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경기무형문화재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64호 경기도당굿시나위춤

오늘의 쉼터 2018. 8. 4. 16:36




종 목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64호

명 칭

경기도당굿시나위춤

분 류

무형문화재/전통 공연·예술/춤/

수량/면적단체
지정(등록)일

2018.06.01

소 재 지

경기 고양시

시 대대한민국
소유자(소유단체)

(사)매헌춤보존회

관리자(관리단체)

(사)매헌춤보존회

상 세 문 의

경기도 고양시 문화예술팀 031-8075-3388~90

설명

 

경기도 남부에 해당하는 부천, 시흥, 안산, 오산, 화성, 수원, 경기 광주, 안성 등의 마을굿을 경기도당굿이라 한다. 이 마을굿에는 집안 대대로 무업을 세습하는 세습무들에 의해서 굿을 진행하는데 이들 세습무의 남자들을 화랭이 또는 산이라 부르고, 여자들을 미지라 부른다. 경기 남부 화랭이패 또는 산이들이 중심이 되는 경기도당굿의 춤은 넓은 의미로는 경기도당굿 굿판에서 추어지던 춤을 의미하기도 하고, 좁은 의미로는 굿판을 떠나 공연 예술화된 경기도당굿시나위춤을 말하기도 한다. 또한 이 춤의 반주음악이 경기도당굿 무악인 섭채, 반설음장단, 오니굿거리, 진쇠장단, 올림채, 겹마치, 가래조, 발뻐드레, 부정놀이장단 등 전문가도 이해하기 힘들 정도로 난해하고 복잡 다양한 음악적 구조를 가진, 이른바 경기시나위이기에 ‘경기도당굿시나위춤’이라는 명명을 하고 있는 것이다. 경기도의 무속적 전통을 배경으로 무대 양식화한 경기도당굿시나위춤으로는 「부정놀이춤」, 「터벌림춤」, 「진쇠춤」, 「깨끔춤」, 「올림채춤」, 「제석춤」, 「도살풀이춤」 등이 있으며, 그 중심에 고)매헌 김숙자선생이 있다.
매헌 김숙자(梅軒 金淑子: 1926-1991)는 화성 재인청 출신인 부친 김덕순에게 무속에 담겨있는 가무악을, 모친 정귀성에게 무속전반을 배웠다. 세습무가 출신인 김숙자의 경기도당굿시나위춤에 특징적 요소는 경기도 지방에 전승되어 온 경기도당굿에서 화랭이와 무녀가 추던 의식무 성격의 춤을 발전시켜 전통무용으로 재창조한 것이다. 따라서 김숙자의 춤들은 원래 경기 도당굿 굿판에서 추던 무속춤이었지만 재창조와 전승과정에서 무대화되고 예능화된 대표적인 무속 계열의 춤이다.
매헌 김숙자(梅軒 金淑子: 1926-1991)의 부친 김덕순과 모친 정귀성으로부터 김숙자에게 전승되어진 경기도당굿시나위춤과 경기류 민속춤은 현재 그의 제자 이정희를 통해 명맥이 유지되고 있으며 이정희의 제자 한수문 등으로 전승되고 있다. 




경기도당굿시나위춤

경기도당굿시나위춤

경기도당굿시나위춤

경기도당굿시나위춤

경기도당굿시나위춤

경기도당굿시나위춤

경기도당굿시나위춤

경기도당굿시나위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