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국가등록문화재

국가등록문화재 제720호 영주 근대역사문화거리

오늘의 쉼터 2018. 9. 6. 17:47



종     목

국가등록문화재 제720호

명     칭

영주 근대역사문화거리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기타 시설물

수량/면적

26,377㎡(153필지)

지 정 일

2018.08.06

소 재 지

경상북도 영주시

시     대

일제강점기

소 유 자사유
관 리 자

영주시


일반설명

 

「영주 근대역사문화거리」는 철도역사와 그 배후에 형성된 철도관사, 정미소, 이발관, 근대한옥, 교회 등 지역의 근대생활사 요소를 간직한 건축물이 집적되어 있는 관사골에서 광복로 일대의 거리로서, 영주의 근대생활사를 보여주는 역사문화공간으로서 보존과 활용 가치가 높은 곳으로 평가된다.




등록구역


///////////////////////////////////////////////////////////////////////////////////////////////////////////////////




종     목

국가등록문화재 제720-1호

명     칭

구 영주역 5호 관사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주거숙박시설 

수량/면적

1동/지상1층, 건축면적117.14㎡

지 정 일

2018.08.06

소 재 지

경상북도 영주시 두서길 57 (영주동)

시     대

일제강점기

소 유 자사유
관 리 자

강*** 


일반설명

 

일제강점기 당시 영주역 관사로 건립된 2호 연립주택으로 목조 일식관사주택의 전형을 보여주는 건축물 중 하나로 내부공간구성, 외관형태, 구조 및 재료의 보존상태도 양호하다. 1942년 중앙선이 개통되고 영주역이 중간역으로서 역할한 것이 영주시가 근대도시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철도집단관사로 조성된 ‘관사골’이 지니고 있는 도시생활사적 보존과 활용 가치가 있다.




구 영주역 5호 관사


///////////////////////////////////////////////////////////////////////////////////////////////////////////////////




종     목

국가등록문화재 제720-2

명     칭

구 영주역 7호 관사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주거숙박시설 

수량/면적

1동/지상1층, 건축면적120.26㎡

지 정 일

2018.08.06

소 재 지

경상북도 영주시 두서길 63 (영주동)

시     대

일제강점기

소 유 자영주시
관 리 자

영주시


일반설명

 

구 영주역 5호 관사와 함께 일제강점기 당시 영주역 관사로 건립된 2호 연립주택으로 목조 일식관사주택의 전형을 보여주는 건축물 중 하나로 내부공간구성, 외관형태, 구조 및 재료의 보존상태도 양호하다. 1942년 중앙선이 개통되고 영주역이 중간역으로서 역할한 것이 영주시가 근대도시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철도집단관사로 조성된 ‘관사골’이 지니고 있는 도시생활사적 보존과 활용 가치가 있다.




구 영주역 7호 관사


///////////////////////////////////////////////////////////////////////////////////////////////////////////////////




종     목

국가등록문화재 제720-3

명     칭

영주 영주동 근대한옥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주거숙박시설 

수량/면적
1동/지상1층, 건축면적108.33㎡
지 정 일

2018.08.06

소 재 지

경상북도 영주시 구성로422번길 9-24 (영주동)

시     대

일제강점기

소 유 자사유
관 리 자

김*** 


일반설명

 

구 영주역 5호 관사와 함께 일제강점기 당시 영주역 관사로 건립된 2호 연립주택으로 목조 일식관사주택의 전형을 보여주는 건축물 중 하나로 내부공간구성, 외관형태, 구조 및 재료의 보존상태도 양호하다. 1942년 중앙선이 개통되고 영주역이 중간역으로서 역할한 것이 영주시가 근대도시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철도집단관사로 조성된 ‘관사골’이 지니고 있는 도시생활사적 보존과 활용 가치가 있다.






영주 영주동 근대한옥 


///////////////////////////////////////////////////////////////////////////////////////////////////////////////////




종     목

국가등록문화재 제720-4

명     칭

영주 영광이발관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상업시설 

수량/면적 1동/지상1층, 건축면적59.1㎡
지 정 일

2018.08.06

소 재 지

경상북도 영주시 광복로 15 (영주동, 영광이발관)

시     대

일제강점기

소 유 자사유
관 리 자

이***


일반설명

 

1930년대부터 광복로 남쪽도로변에서 ‘국제이발관’이 영업을 시작하여 ‘시온이발관’에 이어 현재 ‘영광이발관(이종수)’에 이르는 80여년의 역사를 갖고 있으며, 1970년경 시온이발관을 인수하여 현재까지 영광이발관으로 영업을 하고 있는 생활역사의 흔적을 보여주는 곳이다. 1950년대 근대산업시기에 건축된 목조+슬레이트 구조의 건축물로서 건축의 완성도는 높다고 할 수 없지만 영주에서 80년동안 지속된 장인의 이용업 생활사를 보여주는 사례로 업계의 변화와 특성 기술을 간직한 근대유산으로서 생활사적 가치가 높다.




영주 영광이발관


///////////////////////////////////////////////////////////////////////////////////////////////////////////////////




종     목

국가등록문화재 제720-5

명     칭

영주 풍국정미소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산업시설 

수량/면적 1동/지상1층, 건축면적145.45㎡
지 정 일

2018.08.06

소 재 지

경상북도 영주시 광복로 23 (영주동)

시     대

일제강점기

소 유 자사유
관 리 자

우*** 


일반설명

 

근대산업시기부터 운영된 정미소로 양곡가공업의 생성과 양곡 유통에 관련한 역사, 정미소의 건축형식과 설비구조, 도정기기들 외에도 저울(막대저울, 판수동저울) 등 당시의 정미소와 관련된 기구가 현존하여 양곡가공과 곡물 유통의 산업사적 가치가 있는 곳이다. 양곡가공과 곡물유통을 주제로 산업문화관, 쌀카페, 도정 참관 및 판매장으로 활용가치가 높은 곳으로 평가된다.




영주 풍국정미소


 


///////////////////////////////////////////////////////////////////////////////////////////////////////////////////




종     목

국가등록문화재 제720-6

명     칭

영주 제일교회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종교시설 

수량/면적 1동/지상3층, 건축면적495.88㎡, 연면적1,051.26㎡
지 정 일

2018.08.06

소 재 지

경상북도 영주시 광복로 37 (영주동)

시     대

일제강점기

소 유 자장*** 
관 리 자

장*** 


일반설명

 

영주 제일교회는 1907년 정석주 집에서 기도 모임으로 시작되었고, 1909년 4월 구성공원 아래쪽 초가 3칸을 매입하여 경북노회에 가입하고 영주교회가 설립되었다. 1938년 신사참배 반대운동으로 목사와 장로‧전도사들이 구금 또는 옥고를 치렀고, 한국전쟁중에 소실되었다가 1954년 5월 1일 기공 후 신도들의 노역봉사로 1958년 7월 25일 준공된 역사를 지닌 영주지역에서는 유일한 서양의 고딕식 건축양식을 차용한 절충양식의 예배당 근대건축물이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근대산업시기를 거치면서 영주시의 근현대사에서 영주시민이자 신도들인 지역 주민들의 삶과 역사적 흔적들이 남아있어 전승 보전해야 할 문화유산으로 가치가 있다.





영주 제일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