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사 소속의 봉천원(奉天院)에 있던 것을 현재 자리인 대적광전 앞의 왼쪽으로 옮겨 왔다. 우리나라의 탑이 대부분 밝은 회색의 화강암으로 만든 정사각형의 탑인데 비해, 이 탑은 흑백의 점판암으로 만든 육각다층석탑이다.
탑을 받치는 기단(基壇)에는 연꽃조각을 아래위로 장식하였다. 탑신부(塔身部)는 각 층마다 몸돌이 있었으나 지금은 가장 위의 2개 층에만 남아 있다. 몸돌은 각 귀퉁이마다 기둥모양이 새겨져 있고, 각 면에는 원을 그린 후 그 안에 좌불상(坐佛像)을 새겨 놓았다. 지붕돌은 낙수면에서 아주 느린 경사를 보이다가, 아래의 각 귀퉁이에서 우아하게 들려있다. 밑면에는 받침을 두었는데, 그 중심에 용과 풀꽃무늬를 새겨놓았다. 꼭대기의 머리장식은 남은 것이 없었으나, 훗날 보충한 화강암으로 만든 장식이 놓여 있다.
벼루를 만드는데 주로 쓰이는 점판암을 사용하여 이색적인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으며, 각 층의 줄어드는 정도가 온화하고 섬세하다. 몸돌과 지붕돌에 새겨진 조각수법으로 보아 고려 전기에 세워진 탑으로 짐작된다.
전문설명 이 탑은 고려초(高麗初)의 석탑으로 봉천원(奉天院)에서 옮겨온 것이다. 현재의 높이는 2.18m이며, 우리나라의 탑이 대부분 화강암(花崗岩)으로 만든 방형탑(方形塔)인 데 비해, 이 탑은 점판암(粘板岩)의 육각다층석탑임이 특색이다.
이색적인 각층의 체감비례(遞減比例)가 아름다우며, 섬세한 조각기법을 보여준다. 원래 이 탑에는 층마다 탑신(塔身)과 옥개석이 모두 1매석으로 조성되어 있는데 옥신석은 각면에 우주가 모각되고 면석 중앙에는 원권내(圓圈內)에 좌불상을 선각하였다. 옥개석 아랫면에는 받침이 있고 이 중심에 용(龍)과 초화문(草花紋)등이 선각되어 이다. 지금은 가장 위의 2개 층의 탑신과 11개 층의 옥개석(屋蓋石)이 남아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DD1C445C504F212D)
금산사 육각다층석탑 ![](https://t1.daumcdn.net/cfile/blog/992BE3445C504F222C)
탑신석과 선각 좌불상 ![](https://t1.daumcdn.net/cfile/blog/99A58D445C504F2430)
암련석과 복련석 ![](https://t1.daumcdn.net/cfile/blog/99BA0F445C504F2629)
금산사육각다층석탑 ![](https://t1.daumcdn.net/cfile/blog/993429445C504F2735)
탑신부 ![](https://t1.daumcdn.net/cfile/blog/99C029445C504F2929)
금산사육각다층석탑 ![](https://t1.daumcdn.net/cfile/blog/9940AF445C504F2B2D)
우측면 ![](https://t1.daumcdn.net/cfile/blog/99A86C475C504F2D1E)
정면 ![](https://t1.daumcdn.net/cfile/blog/99DDDF475C504F3035)
좌측면 ![](https://t1.daumcdn.net/cfile/blog/99BA12475C504F3201)
탑신부와 상륜부 ![](https://t1.daumcdn.net/cfile/blog/99C45B475C504F340B)
하대석 문양 ![](https://t1.daumcdn.net/cfile/blog/994778475C504F3539)
하대석 ![](https://t1.daumcdn.net/cfile/blog/99B5B0475C504F3636)
하대석과 탑신부 ![](https://t1.daumcdn.net/cfile/blog/99BC9D475C504F3901)
후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