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경전은 크게 경(經), 율(律), 론(論)으로 나누어지는데, 아비달마는 부처님의 지혜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론(論)부분을 총칭하여 이르는 말이다. 아비달마식신족론은 성불(成佛)하는데 필요한 부처님의 지혜를 체계적으로 모아 설명하고 있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고려 현종 때(재위 1011∼1031) 부처님의 힘으로 거란의 침입을 극복하고자 만든 초조대장경 가운데 하나로, 당나라의 현장(玄장)이 번역한 아비달마식신족론 16권 중 권 제12이다.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으로 두루마리처럼 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세로 29.5㎝, 가로 46.5㎝ 크기를 26장 이어붙였다.
초조대장경은 이후에 만들어진 해인사대장경(재조대장경 또는 고려대장경)과 비교해 볼 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목판의 새김이 정교한 반면에 해인사대장경과 글자수가 다르고 간행연도를 적은 기록은 없으며, 군데군데 피휘(避諱:문장에 선왕의 이름자가 나타나는 경우 공경과 삼가의 뜻을 표시하기 위하여 글자의 한 획을 생략하거나 뜻이 통하는 다른 글자로 대치하는 것)와 약자(略字)가 나타난다. 또 초조대장경은 책의 장수를 표시하는데 있어서 대체로 ‘장(丈)’자나 ‘폭(幅)’자를 쓰는데 비해 해인사대장경은 ‘장(張)’자로 통일되어 있다.
이 책에서는 글자의 획을 줄여서 쓴 예는 보이지 않지만, 간행기록이 없는 점, 글자수가 23행 14자로 해인사본의 24행 14자와 다른 점, 책의 장수를 표시하는데 있어 ‘장(丈)’자를 쓰고 있는 점 등에서 초조대장경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인쇄상태와 종이의 질 등을 고려해 볼 때 12세기경에 찍어낸 것으로 추정된다. 전문설명 당(唐)나라 현장이 번역한 16권(卷) 중 제12권으로 판수제(版首題)는 「아비달마식신족론 권제십이 제이장 연(阿毗達磨識身足論 卷第十二 第二丈 連)」으로 되어 있고 제26장(第26丈)에는 張次와 함차표시(函次表示)만 되어있다.
대장도감본(大藏都監本)은 판미제(板尾題)인데 「아비달마식신족론 제십이권 제이장 연(阿毗達磨識身足論 第十二卷 第二張 連)」과 같이 그 표시(表示)와 장자(張字)에 차이가 있으며 권말(卷末)의 간기(刊記)가 있는 것도 차이점이다.
본문(本文)에는 탈자(脫字)나 피휘결획자(避諱缺劃字)는 보이지 않고 이자(異字)가 몇자 있을 뿐이며 간혹 자체(字體)에 획(劃)이 떨어져 나간 자(字)가 보이고 있는데 이는 후쇄본(後刷本)임을 알려주는 것이다.
고려초조대장경(高麗初雕大藏經) 가운데 하나로 인출시기(印出時期)는 12세기경(世紀頃)으로 추정된다.
초조본아비달마식신족론(권제12) 초조본아비달마식신족론(권제12) 초조본아비달마식신족론(권제12) 초조본아비달마식신족론(권제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