에도 힘을 기울였다.

광개토왕의 내정에 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없지만 광개토왕릉비에 ‘나라가 부강하고 백성이 편안하였으며

오곡이 풍성하게 익었다.’는 기록에 있어 광개토왕이 단순한 정복군주만은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광개토왕은 413년 39세라는 아까운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능은 국강상에 마련되었으며 묘호는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이라 하였다.

414년 능에 옮겨 묻고 능비를 세웠는데 능과 능비는 현재 중국 길림성 집안현에 남아 있다.

광개토왕릉에 대해서는 장군총설과 태왕릉설이 갈라져 있었으나 태왕릉의 분구 정상부에서

원태왕릉안여산고여구(願太王陵安如山固如丘)라고 양각한 명문전이 발견되어 대개 태왕릉을 광개토왕릉으로

추정하고 있다.

(제 20대) 장수왕

 장수왕은 광개토왕의 장남으로 394년에 태어났다. 이름은 거련(巨連) 또는 연(璉)이다.

광개토왕 재위 18년인 409년 태자에 책봉되었고 413년 광개토왕이 죽자 고구려 20대왕으로 등극하였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장수왕은 신체가 크고 기개가 호탕하였다고 한다.

 장수왕은 재위기간 동안 이원외교를 통해 이민족의 침략 위협으로부터 정국을 안정시키는 한편 적극적인

남진정책을 통해 영토를 확장시켜 나갔다.

 장수왕이 즉위할 당시 중국은 여전히 여러 이민족들에 의해 혼란을 거듭하고 있었다.

그러나 북위가 하북지방의 새로운 맹주로 등장하면서 5호 16국시대는 막을 내리게 된다.

즉 439년 화북지방이 북위에 의해 통일이 되고 화남지방에 동진(317-420), 송(420-479),

제(479-502)가 들어서면서 남북조시대가 시작된 것이다.

 장수왕은 이러한 중국의 상황을 교묘히 이용하여 이원외교를 펼쳤다.

먼저 즉위원년인 413년 동진에 사신을 보냈고 동진왕 안제는 장수왕을 고구려왕 낙랑군공으로 봉하였다.

동진에 이어 차례로 들어선 송나라와 제나라에 대해서도 동진과 같은 외교정책을 폈다.

 425년과 435년에는 북위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는데 북위왕 세조는 장수왕의 정성을 가상히 여겨 장수왕을

도독요해제군사(都督遼海諸軍事) 정동장군(征東將軍) 영호동이중랑장(領護東夷中郞將)

요동군개국공(遼東郡開國公) 고구려왕으로 삼았다.

고구려와 북위는 436년 풍홍소환 거절 및 466년 혼인요청 거절 문제로 한때 긴장이 고조된 적이 있었고

440년부터 461년간 사절 교환이 중단되기도 하였으나 대체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였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고구려는 472년부터 북위에 매년 2차례씩 사신을 보내고 공물도 두배로 늘이는 등 북위와의 관계에

있어 각별히 신경을 썼는데 북위도 이에 상응하는 대우를 해주었다.

 고구려에 대한 북위의 대우는 『삼국사기』장수왕 72년조(484)를 통해 알 수 있다.

당시 북위에서는 고구려가 강하다고 생각하여 여러 나라 사신들의 숙소를 두는데 제나라 사신 첫번째로

고구려 사신을 그 다음으로 두었다고 한다.

 그러나 『남제서』에는 489년 북위에서 남제의 사신을 고구려 사신과 같은 자리에 배치했다는 기사가 있어

사실상 고구려를 제1의 주변국가로 대우를 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장수왕은 북위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북위를 견제하기 위해 북아시아 유목민족인 유연과도

외교적 관계를 맺었다.

한편 장수왕은 왕권의 강화와 중앙집권체제의 정비를 위해 427년 평양으로 천도하였으며 천도 이후 보다

적극적인 남진 정책을 시행하였다. 고구려의 남진에 위기의식을 느낀 신라와 백제가 433년 동맹을 맺자

고구려는 454년, 468년, 481년에는 신라를 455년, 475년에는 백제를 각각 공격하였다.

특히 475년에는 승려 도림을 이용하여 백제의 국력을 약화시킨 뒤 친히 3만명의 군사를 이끌고 침략하여

백제의 도읍, 한성을 함락시켰다.

