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국가민속문화재

국가민속문화재 제183호 안동 안동권씨 능동재사

오늘의 쉼터 2008. 5. 6. 17:48


종     목

국가민속문화재 제183호

명     칭

안동 안동권씨 능동재사 (安東 安東權氏 陵洞齋舍)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면적

2필지/3,855㎡

지 정 일 1984.01.14
소 재 지

경북 안동시 서후면 권태사길 87 (성곡리)

시     대조선시대
소 유 자권재영 
관 리 자

박용석 

일반설명


고려 삼태사 중의 한사람이자 안동 권씨의 시조인 권행을 제사하기 위해 지은 재사이다. 조선 효종 4년(1653)에 마루·방·곳간 등 16칸을 처음 지었고, 숙종 9년(1683)에 누각 7칸을 더하여 지었다. 영조 19년(1743) 불로 건물이 모두 불타서 다시 지었고, 고종 33년(1896)에 다시 불이 나서 당시 70여칸이던 건물 중 임사청·전사청 등 몇 칸만 남기고 모두 불타서 다시 지었다.

계곡을 따라 올라가는 길 왼쪽에 높은 축대를 쌓아 문루인 '추원루'를 세웠고, 누문 안쪽에 정면으로 재사 큰채가 있다. 큰마당을 둘러싸고 양 옆으로 안사랑채인 '동재'와 헛간채인 '서재'가 튼 ㅁ자를 이루고 있다. 동재의 뒷쪽으로는 별당인 '임사청'과 곳간채인 '전사청'·안채인 '주사'가 작은 마당을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日'자 모양이다.

구조적인 면에서 큰 특징은 없지만 재사건물로는 보기드물게 큰 규모로 조선시대 제례행사의 성대함을 짐작하게 하는 건물이다.

※ 위 문화재는 일반적으로 관람이 가능하나, 소유주 등의 개인적 사정으로 관람이 제한될 수도 있습니다.


전문설명


이 집은 고려(高麗) 삼태사중(三太師中)의 한 사람인 권행선생(權幸先生)의 묘제(墓祭)를 위한 재사(齋舍)다. 초창(初創)은 조선 효종(孝宗)4년 (1653) 관찰사(觀察使) 우가 종인(宗人)들과 논의하여 마루, 방, 곳간 등 16칸(間)을 건립하였고 그후 숙종(肅宗)9년(1683) 관찰사 시경(是經)이 누각(樓閣) 7칸을 추건(追建)하였다. 그러나 1743년의 화재로 건물이 전소(全燒)되어 중건(重建)하였고, 1896년 다시 화재를 만나 당시 70여칸의 건물중 임사청(任事廳) 전사청(典事廳) 등 수칸(數間)만 남기고 모두 없어진 것을 건양(建陽)1년(1896)에 다시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본 재사(齋舍)는 계곡을 따라 올라가는 길 좌측에 높은 축대를 쌓은 추원루(追遠樓)를 전면에 내세워 문루(門樓)를 삼았고 누문(樓門)안의 마당 건너 우뚝솟은 재사 큰채와 그앞 양쪽에 시립(侍立)한 동서재(東西齋)가 튼ㅁ자를 이루었다. 또 동재(東齋)의 우측에 임사청(任事廳), 전사청(典事廳), 주사(廚舍)가 마당을 중심으로 일곽을 이루고 있어서 전체 배치가 日자형으로 되어 있다. 추원루(追遠樓)(대문채)는 누하(樓下) 어간(御間)에 다락문을 내고 그 앞에 여러단의 자연석 계단을 설치하여, 출입하게 하였다. 누하주(樓下柱)는 8각주로 자연석 초석(礎石)위에 놓았고 통로의 좌우에는 일부 토재(土材)와 판재(板材)로 벽을 치고 수장처(收藏處)를 마련하였다. 누상(樓上) 원주(圓柱)의 공포는 주심포계(柱心包系) 이익공(二翼工)을 형성하였고 쇠서는 초각(草刻)과 봉두각(鳳頭刻)으로 조각되어 있다. 지붕가구는 오량가(五樑架)로 종보위에 제형(梯形) 판대공(板臺工)을 세운 윗몸에 첨차를 끼워 종도리(宗道里)를 받고 있다.

능동재사(陵洞齋舍)(사랑채)는 높은 잡석축대위에 자연석 초석놓고 방주를 세운 전퇴(前退)집이다. 원래는 2칸 대청을 중심으로 좌측에 방 2칸, 우측에 방 1칸을 둔 정면 5칸집 이었으나 좌단에 방 2칸을 첨가하여 규모를 증대시켰다. 대청 상부는 오량가의 연등천장으로 마감하였으며, 종보위에 제형 판대공을 세우고 그 윗몸에 첨차를 끼워서 종도리를 받고 있다. 동재(안사랑채), 서재(헛간채)는 각 3칸으로 서재는 방 2칸에 부엌 1칸, 동재는 방 2칸에 전사청마당으로 통하는 칸이 1칸 놓여있다. 임사청(별당)은 주사(안채)와 일곽을 이루며 북편의 축대 위에 배치되었는데 어간이 마루로 되어있고 좌우에 방을 1칸씩 들였다. 전사청(곳간채)은「공성재(供城齋)」란 편액(扁額)이 걸려 있는 정면 3칸집의 전면에 툇마루를 설치하고 그 뒤쪽에 수장고(收藏庫)를 3칸을 두었기 때문에 제기고(祭器庫)라고도 한다.

이 집은 구조적으로 주목할만한 건축물은 없으나 재사로서는 보기 드물게 큰 규모의 건물로 제례행사(祭禮行事)의 성대한 규모를 짐작케 한다.


재사 큰채 대청 내부

재사 큰채 툇마루에서 본 추원루와 서재

재사 큰채에서 본 추원루

추원루 누상부에서 본 재사 큰채

추원루 상부 누마루

안동권씨능동재사원경

공성재전경

안동권씨능동재사

안동권씨능동재사

강당우측면

누락내부및강당전경

능동재사

추원루

공성제

능동재사 원경

능동재사

능동재사와 돌계단

동재 수임석실

바깥채

보판각

본채 전퇴 전경

본채 전퇴

본채에서 바라본 추원루

서재 헛간채

은교제

전사청 전경

추원루 난간

추원루 내부

추원루

추원루에서 바라본 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