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전기에 지었다고 전해오는 양반집으로 주변환경이 아름답고 전망이 좋으며, 풍수지리상 아주 좋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는 ㄱ자형의 안채와 ㄴ자형의 사랑채가 튼 ㅁ자형으로 조성되어 있다.
안채는 ㄱ자형으로 남도방식과 중부방식을 결합한 절충형 집으로 대청을 중심으로 동쪽에 골방이 있고, 남쪽에 2칸의 큰방이 위·아래로 나뉘어져 있다. 안방 앞에는 쪽마루가 있고 그 옆에 2칸의 부엌이 있다. 대청 서쪽에는 2칸의 작은방이 위·아래로 있으며, 이곳에서 대청까지 툇마루가 깔려있다. 맨끝에는 작은 부엌이 있는데 윗쪽에 다락이 있다. 큰방과 윗방 그리고 작은방 사이에는 미닫이문이 설치되어 있다.
사랑채는 一자형에서 변형된 ㄴ자형으로 남도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쪽부터 뒤에는 반칸의 부엌과 1칸의 방이 있으며, 옆으로 사랑방이 위·아래로 2칸 있다. 가운데는 대청이 있고 맨끝에는 작은방이 있으며 꺾어져서 광을 설치하고 있다. 사랑방에서 작은방까지는 툇마루가 깔려있고, 대청은 문없이 개방되어 있다. 사랑채 남쪽으로 대문간채가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볼 수 없다.
원래 사랑채는 기와집이었으며 안채도 기와를 얹으려고 했으나 돈이 모자라서 초가로 이었다고 한다. 집안의 정원시설은 없지만 주위에 나무를 심어 정취를 느끼게 하며, 특히 사랑채 앞에 있던 괴석은 가져다 놓은지 300여 년이 넘는다고 전하나 지금은 훼손되어 추모비 좌우에 둘로 나뉘어 위치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장식은 없지만 잘 짜인 건물이다.
전문설명
이 집은 19세기 초에 지었다는 구전(口傳)이 확실한 양반가옥으로서 주변 환경이 아름답고 전망이 좋은, 풍수지리상 전형적인 길지(吉地)에 위치한 양택(陽宅)이다. 안채와 사랑채는 각각 곱은자 꼴로서 서로 맞물려 튼ㅁ자 모양을 이루지만 사랑채 날개가 짧아서 서쪽은 틔여 있다.
안채의 평면은 남도방식과 중부방식을 결합하여 절충형을 택했고 가로간은 앞퇴를, 세로간은 맞걸이로 구성했다. 동남쪽 끝에 2간 부엌을 두고 다음은 안방, 웃방, 구석모에 골방을 배치했으며 꺾어져서 2간대청, 다음에 상하 건넌방, 맨 끝머리에 작은부엌을 배치했다. 대청과 건넌방 앞퇴에는 ?마루를 깔았으며 대청 앞은 문 시설 없이 개방되었다. 큰 부엌 웃간 상부와 작은 부엌 상부에는 다락이 시설되었으며 다락에도 우물마루를 시설했다. 안방 안과 대청 뒤에는 쪽마루가 널마루로 시설되었으며 안방 바깥 벽에는 처마 밑을 이용하여 반침이 꾸며졌다. 안방과 웃방 및 상하건넌방 사이에는 개폐가 가능한 미닫이문이 시설되었다.
구조는 내진주를 평주로 처리한 3평주3량인데 대청 가운데는 긴보3량으로 처리했다. 세로간은 맞걸이3량 뼈대이고 도리는 납도리인데 모를 굴리지 않고 면접었으며 장혀를 받쳤다. 그러나 뒷 기둥에는 납도리를 생략했다. 대들보는 둥근꼴이고 바심질 정도만 해서 썼다. 앞 기둥에는 (대청(大廳) 중앙은 뒷 기둥까지) 단이를 끼웠는데 모두 안팎 직절(直切)이고 안만 귀를 접었다. 역시 단연은 쓰지 않고 장연만으로 걸쳤다. 기둥은 네모꼴인데 민흘림이고 초석은 대충 네모꼴 다듬은 높은 덤벙주초이며 댓돌은 자연석 두벌대를 면 맞춰 쌓았다.
사랑의 평면배열 역시 남도방식으로 부엌이 동쪽에 오고 머리는 서쪽에 두었다. 가로간은 전퇴집으로 하고 날개는 3량집이며 평면의 구성은 동쪽으로부터 뒤에는 반간의 사랑부엌, 앞에는 부엌방을 1간 배치했다. 다음에는 아래 ·위사랑방을 놓고, 가운데에 2간대청, 맨 끝에 사랑건넌방이 놓이며 뒤에 꺾어져서 광간을 설치하였다. 사랑방에서 건넌방까지의 앞퇴에는 툇마루가 시설되고 대청은 문 없이 전면이 개방되었다. 사랑 아래 ·웃방 사이는 4짝 미닫이가 설치되었고 대청과의 사잇문은 불발기 분합문(分閤門)으로 되었다. 다른 집에 비해서 덜 개방적인 셈인데 특히 안채에는 분합문이 전혀 없다. 부엌방 앞에도 쪽마루가 널마루로 꾸며졌다.
구조는 1고주5량인데 대청중앙만 긴보5량이다. 모두 납도리이며 장혀를 받쳤는데 뒷처마 도리만 장혀가 생략되었다. 전면 퇴기둥 아래에나 대청의 중앙 뒤에도 공히 단이(보아지)를 받쳤는데 안팎 모두 직절(直切)이며 안만 귀를 약간 접었다. 대공은 동자주인데 대청 중앙만 사다리꼴 판대공이고 서까래는 장연 ·단연으로 4벌이다. 댓돌은 자연석 2∼3벌대 바른층 쌓기이고 초석은 네모꼴 높은 주초이다. 기둥은 네모꼴이며 민흘림이다.
본래 사랑채는 기와집이었으며 안채는 기와를 얹으려 했으나 경비문제로 초가로 이었다고 하며 또한 집 앞에는 대문간과 담장, 편문(便門) 등이 있었다고 전한다. 집안의 정원시설은 따로 없지만 집 주위를 산수유, 버드나무, 살구 등을 심어 정취를 돋우며 특히 사랑채 앞에 있던 괴석(怪石)은 가져다 놓은지 300여 년이 넘는다고 전하나 지금은 훼손되어 추모비 좌우에 둘로 나뉘어 위치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기법이 고졸(古拙)하여 장식은 없지만 잘 짜여진 셈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C6AA495DF42F2420)
서쪽 담장과 일각문 ![](https://t1.daumcdn.net/cfile/blog/99C747495DF42F2520)
일각문에서 바라본 안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C75B495DF42F2620)
사랑채 내부 ![](https://t1.daumcdn.net/cfile/blog/99C6FF495DF42F2720)
사랑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