이 전쟁으로 백제는 개로왕을 잃고 웅진으로 천도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로써 장수왕대의 고구려 영토는 서쪽으로는 요동지방, 동쪽으로는 목단강 유역으로부터 연해주 일원,

북쪽으로는 송화강 유역의 북만주일대, 남쪽으로는 한강 이남의 충청도와 경상북도 일원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장수왕은 491년 9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위나라 효문제는 이 소식을 듣고 흰 위모관(委貌冠)과 베 심의를 지어 입고 동쪽 교회에서 애도를 표했으며

알자(謁者) 복야(僕射) 이안상(李安上)을 보내 장수왕을 거기대장군(車騎大將軍) 태부(太傅) 요동군 개국공

고구려왕으로 추증 책봉하고 시호를 강(康)이라고 하였다.

이것은 북위가 이민족에게 수여한 추증 중 가장 높은 것이었다고 하니 북위의 장수왕에 대한 평가가

어떠했는지 짐작하고도 남는다. 

(제 21대) 문자명왕

 일명 명치호왕(明治好王)이라고도 하며 이름은 나운(羅雲)이다.

장수왕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고추대가(古鄒大加) 조다(助多)이다.

아버지인 조다가 일찍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할아버지인 장수왕에 의해 양육되었으며 장수왕 죽자

그 뒤를 이어 왕위를 계승하였다.

 문자명왕에 대한 자료가 많이 남아 있지 않아서 그의 통치 내용을 자세히 알기는 어렵다.

단지, 498년에 금강사(金剛寺)를 창건하였다고 하는 점으로 보아 불교를 장려하였던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로써 고대국가의 정신적 기반을 확립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이해할 수 있다.

 재위 기간 중의 대외관계는, 전대(前代)의 외교정책과 마찬가지로 남북조의 분열을 잘 이용하였고

이로부터 국제질서 속에서 안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었다.

즉위와 함께 북위(北魏)로부터 '사지절도독요해제군사정동장군영호동이중낭장요동군개국공고구려왕

(使持節都督遼海諸軍事征東將軍領護東夷中郎將遼東郡開國公高句麗王)' 이라는 지위를 인정받았고,

북위와 조공을 통한 외교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였다.

 그 뿐 아니라, 494년에 제(齊), 508년에 양(梁) 과 같은 남조의 국가로부터도 각각

'사지절산기상시도독영평이주정동대장군낙랑공(使持節散騎常侍都督營平二州征東大將軍樂浪公)'과

' 무동대장군개부의동삼사(撫東大將軍開府儀同三司)'의 지위를 인정받았으며,

이들과도 조공을 통한 외교관계를 유지해 나갔다.

 또한 494년 물길족(勿吉族)에 의하여 멸망당한 부여의 왕과 일족의 투항을 받아들이기도 하였으며,

백제와 신라를 공격하여 497년에 신라의 우산성(牛山城), 512년 백제의 가불성(加弗城) 및 원산성(圓山城)을

점령하기도 하였으나, 백제와 신라가 연합한 나제동맹으로 일진일퇴를 거듭하였다.

이처럼, 문자명왕은 광개토왕 및 장수왕의 위업을 이어받아 고구려가 전성기를 지켜나갈 수 있도록 공헌하였다.

즉, 장수왕의 손자로서 손색없이 고구려가 최대 영토를 차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름 그대로 문치를

하였던 왕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그가 죽은 뒤로는 왕위 계승을 둘러싸고 외척 세력간에 분쟁이 그치지 않아 왕권이 약화되고,

동시에 정치 상황은 불안해졌다. 

(제 22대) 안장왕

 이름은 흥안(興安)이다.

문자왕의 맏아들로서 문자왕 7년인 498년에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문자왕이 세상을 떠나자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중국 양(梁)나라로부터 영동장군 도독 영평이주제군사 고구려왕(寧東將軍 都督 營平二州諸軍事 高句麗王)

이라는 칭호를 얻었으며 북위(北魏)로부터도 안동장군 영호 동이교위 요동군개국공 고구려왕(安東將軍 領護

東夷校尉 遼東郡開國公 高句麗王)의 지위를 인정받았다.

