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01호 |
---|---|
명 칭 | 백자양각 재명 매죽문 선형필세필가 (白磁陽刻在銘梅竹文扇形筆洗筆架) |
분 류 | 유물 / |
수량/면적 | 1점 |
지 정 일 | 2017.04.13 |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대현동,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
시 대 | 조선시대 |
소 유 자 | 이화여자대학교 |
관 리 자 |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
설명 백자양각(白磁陽刻) 재명 매죽문(在銘梅竹文) 선형 필세 필가(扇形筆洗筆架)는 상기 유물은 19세기 분원리 관요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백자 선형 필세(筆洗) 겸 필가(筆架)로 표면에 매죽문과 시문이 양각되어 있으며 굽 바닥면에는 제작자와 시기를 알려주는 음각명이 있다. 미세한 철분이 소량 포함되어 있으나 대체로 밝은 회청색을 띠는 치밀질의 백토를 사용하였으며 표면에는 분원리 시기 특유의 담청색 반투명유약을 입혔는데 유면에는 빙열이 없고 광택이 은은 하다. 유약은 전면에 고르게 시유하였으며 편평한 굽바닥면은 유 약을 닦아내고 고운 모래를 받쳐 구운 것으로 추정된다. 부채모양의 평면에 얇은 흙판을 붙여 입체적으로 성형하였는데 몸체의 반은 물이 고이는 필세로, 반은 세 개의 붓을 꽂을 수 있는 구멍을 내 필가로 구성하였다. 필가와 필세의 경계부 기벽에는 작은 물구멍이 있으며 그 위로 이룡(驪龍)의 상형물을 부착(貼花)하여 막 승천하려는 모습을 형상화하였다. 부채꼴의 바깥쪽 곡면에는 매화나무와 대나무를 양각하였는데 문양은 백토이장(白土泥裝)을 얹어 부조풍으로 표현하고 윤곽은 가늘게 음각하여 돋보이게 하였다. 윗면과 부채꼴 안쪽면에도 역시 백토이장을 사용하여 당나라 시인 한유(韓愈, 768~824)의 싯구인 “함영저화(含英咀花)”와 당나라 시인 유우석(劉禹錫, 772~842)의 싯구인 “수부재심유룡칙령(水不在深有龍則靈)”을 각각 전서체로 양각하였다. 편평한 굽 바닥면에는 제작과정에 새긴 “을미육월상원우중 석봉작 우석서 고사화(乙未六月上沅雨中 石峯作 又石書 高士畵)”라는 전서체 음각명이 남아있어 을미년(1835년 혹은 1895년) 6월에 석봉(石峯)이 만들었으며 우석(又石)이 글을 쓰고 고사(高士)가 그림을 그렸다는 사실을 전해준다. 제작당시에 이룡(驪龍)의 형상이 부착된 기벽면이 일부 갈라졌으나 이후 보존상태는 매우 양호한 편이다. 굽 바닥면을 깨끗이 갈아냈으며 바닥면 한쪽 모서리가 미세하게(5mm가량) 결손 되었다. 필세 내벽면에 먹물 등 오염이 약간 남아 있다. 이 백자 선형 필세 겸 필가는 조선후기 선비사회에 유행한 문방청완 취미의 일면을 잘 보여주는 유물로 19세기 광주 분원리 관요에서 제작된 고급품으로 평가된다. 비록 유태의 품질이 최상급이라 보기 어려우나 만듬새가 정교하고 조형적으로도 창의성이 돋보이는 유물로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부채를 모티브로 한 백자 문방구는 연적 등이 다소 전해지고 있으나, 이처럼 필세와 필가를 함께 구성한 예는 거의 없다. 다만, 이 유물과 동일한 형식으로 함께 제작된 또 다른 한 점이 해강도자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데, 여기에도 “을미년 6월에 우석(又石)이 만들었다”는 동일한 내용의 명문이 있어 이들의 제작시기와 제작자는 물론 서로의 관계를 통해 제작배경을 유추할 수 있는 귀한 자료이다. 백자양각 재명 매죽문 선형필세필가 백자양각 재명 매죽문 선형필세필가 백자양각 재명 매죽문 선형필세필가 |
'문화재 > 서울유형문화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03호 성제묘 무신도 (聖帝廟巫神圖) (0) | 2017.04.30 |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02호 백자청화 칠보화훼문 사각병 (0) | 2017.04.30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00호 대반야바라밀다경 권534 (0) | 2017.04.30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99호 마하연 제석천룡도 (0) | 2017.02.14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98호 대혜보각선사서 (0) | 2016.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