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사 소속의 봉천원(奉天院)에 있던 것을 현재 자리인 대적광전 앞의 왼쪽으로 옮겨 왔다. 우리나라의 탑이 대부분 밝은 회색의 화강암으로 만든 정사각형의 탑인데 비해, 이 탑은 흑백의 점판암으로 만든 육각다층석탑이다.
탑을 받치는 기단(基壇)에는 연꽃조각을 아래위로 장식하였다. 탑신부(塔身部)는 각 층마다 몸돌이 있었으나 지금은 가장 위의 2개 층에만 남아 있다. 몸돌은 각 귀퉁이마다 기둥모양이 새겨져 있고, 각 면에는 원을 그린 후 그 안에 좌불상(坐佛像)을 새겨 놓았다. 지붕돌은 낙수면에서 아주 느린 경사를 보이다가, 아래의 각 귀퉁이에서 우아하게 들려있다. 밑면에는 받침을 두었는데, 그 중심에 용과 풀꽃무늬를 새겨놓았다. 꼭대기의 머리장식은 남은 것이 없었으나, 훗날 보충한 화강암으로 만든 장식이 놓여 있다.
벼루를 만드는데 주로 쓰이는 점판암을 사용하여 이색적인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으며, 각 층의 줄어드는 정도가 온화하고 섬세하다. 몸돌과 지붕돌에 새겨진 조각수법으로 보아 고려 전기에 세워진 탑으로 짐작된다.
전문설명 이 탑은 고려초(高麗初)의 석탑으로 봉천원(奉天院)에서 옮겨온 것이다. 현재의 높이는 2.18m이며, 우리나라의 탑이 대부분 화강암(花崗岩)으로 만든 방형탑(方形塔)인 데 비해, 이 탑은 점판암(粘板岩)의 육각다층석탑임이 특색이다.
이색적인 각층의 체감비례(遞減比例)가 아름다우며, 섬세한 조각기법을 보여준다. 원래 이 탑에는 층마다 탑신(塔身)과 옥개석이 모두 1매석으로 조성되어 있는데 옥신석은 각면에 우주가 모각되고 면석 중앙에는 원권내(圓圈內)에 좌불상을 선각하였다. 옥개석 아랫면에는 받침이 있고 이 중심에 용(龍)과 초화문(草花紋)등이 선각되어 이다. 지금은 가장 위의 2개 층의 탑신과 11개 층의 옥개석(屋蓋石)이 남아 있다.
금산사 육각다층석탑 탑신석과 선각 좌불상 암련석과 복련석 금산사육각다층석탑 탑신부 금산사육각다층석탑 우측면 정면 좌측면 탑신부와 상륜부 하대석 문양 하대석 하대석과 탑신부 후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