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국가민속문화재

국가민속문화재 제116-1호 남명주솜저고리

오늘의 쉼터 2008. 4. 30. 15:54



종     목

국가민속문화재  제116-1호
명     칭남명주솜저고리(남명주솜저고리)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복식공예/ 의복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1981.11.11
소 재 지 충북 청주시  흥덕구 개신동 산48
시     대시대미상
소 유 자충북대학교
관 리 자

충북대학교박물관 

일반설명

1979년 충북 청원군에 거주하는 변종화씨가 조상의 묘들을 이장할 때, 그의 11대 조부인 변유인(1566∼1641)씨의 둘째 부인 구례 손씨(孫氏)의 묘에서 미이라화 된 시신과 함께 발견한 의복들이다.

이 의복의 주인인 손씨의 생몰년대는 알 수 없으나 변유인씨와의 연령차를 10세로 보고 50세 때 죽었다고 가정한다면 1576년에서 1626년 사이에 해당되므로 임진왜란 전후시기의 유물로 볼 수 있다.

남명주저고리는 사각모양의 목판깃을 하고 있고 앞쪽에 고름이 달려 있는데 장식적 의미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너비 2㎝의 단순한 끈 모양으로 매는 용도로만 쓰였던 것으로 보인다. 비교적 길이가 길고 소매 끝에는 한삼을 달았다.

이 저고리는 임진왜란 전후의 옷으로 길이가 길고 소매 끝에 한삼을 단 것이 특징이며 단순한 끈 모양을 하고 있는 고름 등은 우리 복식의 옛 모습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전문설명


남명주 솜 저고리는 삼수(삼袖)가 달린 목판(木板)깃으로 저고리의 길이느 58cm이다. 겉과 안고름이 다 있으나 장식적인 의미는 하나도 없고, 단지 2cm 넓이의 매듭 용(用)이다




남명주솜저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