 안장왕 대에는, 중국 남조와 북조 국가들로부터 모두 그 지위를 인정받았으며, 두 방면과 조공무역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전대에 이미 확립한 대중국 양면외교정책을 지속하였다.

이러한 양면외교정책은 남북조의 분열을 이용하여 대중국방면의 안정을 추구하던 고구려의 전통적

외교정책이었다.

한편, 안장왕은 재위 5년(523년)과 11년(529년)에는 백제를 침략하였는데, 이 역시 고구려에서 계속 추진해

오던 남진정책이 계속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안장왕이 어떤 방식으로 국내 정치를 이끌었는가에 대해서는 자료가 남아 있지 않아

그 내용을 알기 어렵다.

다만, 왕의 재위기간에 오래도록 유지되어 오던 고구려의 안정이 점차 동요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이며,

이같은 지배체제의 동요의 와중에 왕도 피살된 것이 아닐까 추정된다. 

(제 23대) 안원왕

 문자명왕의 차남이고 안장왕의 동생으로 키가 7척 5촌이나 될 정도로 기골이 장대하였으며

인품이 훌륭하여 세인들로부터 존경을 받았다고 한다.

일명 곡향강상왕(鵠香岡上王)·향강상왕(香岡上王) 또는 안강상왕(安岡上王)이라 하며 이름은 보연(寶延)이다.

형인 안장왕의 사랑을 크게 받았으며 왕이 후사가 없이 죽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즉위와 함께 남조의 양(梁)나라로부터 안장왕이 가졌던 지위를 계승할 것을 인정받았으며

재위 2년인 532년에는 북위(北魏)로부터 ‘사지절산기상시 영호동이교위 요동군개국공 고구려왕

(使持節散騎常侍 領護東夷校尉 遼東郡開國公 高句麗王)’라는 지위를 인정받았다.

 당시 중국은 북위와 양나라가 대립하고 있다가 534년 북위가 동·서위로 분열하게 되었다.

그러자, 고구려는 동위와 양나라와의 양면외교를 적극적으로 전개함으로써 서쪽 방면으로 안정을 유지하였다.

그리하여, 동위로부터는 534년에 '표기대장군(驃騎大將軍)’이라는 지위를 추가로 인정받기도 하였다.

 한편, 백제와 신라는 군사동맹을 맺고 향상된 국력을 바탕으로 고구려에 대응하였다.

540년에는 백제군이 우산성(牛山城)을 침략하였으나 이를 격퇴시켰다.

그러나 이들과의 관계는 대체로 소강상태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535년에 홍수·지진·전염병이, 그리고 535·536·541년에는 각각 가뭄·황충·기근·태풍 등의

재난이 계속되어 상황이 매우 어려워졌다.

게다가 왕의 후사를 둘러싸고, 두 왕비간에 각기 자기 소생을 왕으로 세우려 하였으며,

그들을 후원하는 귀족세력들, 이른바 추군(群)과 세군(細群)의 암투는 고구려사회 전반을 동요시켰다.

결국 안원왕은 545년에 추군과 세군의 대립이 무력충돌로 비화하는 와중에서 세상을 떠났다.

안원왕의 재위기간에 대해서는 중국의『양서(梁書)』에는『삼국사기』와 달리 526∼548년간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학계에서는 『삼국사기』의 기록을 따라 531∼545년간으로 보고 있다. 

(제 24대) 양원왕

 양강상호왕(陽崗上好王) 또는 양강왕(陽崗王)이라도 하였으며 이름은 평성(平成)이다.

안원왕의 맏아들로 안원왕 3년인 533년에 태자로 책봉되었다.

그런데, 안원왕에게는 세 명의 왕비가 있었는데

첫째 왕비에게는 후사가 없었으나 둘째, 셋째 왕비는 자기 소생의 왕자를 왕의 후사로 삼으려고

귀족들을 끌어 모았다.

안원왕이 세상을 떠난 후, 서로 다른 왕비 소생의 왕자를 지지하는 세력들 사이에 군사적 충돌이 발생하였다.

 이들은 서로의 군사를 동원해 왕성을 둘러싸고 3일간 싸웠으나 양원왕을 밀던 추군이 또 다른 왕자를

지지하던 세군(細郡)에게 승리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었고 그 결과 양원왕이 왕위에 오를 수 있었다.

