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0년대 말에 지은 초가집이다. 'ㄱ'자형 안채와 '一'자형 사랑채·행랑채가 모여 경기도의 전형적인 튼 'ㅁ'자형의 평면구조를 보이고 있다. 대문을 들어서면 바로 안마당이며, 대문의 왼쪽에 사랑채가 있고 오른쪽에 행랑채가 세로로 길게 자리잡고 있다.
안채는 사랑채가 마주보이는 곳에 대청과 건넌방을 두고, 꺾이는 왼쪽 아래로 찻방·안방·부엌을 두었다. 대청의 뒷벽에는 왼쪽으로 뒷창을 내고 오른쪽으로 벽장을 만들어서 조상들의 위패를 모신 사당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는 사당을 따로 두지 않는 민가에서 통상 쓰는 수법이다. 바깥마당은 사랑방 앞으로 터져 있으며 왼편에 헛간채가 있다.
전체적으로 이 집은 민가의 격식과 쓰임새를 갖추었던 부유한 농민의 집으로 추정된다.
※ 위 문화재는 일반적으로 관람이 가능하나, 소유주 등의 개인적 사정으로 관람이 제한될 수도 있습니다.
전문설명
정용채(鄭用采) 가옥 아래쪽에 있는 초가집이다. 평면은 경기도의 전형적인 튼ㅁ자 집이다.
사랑채는 바깥마당에 면하고 있어 안마당을 감싸고 있으며 안채는 안마당을 사이로 부엌이 서쪽으로 놓이는 간살이이다. 부엌, 안방 뒤로 조그만 찻방이 만들어지고 꺽어져서 중앙에 대청이 놓이며 머리에는 건넌방과 앞의 누마루가 배치되었다. 대청(大廳)은 도리간 2간인데 퇴를 포함하여 3간 대청이라 부른다. 바닥은 우물마루이고 전면은 개방된다. 뒷벽에는 왼쪽으로 뒷창을 내고 오른쪽으로 벽장을 만들어서 신주(神主)를 모시고 사당(祠堂)으로 사용하는데 이것은 사당을 따로 두지 않는 민가에서 통상 쓰는 관습이다. 중부지방에서는 곳에 따라 안방 뒤의 골방을 찻방이라고 부르는 바 아마 그것의 이용에서 과방(果房)의 기능이 강조되는 것이라 생각된다. 사랑채는 전면 가운데에 대문을 시설하고 나머지 3간은 앞퇴에 마루가 깔려 있으며 뒤로 구들을 시설해서 사랑방과 문간방을 만들었다. 문간방 뒤로는 날개를 달아내서 안마당을 감싸는데 외양간, 헛간, 광 등으로 구성되었다. 사랑대청은 따로 마련되지 않고 툇마루는 우물마루이다.
구조는 대청 부분을 긴보5량으로, 건넌방은 1고주5량으로 하고 사랑방 부분은 평사랑으로, 나머지 부엌과 광 부분은 맞걸이3량으로 처리했다. 기둥은 모두 네모꼴로 대문간으로 들어선다. 바깥마당은 사랑방앞으로 터져 있으며 왼편에 헛간채가 마련되었고 안마당은 사랑마당으로부터 폐쇄도었다. 살림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동향을 하며 건축년대는 19세기말 정도로 추정된다. 전체적으로 볼 때 부농(富農)의 집으로 민가의 격식과 쓰임새를 갖추었다.
화성정용래가옥 사랑채 사랑채에서 본 안채 안채 대청가구 담장 전경
대청마루에서 본 마당
동편 사랑채 마루 사랑채 안채 마당 사랑채 입구 사랑채 출입문 아궁이와 가마솥 안채 뒷편 안채 전경 안채 원경 전경 헛간 서편 사랑채 마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