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충주댐 건설로 충북 청원군에 있던 조선중기의 문신인 김위의 묘를 이장할 때 미이라화된 시신과 함께 발견된 의복들이다.
출토된 의복에는 외국에 사신으로 파견될 때나 왕을 호위할 때, 국난이 있을 때 입었던 철릭과 지금의 두루마기 모습과 비슷하지만 옷깃이 직선으로 곧아 직령포라고 불리는 옷과, 옷깃이 둥글어 단령이라 불리는 옷 그리고 옷의 일부가 트여져 있는 창의, 여름에 입기 위해 삼베로 만든 저고리인 적삼, 한복 속에 입는 바지인 속곳과 솜버선 그밖에 시신을 덮었던 명주로 만든 천금 등으로 목록을 보면 다음과 같다.
①삼베적삼 ②명주겹직령관복 ③자색명주철릭 ④무명누비속곳 ⑤명주누비속곳 ⑥무명잔누비창의 ⑦갈색겹유창의 ⑧무명솜버선 ⑨명주겹유창의 ⑩명주홑철릭 ⑪명주누비창의 ⑫명주누비솜속곳 ⑬명주겹철릭 ⑭명주유직령포 ⑮관복(단령)
이 옷들은 임진왜란때 현감을 지냈던 김위의 것으로 당시 의제를 잘 보여주고 있다. 특히 깃이 둥근 단령과 깃이 직선으로 각이 진 직령이 함께 출토되어 그 이전까지 불분명했던 의복의 표리관계가 확실히 밝혀졌다. 즉 평상시에는 직령이나 창의를 입고 있다가 관청에 출근 할 때 단령을 위해 걸쳐 입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직령은 겹으로 되어있고 단령은 홑겹으로 만들어졌으며 소매는 좁은 편으로 조선초의 전형적인 의습을 보여주고 있다.
임진왜란 당시의 유물들이 다량으로 출토되어 우리나라 복식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전문설명
이 유의는 충북의 충주댐 공사로 인하여 괴산군 괴산면 능촌리에 거주하는 김태력의 12대조인 김위(金緯)의 묘소를 김시민(金時敏)장군 묘역으로 이장하던중 「 미라」화된 시신과 함께 출토되었다. 김 위는 임진왜란 당시에 현감을 지냈으므로 그의 의복은 그 당시의 복식형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그 중에는 특히 단령(團領)의 관복도 포함되어 있다. 수습된 의복의 종류 및 치수는 다음과 같다.
① 삼베적삼(赤衫) ② 명주겹직령관복(明紬겹直領冠服)③ 자색명주철릭(紫色明紬天翼)④ 무명누비속곳 ⑤ 명주누비속곳 ⑥ 무명잔누비 창의 ⑦ 갈색겹유 창의 ⑧ 무명 솜 버선 ⑨ 명주겹유창의 ⑩ 명주(明紬) 홑 철릭⑪ 명주 누비 창의 ⑫ 명주 누비 솜 속곳 ⑬ 명주겹철릭 ⑭명주유직령포 ⑮ 관복(단령) 16. 명주천금이다.
삼베 적삼은 길이가 70cm, 삼수가 14cm이고 14㎝의 트임이 있다. 명주겹직령관복은 옆에 40cm×105cm의 협삼(脇衫)이 달려 있고 옆이 전부 트여 있다. 이 부분을 접어서 뒷등에 달면 안으로 손이 들어갈 수 있다. 무명잔누비창의는 옆이 61cm 트여 있다. 무명누비속곳의 누비속곳은 오늘의 제도와 같으며 밑이 트여 있다. 무명잔누비창의, 갈색겹유창의, 명주겹유창의, 명주누비창의는 옆 무가 각각 61cm, 57cm, 56cm, 64cm 트여있고, 명주 솜 직령포는 울산 이휴정것과 비슷하여 25cm의 삼주가 달려 있다. 특히 단령과 직령이 같이 출토되었는데, 이 경우 직령은 단령의 리의(裏衣)가 되므로 표·리(表·裏)가 같이 출토된 것이 이 의복이 출토 되기 전에는 표·리의 개념이 모호하였으나 이로 말미암아 그것이 확실하게 밝혀지게 되었다. 보통, 당의의 경우도 표와 리를 따로 만들어 등과 진동의 세군데만 연결시키지 않는다. 그러므로 표와 리가 따로 움직이기 때문에 여러 미적감각을 자아내는데 이 단령과 직령의 경우도 그런 원리를 응용한 것 같다. 또한 직령은 겹이고 단령은 홑인점이 특이하여 이 옷은 전체적으로 선초 의제(衣制)의 원형을 지니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단령은 의례용 상복(常服)이기 때문에 보통 때, 창의(중치막) 또는 직령을 입고 있다가 등청 출임(登廳 出任)할 때만 이 단령을 걸쳐 입었다. 직령포나 단령포에 협삼이 달려 있고, 창의는 옆이 트여 있어서 착용후 허리춤에 손을 넣을 수 있으며 호패와 협낭(夾囊)이 허리띠에 달려 있다. 그러나 이런 직령포나 단령포를 입었을 때, 옆에서 보면 바지는 보이지 않는다. 또한 소매는 모두 착수 내지 중간수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유의는 전박 장군묘 출토의복과 함께 임진왜란 당시의 각종 의복이 다양하게 출토되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중원김위묘출토유물 
삼베적삼 
자색명주철릭 
무명잔누비창의 
무명누비속곳 
명주누비속곳 
갈색겹누비창의 
명주겹유창의 
명주홑철릭 
명주누비창의 
명주누비창의 
명주솜직령포 
관복(단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