『양서(梁書)』에는 양원왕의 즉위년이 548년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삼국사기』의 기록을

따라 545년으로 보고 있다.

 순탄하지 못한 과정을 거쳐 왕위에 오른 양원왕은 즉위 뒤에도 그 전제적 권한에 크게 도전을 받았으며

왕권은 점차 약화되어 갔다.

『삼국사기』 거칠부(渠柒夫) 열전에는 양원왕 7년(551년)에 거칠부를 만난 고구려의 고승 혜량(惠亮)이

나라에 정란이 있어 멸망이 멀지 않다고 한 것으로 보아, 당시 고구려의 지배세력간에 분쟁이 계속되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557년에 환도성(丸都城)의 간주리(干朱理)가 모반한 것도 고구려 내부의 동요를 보여주는 사건이다.

 이러한 왕권의 동요와 더불어 국제관계도 불안한 상황으로 북아시아의 신흥유목기마민족인

돌궐이 551년에 고구려의 신성(新城)과 백암성(白巖城)을 공격하였다.

이에 고구려에는 장군 고흘(高紇)이 군사 1만을 거느리고 나아가 그들을 크게 격파하였으나,

돌궐과의 대치로 고구려는 국력소모가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돌궐과의 대치상태 속에서 551년 신라와 백제의 연합군에 의해 한강유역을 상실하였다.

한강 유역을 상실한 고구려는 옛 보호국인 신라를 움직여 백제를 견제하는 정책을 취했다.

그리하여 신라의 진흥왕은 고구려와 밀약을 맺고 한강 하류에 있던 백제군을 급습하였으며

백제와 신라의 사이가 악화되자

고구려는 일단 위기를 벗어날 수 있었다.

 중국과의 외교관계는, 동위(東魏) 및 동위를 계승한 북제(北齊)와 교류를 계속하였다.

550년에는 북제로부터 '사지절시중 표기대장군 영호동이교위 요동군개국공 고구려왕

(使持節侍中 驃騎大將軍 領護東夷校尉 遼東郡開國公 高句麗王)’이라는 지위를 인정받았다.

그러나, 552년에 북제의 사신 최유(崔柳)가 보인 무례한 행위와 553년에 북제의 문선제(文宣帝)가

고구려의 세력이 미치고 있던 거란족에 대하여 친정을 하게되자 양국간의 긴장이 고조되기도 하였다.

 즉위 과정에서부터 강력한 왕권을 확보하지 못했던 양원왕은 재위 기간 중에도 내내 귀족들의 힘에

눌려 있었으며 559년 3월에 세상을 떠났다. 

 

(제 25대) 평원왕

  이름은 양성(陽成) 또는 탕(湯)이고 일명 평강상호왕(平岡上好王), 평강왕(平岡王), 평국왕(平國王)

이라고도 한다.

양원왕의 장자로 태어나 557년(양원왕 13)에 태자가 되었고, 559년 왕위를 계승하였다.

담력이 있고 승마와 활쏘기에 능하였다고 한다.

560년(평원왕 2) 졸본(卒本)에 행차하여 시조묘에 제사를 지냈다.

백성들의 재난을 구휼하기 위해 재위 중 왕의 음식을 줄이고 백성을 위로하고 농상(農桑)을 장려하며,

552년부터 짓기 시작한 장안성(長安城)의 축성을 일시 중단하는 등 양원왕의 즉위 이래 계속된

내분과 민심의 수습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그러나 왕의 전제적 권한은 이미 귀족세력들의 발호에 의해 상당한 제약을 받았다.

586년에는 지금의 평양 대성산성(大聖山城) 일대에서 장안성으로 궁을 옮겼다.

 외교면에서 당시의 중국은 남조의 진(陳)나라 및 북조의 북제(北齊)·북주(北周)가 대치하고 있었는데,

고구려는 전통적인 외교정책대로 이들과 두루 교섭관계를 가짐으로써 국제관계의 안정을 이루려고 하였다.

그리하여 560년에는 북제로부터 ‘사지절영동이교위 요동군공 고구려왕

(使持節領東夷校尉 遼東郡公 高句麗王)’의 지위를 인정받았고, 563년에는 진나라로부터

‘영동장군(寧東將軍)’의 지위를 받았다.

