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서울유형문화재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82.호 의령남씨가 전 화첩

오늘의 쉼터 2016. 4. 18. 21:27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82

명 칭

의령남씨가전화첩 (宜寧南氏家傳畵帖)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기록화/ 계회도

수량/면적

1건 5점

지정(등록)일

2016.04.07

소 재 지

서울특별시 마포구 와우산로 94 (상수동, 홍익대학교) 홍익대 박물관

시 대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홍익대학교

관리자(관리단체)

홍익대학교

상 세 문 의

서울특별시 마포구 문화관광과 02-3153-8357


일반설명

 

태조 년간(1392~1398)부터 중종 년간(1506~1544), 명종 년간(1545~1567), 선조 년간(1567~1608), 영조 년간(1724~1776)에 있었던 특정 사건이나 행사에 의령남씨 출신이 관련되면서, 이를 기념하는 그림과 관련 기록을 묶어, 태조망우령가행도(太祖忘憂嶺駕幸圖), 중묘조서연관사연도(中廟朝書筵官賜宴圖), 명묘조서총대시예도(明廟朝瑞葱臺試藝圖), 선묘조제재경수연도(宣廟朝諸宰慶壽宴圖), 영묘조구궐진작도(英廟朝舊闕進爵圖) 등 5개의 개별 화첩으로 꾸민 것이다.

의령남씨인 남재, 남세건, 남응운, 남이신, 남태회 등이 각각 참여했던 행사의 시기와, 현존하는 <태조망우령가행도>를 비롯해 <중묘조서연관사연도>, <명묘조서총대시예도>, <선묘조제재경수연도>, <영묘조구궐진작도>의 제작시기는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하지만 의령남씨 가문의 인물이 조선 왕실과 관련한 특정 행사에 직접 참여했던 사실이 관련 기록과 행사 장면을 묘사한 화책으로, 일괄로 현전하고 있다는 점과 현존하는 유사한 사례의 작품들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회화사적으로나 역사적으로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의령남씨가 전 화첩

의령남씨가 전 화첩

의령남씨가 전 화첩

의령남씨가 전 화첩

의령남씨가 전 화첩

의령남씨가 전 화첩

의령남씨가 전 화첩

의령남씨가 전 화첩




////////////////////////////////////////////////////////////////////////////////////////////////////////////////////////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82-1

명 칭

태조망우령가행도 (太祖忘憂嶺駕幸圖)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풍속화/ 풍속화

수량/면적

1폭

지정(등록)일

2016.04.07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시 대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국립문화재연구소 

관리자(관리단체)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

상 세 문 의

서울특별시 


일반설명

 

<태조 망우령 가행도(忘憂嶺駕幸圖)>는 조선을 건국한 영웅 이성계(李成桂, 1335-1408)의 행렬을 그린 거의 유일한 역사화다. 이 그림은 의령남씨(宜寧南氏) 가문에서 제작한 화첩 『경이물훼(敬而勿毁)』에 포함된 그림으로 지금 국립문화재연구소에 소장되어 있다. 국가에도 없는 건국시조의 역사화가 한 가문의 화첩에 전해 내려오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이성계가 죽으면 자신이 누을 수릉지(壽陵地)가 바로 의령 남씨인 남재(南在, 1351-1419)의 묘자리였다. 일찍이 남재가 선택해 두었던 그 터는 강만국세(崗巒局勢)의 훌륭한 길지(吉地)였는데 이성계가 그 땅을 자신의 자리로 정해버린 것이다. 미안했던지 이성계는 무학대사를 시켜 남재의 묘자리를 알아보도록 베풀기도 했다. 그러니까 의령남씨 가문은 왕실과 특별한 인연이 있었음을 드러내고자 바로 이 <태조 망우령 가행도>를 제작했다. 화폭의 왼쪽에는 이성계가 봉긋하게 솟아오른 검암산(儉岩山) 자락 바로 아래 건원릉 터에 앉아 주위를 살펴보는 장면과 더불어 망우리 고개를 넘어 귀경하는 행렬을 그렸고, 화폭 오른쪽에는 구릉산에서 아차산으로 이어지는 지금의 망우리공원 묘역 일대를 그려두었다. 화폭 상단 멀리로는 불암산이며 수락산이 아득하여 아름답다.   전해오는 이야기로는 이성계가 이렇게 자신의 수릉지를 정하고서 한양으로 귀경하는 길목의 고개를 넘을 적에 “이제야 모든 근심을 잊겠노라.” 하였으므로 걱정을 잊어버리는 고개란 뜻의 망우령(忘憂嶺)이란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오늘날 망우리고개란 이름이며 그 옆 망우리공원 묘역이란 명칭은 모두 그로부터 유래하는 것이다. 


