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문신 심동신(1824∼?)이 입던 금관조복 중 금관 1점이다. 금관은 조복에 갖추어 쓰던 모자로 양관(梁冠)이라고도 하는데, 량(梁)은 모자의 앞면에서 꼭대기를 지나 뒷면까지 연결되어 붙여진 금색선을 말하며, 그 수에 따라 계급이 구분된다. 이 금관은 5량관으로, 1품의 관리가 쓰던 금관이다.
금관의 모양은 원통형인데 머리둘레와 뒷면 전체에 금칠이 되어 화려하고 윗부분은 검은 비단으로 싸여 있다. 뒷면은 금칠한 나무비녀 2개를 꽂아 고정하였고 비녀의 양 끝에는 술을 감아 늘어 뜨렸다.
이 금관은 1948년 석주선씨가 심동신의 7대 손자며느리로부터 인수받았다고 하며, 1890년대를 전후한 구한말의 유품으로 추정된다.
|
조선 중기 호남사림의 대표적 인물이었던 고운(高雲)의 무덤에서 출토된 옷과 유물들이다. 고운(1479∼1530)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 고경명의 할아버지로 조선 중종 기묘사화 때 화를 입어 벼슬을 잃고 고향으로 내려 왔다가 중종 25년(1530)에 죽었다.
이 유물들은 1986년 9월에 문중에서 묘지를 옮기다가 발견되었다. 옷들은 포(袍)의 일종으로 옷깃이 둥근형태의 옷인 단령 1점, 옷깃이 곧은 형태의 옷인 직령 2점, 웃옷에 치마가 연결된 형태의 옷인 철릭 6점, 직령과 비슷하나 소매가 짧은 형태의 옷인 답호 3점과 바지류 5점, 모자 2점, 버선 2점, 이불 2점 등이고, 만장(輓章)은 16점이며, 그밖에 죽은 사람의 관직·성씨 등을 기록하여 상여 앞에 들고 가는 긴 기(旗) 1점, 널 1점, 자리 1점, 칠성판 1점 등 모두 43점이다.
옷들은 임진왜란 이전인 16세기 초의 것으로 시신에 입힌 의복이지만 대부분 관의 빈공간을 채워주기 위해 넣은 것으로 보존상태가 매우 좋은 편이다. 무명·모시·명주를 재료로 한 이 옷들은 고운이 생전에 입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죽은 사람을 애도하여 지은 글인 만장의 규격은 길이가 약 180㎝정도로 형태는 조금씩 다르나 대체로 아래 위쪽에 연꽃잎이 그려져 있다. 광주목사 장세필, 병조참판 황효헌, 이조판서 홍언필 등 당시의 사대부들이 지었는데, 무덤 주인의 신분과 사회적 성향, 특징을 보여주어 사료적 가치가 매우 크다.
고은 묘 출토유물은 무덤 주인의 신분을 확실히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태도 매우 양호하여 복식사와 시대고증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무명솜직령
무명솜직령
무명홑단령
명주솜철릭
명주겹철릭
명주겹철릭
무명홑철릭
모시홑철릭
모시홑철릭
무명홑답호
모시홑답호
명주겹답호
무명홑바지
무명홑바지
무명홑바지
무명홑바지
무명솜바지
모직소모자
무명겹버선
무명겹버선
삼베홑이불
무명솜이불 이환의 만장
장세필의 만장
정만종의 만장
정만종의 만장
정만종의 만장
박시현의 만장
한승정의 만장
원계채의 만장
윤희인의 만장
이성림의 만장
윤지화의 만장
황효헌의 만장
정만종의 만장
박시현의 만장
한승정의 만장
원계채의 만장
윤희인의 만장
이성림의 만장
윤지화의 만장
황효헌의 만장
홍언필의 만장
임백령의 만장
만장(작성자미상)
만장(작성자미상)
명정
관곽
칠성판
자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