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사적

사적 제461호 서울청계천유적(광통교지,수표교지,오간수문지)

오늘의 쉼터 2008. 2. 24. 00:38



종     목 사적  제461호
명     칭

서울청계천유적(광통교지,수표교지,오간수문지)

(서울淸溪川遺蹟(廣通橋址,水標橋址,五間水門址))

분     류 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교통/ 교량
수량/면적 11,255.05㎡
지 정 일 2005.03.25
소 재 지 서울 종로구  관철동 270-1외, 중구 남대문로 9 외
시     대조선시대
소 유 자국유.공유.사유
관 리 자서울특별시

일반설명

청계천은 개천(開川, 인공적으로 물길을 만든 하천)으로서, 도성을 둘러싼 목멱산, 인왕산, 북악산, 낙산 등에서 발원하여 도성 중심부를 서에서 동으로 흘러 중랑천에서 합류하며, 그 길이는 11Km에 달한다.

청계천에는 모전교(毛廛橋), 광통교(廣通橋), 장통교(長通橋), 수표교(手標橋), 하랑교(河浪橋), 효경교(孝經橋), 마전교(馬廛橋), 오간수문(五間水門), 영도교(永渡橋) 등 많은 다리와 수문이 설치되었으며 그 변화상은 도성의 변화와 궤를 같이하고 있다. 이들 다리 관련 유구들은 조선시대 토목기술을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및 변천과정의 연구를 통해 도시기능의 확대 및 도성관리체계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 광통교지

광통교는 도성내에서 가장 큰 다리로 경복궁-육조거리-종루-숭례문으로 이어지는 남북대로를 연결하는 도성 안 중심통로였으며, 주변에 시전이 위치하고 있어 도성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왕래하던 다리였다. 조선 초 도성건설때 놓여진 것으로 보이는 광통교는 처음에는 토교(土橋)였다가 태종 10년(1410)에 석교(石橋)로 놓이게 되었으며, 이때 신덕왕후 강씨의 릉인 정릉의 석물을 이용하였다고 전한다. 영조 38년(1762)에 증축되었다.

□ 수표교지

수표교는 세종 2년(1420)에 마전교라는 이름으로 축조되어 세종 23년(1441)에 서편 상류에 인접하여 박석을 깔고 수심을 측정하기 위한 수표를 세운 이후 수표교라 이름 하였다 한다. 수표교는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8호로 지정되어 장충단공원에 복원되어 있으며, 길이 27.6m, 폭 7.5m, 최대높이 3.4m로 실측되었다. 한편 수표석주는 보물 제838호로 지정되어 있다.

□ 오간수문지

오간수문은 도성 개축시에 물길을 고려하여 청계천에 놓은 성벽의 하부구조물로 동대문에서 광희문으로 연결되는 부분에 축조되어 있었다고 한다. 다섯칸의 홍예문이 있었으며, 상부에 성벽이 축조되어 있었던 사진이 전하고 있다.


전문설명


청계천은 개천(開川, 인공적으로 물길을 만든 하천)으로서, 도성을 둘러싼 목멱산, 인왕산, 북악산, 낙산 등에서 발원하여 도성 중심부를 서에서 동으로 흘러 중랑천에서 합류하며, 그 길이는 11Km에 달한다. 조선왕조 개창 후 도성의 체제를 정비하면서 태종조부터 논의되기 시작하였으며 그 변화상은 도성의 변화와 궤를 같이하고 있으며, 개천 내에 놓은 구조물의 변화상을 통해 당시 사회상의 단면을 파악할 수 있다.

청계천에는 모전교(毛廛橋), 광통교(廣通橋), 장통교(長通橋), 수표교(手標橋), 하랑교(河浪橋), 효경교(孝經橋), 마전교(馬廛橋), 오간수문(五間水門), 영도교(永渡橋) 등 많은 다리와 수문이 설치되었으나 대부분 일제강점기와 청계천복개공사과정에서 사라졌으며, 2003년의 청계천복원구간 문화재 지표조사와 2004년 청계천 복원구간 시굴조사 결과 유구들이 확인되었다.

이들 다리 관련 유구들은 조선시대 토목기술을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및 변천과정의 연구를 통해 도시기능의 확대 및 도성관리체계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광통교지

광통교는 도성내에서 가장 큰 다리로 경복궁-육조거리-종루-숭례문으로 이어지는 남북대로를 연결하는 도성 안 중심통로였으며, 주변에 시전이 위치하고 있어 도성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왕래하던 다리였다.

