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보물 (제2064호) |
명 칭 | 백자 항아리 (白磁 大壺) |
분 류 |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수량/면적 | 1점 |
지 정 일 | 2020.04.23 |
소 재 지 | 부산광역시 남구 |
시 대 | 조선 후기(17세기 말∼18세기 초) |
소 유 자 | 부산박물관 |
관 리 자 | 부산박물관 |
일반설명 보물 제2064호 ‘백자 항아리(白磁 大壺)’는 조선 17세기 말~18세기 초에 제작되었으며, 높이가 52.6cm나 되는 대형(大形) 입호(立壺)이다. 구연부와 어깨에 미세하게 금이 간 것을 수리하였으나 거의 완전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보존상태도 양호하다. 형태는 약간 비대칭을 이루고 있으나, 자연스럽고 당당하며, 담청백색(淡淸白色)의 유약이 고르게 발라져 전체적으로 안정된 품격을 보여준다. 이 ‘백자 항아리’는 안정된 기형(器形)과 우수한 기법 등으로 보아 17세기 후반~18세기 초반의 관요(官窯)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관요백자의 제작기술이 완숙한 단계에 이르렀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자 지금까지 알려진 조선 후기 백자 항아리 중 크기와 기법 면에서 대표작으로 꼽을 수 있다. 부산박물관 소장 ‘백자 항아리’는 50cm 이상 크기의 대형(大形) 입호(立壺)로서의 희소성, 파손이나 수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완전성, 비례가 알맞은 조형성과 정제된 유약, 번조(燔造: 도자기 굽기) 기법의 우수한 수준 등을 근거로 조선시대 도자사(陶磁史)의 대표작으로 평가할 수 있으므로 보물로 지정해 연구하고 관리․보존할 만한 가치가 있다. |
'문화재 >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2066호) 장성 백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0) | 2022.09.29 |
---|---|
보물 (제2065호) 고창 선운사 만세루 (0) | 2022.09.29 |
종 목 보물 (제2063호) 육조대사법보단경 . (0) | 2022.09.25 |
보물 (제2062호) 최광지 홍패 (0) | 2022.09.25 |
보물 (제2061호) 관북여지도 (0) | 2022.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