또한, 580년에는 북주에 조공을 하고 ‘개부의동삼사대장군 요동군개국공 고구려왕

(開府儀同三司大將軍 遼東郡開國公 高句麗王)’의 지위를 인정받았고, 581년에는 북주를 계승한

수나라와 외교관계를 가지고 ‘대장군요동군공(大將軍遼東郡公)’의 지위를 받았다.

 이같이 표면적으로 순탄한 관계를 가진듯 하지만 양원왕 이래 북조와의 관계는 평탄하지 않았다.

북주의 무제(武帝)가 요동을 공격하여 왔을 때 직접 군사를 거느리고 배산(拜山)에서 싸웠고,

또 590년에는 수나라가 남조의 진나라를 멸망시켰다는 소식을 듣고 전쟁준비를 서두르게 하였다.

이같은 사실로 미루어 당시 중국의 통일이 고구려에 주는 정치적·군사적 부담이 점차 가중되어

갔던 것을 알 수 있다.

586년에 고구려 세력권 내에 있던 거란별부(契丹別部) 출복(出伏) 등이 이탈하여 수나라에 투항하였다.

돌궐(突厥)과의 관계도 겉으로는 커다란 충돌이 없었으나, 양세력의 긴장된 상태는 여전하였다.

한편, 한강유역의 점령을 둘러싸고 기존의 나제동맹이 결렬되면서 백제와 신라 사이에 전쟁이 빈발하자,

고구려는 이들과 소강상태를 유지한 채 북방과 서방의 변화에 더욱 적극적으로 대처하였다. 

 

(제 26대) 영양왕

 이름은 원(元) 또는 대원(大元)이며 평양왕(平陽王)이라고도 한다.

평원왕의 맏아들로 풍채가 준수하고 제세안민(濟世安民)의 뜻을 가졌다고 한다.

평원왕 7년인 565년에 태자로 책봉되었다가 평원왕이 죽은 뒤 왕위를 계승하였다.

 영양왕이 즉위하기 얼마 전인 589년에 수나라가 중국을 통일하였다.

영양왕은 즉위와 함께 수나라 문제(文帝)로부터 상개부의동삼사(上開府儀同三司)라는 지위를 인정받았고,

또한 부왕이 가지고 있던 요동군공(遼東郡公)이라는 작위를 계승하였다.

또한, 조공을 통하여 수나라와 외교적인 관계를 모색하면서도 동시에 국경수비를 강화하고 말갈족·

거란족들을 고구려편에 편입시키고 돌궐족과도 제휴를 꾀하였다.

 그러던 중 영양왕은은 598년에 말갈의 군사를 이끌고 요서(遼西)를 선제공격하였다.

그러자 수나라 문제는 국력을 총집결하여 고구려를 침공하였으며 수나라와 고구려의 전쟁의 모두 4차례에

걸쳐 계속되었다.

고구려군이 요서를 공격한 것에 대한 대응으로 시작된 수나라의 1차 침입에서는 30만의 수나라 군사가

쳐들어왔으나 기근·질병·장마 등을 겪으며 스스로 물러가고 말았다.

612년에 수 양제(煬帝)는 130만 대군을 이끌고 수륙 양면에서 공격을 시작하였으니 이것이 제 2차 침입이다.

이 전쟁에서 고구려는 요동성(遼東城)에서 지구전을 펴 수군을 막아내고, 대동강에서 수군을 대파하였다.

그러자 수나라는 별동대를 구성하여 평양성 가까이 진격하였으나 군량이 부족해 지자 후퇴할 수 밖에 없었고

이 과정에서 을지문덕(乙支文德)이 지휘한 살수(薩水)에서 크게 패한 후 총퇴각하였다.

수의 3차 침입은 613년에 있었으나 요동성·신성(新城) 등에서 고구려군이 이들을 잘 막아내었으며,

이 때 수에서 양현감(楊玄感)의 반란이 일어나자 철수할 수 밖에 없었다.

4차 침입은 614년에 있었는데, 수나라 내부의 혼란과 함께 때맞춰 고구려가 평화교섭을 시도하자 철군하였다.