조선 초 도성건설 때 놓여진 것으로 보이는 광통교는 처음에는 토교(土橋)였다가 태종 10년(1410)에 석교(石橋)로 놓이게 되었으며, 이 때 신덕왕후 강씨의 릉인 정릉의 석물을 이용하였다고 전한다. 영조 38년(1762)에 증축되었다.

광통교 초축석교는 동편 6열에 1단 교각 및 2단이 교대로 축조되었다가 개천의 잦은 범람과 준천으로 주변지대와 남대문로가 높아져 광통교도 하단 교각에 125cm정도의 상단교각을 올려 2단의 교각이 되고, 교대도 4단(높이 약 3.7m)으로 중축되었다. 후에 도시기능의 확대와 더불어 서편으로 2행이 확장되어 남아있는 광통교(길이 12m, 폭 15m, 높이 3.7m)의 모습이 되었다.

상하류에서 확인된 석축부를 포함하여 광통교와 관련된 부분은 교대 후면의 뒷채움부를 포함한 길이가 약 21m이며, 광통교 주변에서 확인된 석축을 포함한 폭은 약 30m에 달한다.

□수표교지

수표교는 세종 2년(1420)에 마전교라는 이름으로 축조되어 세종 23년(1441)에 서편 상류에 인접하여 박석을 깔고 수심을 측정하기 위한 수표를 세운 이후 수표교라 이름 하였다 한다. 수표교는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8호로 지정되어 장충단공원에 복원되어 있으며, 길이 27.6m, 폭 7.5m, 최대높이 3.4m로 실측되었다. 한편 수표석주는 보물 제838호로 지정되어 있다.

수표교지의 북측에서는 교대와 연결된 석축이, 남측은 복개 벽 하부에서 9번째 열이 확인되었고, 남측 교대는 복개구조물 밖 도로 하부에 잔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교각기초석은 최초 9열씩 4행으로 배치되었다가 나중에 동편으로 1열이 확장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서편에서 직경 480m의 수표석 기단부가 확인되었다.

수표교지의 규모는 북측 교대에서부터 남측 9열 교각기초석까지의 길이가 약 28.8m, 북편에서 확인된 석축부 포함 너비가 약 34.4m이며 석축을 제외한 너비는 서쪽 수표석 기단부에서 5행까지 21.6m이다.

□오간수문지

오간수문은 도성 개축시에 물길을 고려하여 청계천에 놓은 성벽의 하부구조물로 동대문에서 광희문으로 연결되는 부분에 축조되어 있었다고 한다. 다섯칸의 홍예문이 있었으며, 상부에 성벽이 축조되어 있었던 사진이 전하고 있다.

오간수문의 남측교대와 북측교대 그리고 4개의 홍예기초석과 5칸의 수문부가 확인되었으며, 그 규모는 남측에서부터 홍예기초부는 335cm, 232cm, 232cm, 330cm의 규모이며, 수문부는 남편에서부터 375cm, 405cm, 405cm, 405cm, 347cm였다. 남측과 북측에서 확인된 교대부는 상류와 하류쪽으로 날개벽이 만들어져 있었다. 양측 교대부를 포함한 길이는 약 38m 정도이며, 날개벽을 포함한 너비는 약 33.6m이다.




서울 청계천 유적- 광통교 근경

서울 청계천 유적- 광통교각 명문

서울 청계천 유적- 광통교 원경

서울 청계천 유적- 광통교 정릉석물

서울 청계천 유적

서울 청계천 유적- 수표교 근경

서울 청계천 유적- 수표교 교각(하)

서울 청계천 유적- 수표교 명문

서울 청계천 유적-오간수문 근경

서울 청계천 유적- 오수간문 전경

서울 청계천 유적- 오간수문지 노출 전경

서울 청계천 유적- 광통교 출토유물

광통교지 교각

광통교지 남측교대

광통교지 남측교대(하단부재)

광통교지 동편교각(각자)

광통교지 동편교각(각자)

광통교지 바닥석노출상태

수표교지 남측유구

수표교지 하부지정말목

수표석 기단석

오간수문지 1호홍예기초석

오간수문지 3번수문부하부 상평통보

청계천다리들

광통교 교각1

광통교 교각2

광통교 석물1

광통교 석물2

광통교 전경

광통교

수표교 상부

수표교 전경

수표교

오간수문지1

오간수문지2

오간수문지3

오간수문지4

서울 청계천 유적- 광통교 근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