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국가등록문화재 제720호 |
명 칭 | 영주 근대역사문화거리 |
분 류 | 등록문화재 / 기타 / 기타 시설물 |
수량/면적 | 26,377㎡(153필지) |
지 정 일 | 2018.08.06 |
소 재 지 | 경상북도 영주시 |
시 대 | 일제강점기 |
소 유 자 | 사유 |
관 리 자 | 영주시 |
일반설명
「영주 근대역사문화거리」는 철도역사와 그 배후에 형성된 철도관사, 정미소, 이발관, 근대한옥, 교회 등 지역의 근대생활사 요소를 간직한 건축물이 집적되어 있는 관사골에서 광복로 일대의 거리로서, 영주의 근대생활사를 보여주는 역사문화공간으로서 보존과 활용 가치가 높은 곳으로 평가된다. 등록구역 |
///////////////////////////////////////////////////////////////////////////////////////////////////////////////////
종 목 | 국가등록문화재 제720-1호 |
명 칭 | 구 영주역 5호 관사 |
분 류 | 등록문화재 / 기타 / 주거숙박시설 |
수량/면적 | 1동/지상1층, 건축면적117.14㎡ |
지 정 일 | 2018.08.06 |
소 재 지 | 경상북도 영주시 두서길 57 (영주동) |
시 대 | 일제강점기 |
소 유 자 | 사유 |
관 리 자 | 강*** |
일반설명
일제강점기 당시 영주역 관사로 건립된 2호 연립주택으로 목조 일식관사주택의 전형을 보여주는 건축물 중 하나로 내부공간구성, 외관형태, 구조 및 재료의 보존상태도 양호하다. 1942년 중앙선이 개통되고 영주역이 중간역으로서 역할한 것이 영주시가 근대도시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철도집단관사로 조성된 ‘관사골’이 지니고 있는 도시생활사적 보존과 활용 가치가 있다. 구 영주역 5호 관사 |
///////////////////////////////////////////////////////////////////////////////////////////////////////////////////
종 목 | 국가등록문화재 제720-2호 | ||||||
명 칭 | 구 영주역 7호 관사 | ||||||
분 류 | 등록문화재 / 기타 / 주거숙박시설 | ||||||
수량/면적 | 1동/지상1층, 건축면적120.26㎡ | ||||||
지 정 일 | 2018.08.06 | ||||||
소 재 지 | 경상북도 영주시 두서길 63 (영주동) | ||||||
시 대 | 일제강점기 | ||||||
소 유 자 | 영주시 | ||||||
관 리 자 | 영주시 | ||||||
일반설명
구 영주역 5호 관사와 함께 일제강점기 당시 영주역 관사로 건립된 2호 연립주택으로 목조 일식관사주택의 전형을 보여주는 건축물 중 하나로 내부공간구성, 외관형태, 구조 및 재료의 보존상태도 양호하다. 1942년 중앙선이 개통되고 영주역이 중간역으로서 역할한 것이 영주시가 근대도시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철도집단관사로 조성된 ‘관사골’이 지니고 있는 도시생활사적 보존과 활용 가치가 있다. 구 영주역 7호 관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