그리고, 고구려와의 오랜 전쟁에서 큰 피해를 입은 수나라는 곧 멸망하고 말았다.

또한, 고구려 역시 수와의 전쟁을 치루며 적지않은 타격을 입었다.

한편, 영양왕은 한반도 방면으로는 신라에게 빼앗긴 한강유역을 되찾기 위해 온달(溫達)이 아단성(阿旦城)을

공격하였고, 603년과 608년에는 북한산성을 공격하였다.

그러자 백제와 고구려로부터 압박을 받고 있던 신라가 적극적으로 수나라와의 교섭을 시도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수나라와 접근하려고 하던 백제에 대해서도 598년과 607년에 이를 공격하여 응징하였고,

동시에 수나라와의 대결을 염두에 두어 한편으로는 관계 개선에도 힘썼다.

영양왕대에는 일본과의 교류도 활발하였다.

그래서, 595년에는 일본 쇼토쿠태자(聖德太子)의 스승이 된 혜자(惠慈)가 일본으로 건너갔으며,

610년에는 담징(曇徵) 등을 파견하여 일본에 많은 문화적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600년에는 태학박사 이문진(李文眞)을 시켜『유기(留記)』 100권을 정리하여『신집(新集)』

5권이라는 역사서를 편찬하였다.

이처럼 수와의 전쟁을 치루며 수를 멸망에 이르게 하고 국력을 신장하며 여러 업적을 남긴 영양왕은

618년 9월에 세상을 떠났으며 자식을 남기지 않았다고 전한다. 

 

(제 27대) 영류왕

 영류왕의 이름은 건무(建武) 혹은 성(成)이었다.

영양왕(?陽王)의 이복동생으로 영양왕의 뒤를 이어 27대 왕으로 즉위하였다.

영류왕대의 정치에 관한 기록은 대외관계에 집중되어 있다.

영류왕이 즉위한 해(618년)는 중국에서 당(唐)나라가 건국된 해였다.

당시 당나라는 내부의 혼란을 수습하고 증대된 돌궐의 위협에 대처하는 것이 급선무였다.

한편 고구려는 수나라와의 전쟁에서 입은 피해를 복구하기 위하여 당나라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려 하였다.

고구려는 당에 자주 사신을 파견하였다.

특히 622년(영류왕 5년)에 고구려와 수나라의 전쟁 때 사로잡힌 포로들을 교환하였다.

계속하여 624년(영류왕 7년) 당나라에서 도교(道敎)가 들어왔고, 다음해(625년)에는 당나라에 사람을 보내

불교와 도교를 배워오게 하였다.

 그러나 당이 국내외의 혼란을 수습하면서 양국간에는 점차 긴장이 고조되어갔다.

고구려는 640년(영류왕 23년) 태자인 환권(桓權)을 당나라에 파견하고 당나라의 국학(國學)에

고구려인의 입학을 요청하는 등 적극적인 우호정책을 펼쳤다.

반면 당나라는 사신을 파견하여 수나라 군인을 위한 위령제를 지내는가 하면 고구려가 수군(隋軍)의 격퇴를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경관(京觀)의 철거를 요청하였고, 640년(영류왕 23년) 당의 사신이 고구려의 지세와

방어체계를 살피고 돌아갔다.

즉 표면적인 우호관계의 이면에는 당의 고구려에 대한 압박이 계속되었다.

 이에 따라 고구려도 당에 대한 경계의식이 높아졌다.

영양왕대부터 시작된 천리장성(千里長城)의 수축이 631년(영류왕 14년)에 끝나게 된다.

한편 신라에게 잃은 땅을 되찾기 위해 신라와 전투를 계속하였다.

629년(영류왕 12년) 낭비성(娘臂城)을 빼앗기는가 하면, 638년(영류왕 21년) 신라의 칠중성(七重城)을

공격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영류왕은 막리지(莫離支)였던 연개소문(淵蓋蘇文)을 제거하려다가, 642년(영류왕 25년)에 오히려

그에 의하여 시해되었다.

연개소문은 보장왕(寶藏王)을 옹립하고 정권을 장악하였다.

 

 
 

 보장왕은 고구려의 마지막 왕이며, 이름은 장(臧, 藏) 혹은 보장(寶臧, 寶藏)이었다.

