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서쪽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조선시대 후기의 집으로 박연당(1753∼1830)이 세웠다고 한다. 산골짜기에 자리잡고 있으나, 주변에 넓은 들이 있어서 그리 척박하지는 않다. 집은 트인 ㅁ자형으로 경사진 곳에 사랑채와 중문채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배치하였다.
솟을대문이 우뚝 선 대문채는 서쪽칸에 마루를 깔았고, 동쪽에는 방 2칸과 마루 1칸이 있다. 대문간채의 동쪽에는 연당이 있고, 북쪽에는 4칸의 행랑채가 있다.
행랑채의 북쪽, 높이 쌓은 대 위에 사랑채가 있다. 서쪽부터 4칸은 방이고 다섯째칸은 마루방이며, 둘째칸에는 아궁이가 설치되어 있다. 셋째칸에는 ‘몽심재’라는 현판이 걸려있으며, 기둥은 팔각형으로 다듬었다. 셋째와 넷째칸에서 기둥 밖으로 쪽마루를 연장시킨 것이 특이하다. 사랑채의 동쪽에는 3칸의 중문채가 있는데 가운데칸에 문이 달려있고, 문 앞에 돌층계가 설치되어 있다.
안채는 사랑채의 북쪽에 있으며 방과 대청을 중심으로 서쪽에는 2칸의 부엌이 있는데 1칸은 방이다. 방의 서쪽에는 1칸의 툇마루가 있다. 이 부분이 서쪽 날개에 해당된다. 동쪽 날개에는 2칸의 대청이 있으며, 그 옆으로 마루를 깐 방이 있고, 그 아래 방이 1칸 있다. 맨 밑에는 아궁이가 있는 아랫층과 다락처럼 구성한 2층으로 되어 있었다.
대청 앞쪽에는 문을 설치하였는데, 이것을 통해서 이 지역에도 대청 앞쪽을 폐쇄하는 유형이 분포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가 되는 건물이다.
전문설명
인기(仁基)씨까지 누대(累代)째 세거(世居)하고 있는데 1753년부터 1830년 사이에 생존하였던 선대, 호(號)를 연당(蓮堂)이라 하는 분이 배산(背山) 양명(陽明)한 터에 입기(立基)하였다고 전한다.
집은 전체로 보아 트인 ㅁ형이다. 급한 산록(山麓)의 경사를 감안하여 안채와 사랑, 중문채를 따로 설치하여서 높이가 서로 다르게 되었다. 얼른 보면 ㅁ형의 안채에 사랑과 중문채가 一자로 복합되어 부설된 듯이 보인다, 그러나 산곡(山谷)의 폐쇄형 ㅁ형이라고 분류하는 것이 타당하겠다.
대문채가 따로 있다. 대문을 들어서면 상당히 넓은 마당이다. 사랑채와 중문이 고설(高說)한 축대 위에 자리잡고 있다. 축대는 무사석형(武砂石形)과 산석(山石)을 적절히 혼합사용하여서 그 모양이 의젓하고 흥미롭다.
중문으로 올라가는 석계(石階)는 제법 장엄한데 높은 축대에 쉽게 올라갈 수 있도록 각도를 조정하였다.
중문은 내외벽이 있고 2간이다. 그 좌측에 팔작기와지붕의 사랑채가 있다. 당호(堂號)가 몽심재(夢心齋)이다. 장대석을 다듬어 높직하게 댓돌을 구성하고 집을 앉혔는데 주목되는 부분이 기둥과 툇마루이다.
기둥은 팔각주(八角柱)를 사용하고 있다. 앞퇴의 툇마루는 기둥에서 귀틀을 두어 마감하는 것이나 이집에서는 선반 매듯한 쪽마루를 보상(補床)하여서 전출시키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특이하다.
전퇴(前退)에서 서단(西端) 1간의 전퇴마루는 한단을 높였고 난간을 둘렀다.
안채는 고졸(古拙)한 기법을 보이며 ㅁ형 중에서 좌우 날개는 전단(前端)에 이르러 내루(內樓)처럼 사기(四起)하였는데 누하(樓下)를 외양간으로 사용할 수 있을만큼 높직하게 하였다. 이점도 특색의 한가지라 할 수 있다.
안채의 중심간은 우물마루인 대청이다. 앞퇴가 열린 집이어서 고주간(高柱間)에 전벽(前壁)을 들였는데 대청 앞쪽에는 분합문을 설치하였다. 대청 앞쪽을 폐쇄하는 유형이 이 지역에도 분포되고 있는 사례를 보여주는 좋은 자료가 되겠다.
ㅁ형 왼쪽 날개 끝에 가적지붕을 한 부설건물이 있고 또 별채가 더 있으나 크게 주목할 내용은 지니고 있지 않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5C684A5DF4331B23)
사랑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63064A5DF4331C20)
연못 ![](https://t1.daumcdn.net/cfile/blog/99632D4A5DF4331D22)
사랑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63774A5DF4331E22)
왼쪽에서 바라본 안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62AE4A5DF4331F22)
사랑채, 광채, 안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63E04A5DF4332022)
안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65684A5DF4332122)
전경 ![](https://t1.daumcdn.net/cfile/blog/99A30A4C5DF4332321)
전경 ![](https://t1.daumcdn.net/cfile/blog/99A4164C5DF4332521)
몽심재 돌계단 ![](https://t1.daumcdn.net/cfile/blog/99A3AC4C5DF4332721)
몽심재 안채 전퇴 ![](https://t1.daumcdn.net/cfile/blog/99A41A4C5DF4332821)
몽심재 안채 툇마루 ![](https://t1.daumcdn.net/cfile/blog/99A4724C5DF4332921)
몽심재 안채1 ![](https://t1.daumcdn.net/cfile/blog/99A3C24C5DF4332A21)
몽심재 안채2 ![](https://t1.daumcdn.net/cfile/blog/99A4764C5DF4332B21)
몽심재 안채3 ![](https://t1.daumcdn.net/cfile/blog/996ACA505DF4332C22)
몽심재 연못1 ![](https://t1.daumcdn.net/cfile/blog/997272505DF4332D21)
몽심재 연못2 ![](https://t1.daumcdn.net/cfile/blog/996BAA505DF4332E22)
몽심재 입구전경 ![](https://t1.daumcdn.net/cfile/blog/9972CE505DF4332F21)
몽심재 전경1 ![](https://t1.daumcdn.net/cfile/blog/997338505DF4333021)
몽심재 전경2 ![](https://t1.daumcdn.net/cfile/blog/997308505DF4333221)
몽심재 전경3 ![](https://t1.daumcdn.net/cfile/blog/996C12505DF4333321)
몽심재 전경4 ![](https://t1.daumcdn.net/cfile/blog/993C97425DF4333422)
몽심재 툇간1 ![](https://t1.daumcdn.net/cfile/blog/9939C2425DF4333522)
몽심재 툇간2 ![](https://t1.daumcdn.net/cfile/blog/993B2E425DF4333722)
몽심재 툇간3 ![](https://t1.daumcdn.net/cfile/blog/993E1F425DF4333822)
몽심재 툇간4 ![](https://t1.daumcdn.net/cfile/blog/993DC7425DF4333922)
몽심재 현판1 ![](https://t1.daumcdn.net/cfile/blog/993CD1425DF4333B22)
몽심재 현판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