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국가민속문화재

중요민속자료 제120-1호 상여(喪輿)

오늘의 쉼터 2008. 5. 1. 08:11


종    목 중요민속자료  제120-1호
명     칭 상여(喪輿)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목공예/ 가구류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1982.08.07
소 재 지 강원 춘천시  석사동 27-1 국립춘천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국립춘천박물관
일반설명
청풍부원군의 시신을 장지까지 운반하던 기구이다.

긴 멜대를 중심으로 한 기본 틀 위에 관을 싣는 몸체를 조성하고 맨 위에는 햇빛을 가리기 위해 밝은 천을 넓게 펼친 모습이다. 몸체에는 검은 천을 씌우고 그 위에 색띠와 술을 늘어뜨려 엄숙한 가운데 화사하다는 느낌까지 들게 하는데 망자의 명복을 빌고 슬픔을 덜어주려는 의미인 듯 싶다. 윗 난간 앞뒤에는 봉황머리를 조각해 세우고 용이 정교하게 새겨진 고정 틀이 놓여있다. 고정틀 중앙에는 죽은 사람의 저승길을 인도하는 동방삭(삼천갑자년을 살았다는 전설 속의 인물)을 조각하여 앉혀 놓았다.

조선 숙종대에 만들어진 이 상여는 현존하는 상여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서 모양이 잘 보존되어 있다. 당시 왕실 상여의 제작을 담당했던 ‘귀후서(歸厚署)’에서 만들어졌으므로 ‘대여(大輿)’-왕실에서 사용하던 상여-의 구조를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전문설명

상여는 조립(組立)하여 사용하도록 되었다. 장강(長강)채에 연초대 얹은 방식은 다른 것들과 같다. 장강(長강)은 채가 긴것과 짧은 것의 두가지가 있는데 짧은 것의 두가지가 있는데 짧은 것은 스물여덟명이, 긴 것은 설흔여섯명이 상두군으로 들어서게 된 것인데 옛것의 길이는 약 4.5m 가량이다. 스물여덟은 이십팔숙(二十八宿)을, 설흔여섯은 육육(六六)이 삼십육구(三十六區)에서 온 상징적인 수라고 말한다. 영구(靈柩)가 장치될 자리에 연초대를 설치된다. 장강(長강)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데 그 길이는 약 2m이며 폭은 80㎝정도이다.

이 상여의 경우에는 경공장(京工匠) 각수(刻手)들의 뛰어난 솜씨가 이들 조각품에 잘 발휘되어 있다. 용수판(龍首板)에는 세가닥 나무오리를 길게 건너질러 고정시키게 장식되어 있다. 홈대에 끼워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그리고는 정상부(頂上部)에 채운(彩雲)속에서 슬며시 고개를 내민 용두(龍頭)가 조각된 굵직한 마루대를 내려 꽂는다. 조립된 각 부재들이 이것을 끼움으로 해서 완전히 고착되도록 하는 기능까지를 가졌다. 마루대 중간에 사자(獅子)를 탄 동방삭(東方朔)이 앉았다. 삼천갑자(三千甲子)를 살다 죽은 선인(仙人) 동방삭(東方朔)이 혼백을 안내하여 저세상 좋은 곳으로 안내한다는 의미가 담겨진 표현이다. 신선이 안내할 정도로 중요한 인물이 이 상여에 계시니 "사귀(邪鬼)들이여 물러나라 어서 좋은데로 모셔가야겠다"고 한다면 고인(故人)을 떠나보내는 후손들의 마음은 그만큼 안심이 될 것이다.

동방삭(東方朔)이가 바라다 보는 쪽이 상여가 전진(前進)해나갈 앞쪽이 된다. 황룡(黃龍)의 용수판(龍首板)이 앞쪽에 있으면 망인(亡人)이 성인(成人) 남자(男子)임을 의미하고 청용판(靑龍板)이 앞에 있으면 여자(女子)가 상여의 주인임을 알린다. 현장(玄帳)의 검은 장막으로 덮으면 보개(寶蓋)가 완성된다. 보개(寶蓋)의 둘레에 서매(西枚)로 구조한 길이 2m가량의 운궁판(雲宮板)을 설치하여 장엄한다. 운궁판의 고정은 봉황(鳳凰)의 머리를 새긴 산지를 꽂는데 부리에 고리를 걸고 역시 아름다운 매듭의 유소(流蘇)를 느린다. 흑포(黑布)인 유막(유幕)을 전체로 친 뒤에 요소마다에 색포(色布)를 느린다. 여기의 색포(色布)는 세월이 오래됨에 따라 색이 많이 바랬고 끝동에 단 게블이 헐어서 새것처럼 상큼하지 못하다. 연초대에 의지하고 아름답게 꾸민 난간(欄干)을 두르면 상여는 완성된다. 이제 앙장(仰帳)대 세우고 흰 깁에 검은색 전을 두른 구름차일만 치면 상여는 완성된다. 요령 잡고 인로(引路)할 상두군이 올라설 자리를 마련하던가 어깨에 맬 채를 끼우는 일들은 여느 상여와 마찬가지이다.

 

 


상여

 


상여

 


상여

 


상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