영류왕의 동생인 태양왕(太陽王)의 아들로 연개소문(淵蓋蘇文)에 의하여 영류왕(榮留王)의

뒤를 이어 제28대 왕으로 즉위하였다.

 643년(보장왕 2년)에는 연개소문의 주장에 따라 당에 도사(道士)를 요청하는 등 도교진흥책을 썼다.

당시 도교의 수용에 대해 불교세력은 심하게 반발하였다.

당에서 도교를 수용한 것은 도교를 믿는 당과의 관계를 원만히 하기 위한 의도와 한편으로는

연개소문의 집권을 뒷받침할 수 있는 사상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즉위 초기에는 당과는 표면상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였다.

사신을 교환하고 당으로부터 책봉(冊封)을 받기도 한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당 태종(太宗)은 고구려 침공을 계획하고 있었기 때문에 당과의 긴장은 높아갔다.

한편 신라와는 적대적 관계를 유지하여 신라를 자주 공격하였다.

반면 백제와는 긴밀한 관계를 맺고 왜(倭)와의 관계를 재개하여 신라를 압박하였다.

고구려 및 백제와 적대적 관계가 된 신라는 당과 더욱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이에 당은 신라를 지원하면서 삼국의 문제에 개입하였는데, 특히 고구려에 대해서 신라침공을 중지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그러나 고구려는 당의 요구를 거부하고 당의 사신을 가두어 버려 마침내 당과의 관계는 회복할 수 없게 되었다.

그래서 당 태종(太宗)은 치밀한 사전준비 끝에 연개소문을 응징하고 고구려 백성들을 구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645년(보장왕 4년) 대규모 군대를 동원하여 수륙양면으로 고구려를 침공하였다.

요동지역의 많은 성을 장악한 당군은 안시성(安市城) 싸움에서 참패하고 철군하였다.

이후 당은 전술을 바꾸어 소규모 군대로 고구려를 자주 공격하였다.

당은 당 태종이 죽은 649년(보장왕 8년) 이후 잠시간 고구려에 대한 공격을 멈추었다.

그러나 당 고종(高宗)은 고구려 정복의 의지를 불태웠다.

한편 고구려 역시 654년(보장왕 13년)에는 거란족을 공격하였고 655년(보장왕 14년)에는

백제와 함께 신라를 공격하였다.

655년(보장왕 14년)부터 다시 당과의 싸움이 벌어지고 백제가 멸망한 660년(보장왕 19년) 에는

당군이 평양성을 포위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그후 당은 군사력을 백제부흥운동을 저지하기 위해 투입하였기 때문에 잠시 고구려와 싸움은 벌이지 못했다.

그러나 665년(보장왕 24년) 연개소문이 죽고 666년(보장왕 25년) 연개소문의 자식들 사이에 싸움이 벌어져

급기야 장남 남생(南生)은 당나라에 투항했고 연개소문의 동생인 연정토(淵淨土)는 신라로 망명하는 등

고구려 지배층내의 분열과 동요가 일어났다.

이에 당은 신라와 연합하여 다시 수륙양면으로 고구려를 침략해왔다.

당과 신라의 군대를 맞아 고구려는 각지에서 분전했지만 패배를 계속하였고 마침내 668년(보장왕 27년)

9월에는 평양성 마저 함락 당하여 고구려는 멸망하였다.

 그 후 보장왕은 당나라로 잡혀갔고, 정치의 책임이 왕에게 없다고 하여

당으로부터 사평대상백원외동정(司平大常伯員外同正)에 임명되었다.

그 후 677년에 요동지방을 다스리는 요동도독 조선군왕(遼東都督 朝鮮郡王)으로 임명되어 고구려유민을

데리고 요동으로 돌아왔다.

당은 보장왕으로 하여금 고구려 유민을 안정시키려 하였지만, 당의 기대와는 달리 보장왕은 고구려유민을

규합하고 말갈과 내통하여 고구려부흥을 모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이 발각되자 681년 공주로 유배되었고 682년경 사망하였다.

죽은 뒤 장안(長安)으로 운구되어 돌궐의 가한(可汗)으로 당나라에 투항한 힐리의 무덤 옆에 장사되었으며,

위위경(衛尉卿)으로 추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