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조선 영조 36년(1760) 1월부터 1910년 8월까지 조정과 내외의 신하에 관련된 일기이다. 임금의 입장에서 펴낸 일기의 형식을 갖추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정부의 공식적인 기록이다. 현재 이 책은 2,329책이 모두 전하고 있으나, 21개월분이 빠져 있다.
정조의 세자시절『존현각일기』에서 작성되기 시작하여 즉위후에도『존현각일기』는 계속 쓰여졌고, 『일성록』은 이 일기에 많은 기반을두고 있다. 조선 후기에 문화사업을 크게 일으켰던 정조에 의하여 기록되기 시작하여 그뒤 정부의 업무로서 계속되었다. 정조는 각종 기록을 집대성하는 데에 큰 노력을 기울여 국가의 의례에 이용된 문장, 과거의 답안, 신하들의 상소문 등을 종류별로 모아 책으로 엮게 하였고, 그 뒤로도 계속 수정하도록 명하였다. 『일성록』을 펴낸 목적은 그 형식이 일기인 만큼 날마다의 생활을 반성한다는 것이었다.
당시 펴낸 의도대로 임금이 국정을 파악하는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임금이 쉽게 열람할 수 있도록 모든 기록을 다시 분류하여 편집한 것이라서 임금의 취사선택이 있었고, 임금의 뜻에 거슬리는 내용은 제외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조선왕조실록』을 보충할 수 있는 귀한 자료로 실록과는 달리 더욱 자세한 상황을 기록하고 있어 조선 후기를 연구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전문설명 영조(英祖) 36년(1760) 1월부터 융희(隆熙) 4년 8월에 이르는 동안 조정(朝廷)과 내외(內外) 제관(諸官)에 관련된 광범한 일기(日記)이다. 조선왕조(朝鮮王朝) 후기의 기초 사료(史料)의 하나이다.
『일성록(日省錄)』의 작성은 정조(正祖)의 왕세손(王世孫) 시절 존현각일기(尊賢閣日記)에서 비롯되어 즉위(卽位) 후에도 『일성록(日省錄)』의 작성은 계속되었고, 즉위(卽位) 이전분(以前分)은 존현각일기(尊賢閣日記)에 근거하였다 한다. 이후 『일성록(日省錄)』 편찬(編纂)은 융희(隆熙) 4년(1910) 8월 일제강점(日帝强占) 직전까지 계속되었다.
『일성록(日省錄)』은 규장각(奎章閣) 존속 기간에는 주로 각신(閣臣)에 의해 편찬되었는데, 현재 150년간의 2,329책(冊)이 전존(傳存)하고 있다. 단, 대략 21개월분(個月分)의 결본(缺本)이 있다.
일성록 일성록 일성록 일성록 일성록 일성록 일성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