그런데 그 모든 이야기는 뒷날 지어낸 이야기라고 한다. 그 기원을 찾아가 보면 1600년 11월 9일 영의정 이항복(李恒福, 1556-1618)이 건원릉(健元陵)을 답사하고 돌아와 아뢰는 말로부터였다. 이 자리에서 이항복은 태조가 1394년 무학대사를 데리고 몸소 이곳에서 능침(陵寢)을 발견해 수릉지로 정했다고 아뢰었다. 하지만 당시 태조 이성계는 사랑하던 신덕왕후 강씨가 먼저 세상을 떠남에 지금 중구 정동을 택지하였고 또 자신의 수릉지로도 정하였을 뿐, 지금의 건원릉을 몸소 능침으로 정했다는 기록은 따로 없다. 사실은 상왕으로 물러난 태조 이성계가 1408년 5월 창덕궁 별전에서 승하하자 당시 왕위에 있던 태종이 영의정 하륜(河崙, 1347-1416)으로 하여금 태조의 능침을 보러 다니라고 하였다. 경기도 일대를 탐사하던 중 결국 6월에 지금의 건원릉을 발견하였고 태종이 바로 그곳으로 결정했다. 아마도 그곳이 남재의 묘자리였을 것이다. 이상의 이야기를 재구성해 보면 저 동구릉의 건원릉을 택지한 건 태조가 아니라 태종이었고 따라서 망우리고개란 이름도 태조의 탄식이 아니라 태종의 탄식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어쩌랴, 저 망우리고개 넘어 동구릉에 누워있는 이는 태종이 아니라 태조인 것을. 


태조가 근심을 잊어버린 고개의 길목 저쪽에 동구릉이 터를 잡았고, 이쪽에 망우리공원 공동묘지가 자리하고 있다. 망우리공원은 1933년에 개설하여 1973년에 29,000기의 묘소가 들어섬으로서 더 이상 들어설 자리가 없어졌다. 이제는 묘지라기보다는 공원처럼 바뀌었고 특히 유명한 인물들이 잠들어 있어서 그 답사를 안내하는 『그와 나 사이를 걷다』라는 제목의 책이 나왔을 정도다. 그 가운데 눈길을 끄는 인물은 이인성과 이중섭이다. 전쟁의 와중에 어이없이 죽어간 이인성과 전후 난민의 세월을 살다가 참혹하게 스러져간 이중섭 두 천재 화가가 거기 잠들어 있기 때문이다. 지금으로부터 700년 전의 뛰어난 문인이자 화가였던 이제현(李齊賢, 1287-1367)이 중국의 벗으로부터 그림 한 장을 받고서 인생의 뜻을 되새기며 지어둔 시 한 편이 있다. 요절한 이인성과 이중섭이 다시 살아 돌아 올리야 없으므로 이번 가을엔 묘소에 들러 700년 전 선배 화가가 부른 그 노래 들려주고 와야겠다.









태조망우령가행도








///////////////////////////////////////////////////////////////////////////////////////////////////////////////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82-2

명 칭

중묘조서연관사연도 (中廟朝書筵官賜宴圖)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풍속화/ 풍속화

수량/면적

1폭

지정(등록)일

2016.04.07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시 대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高麗大學校

관리자(관리단체)

高麗大學校博物館

상 세 문 의

서울특별시 


일반설명

 

 <중묘조서연관사도>는 1535년(中宗30) 경복궁에서 당시 왕세자이던 인종(仁宗1544~1545)이 자신을 가르치던 서연관 들에게 내린 法宴의모습을 그린 것입니다. 그림 뒤에붙어 있는 座目에는 이 연회에 참여한 서연관 39명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장소는 경복궁 근정전의殿庭이며 御道 왼편에 차일을 설치하여 宴席을 마련하였는데 왕 혹은 왕세자의 참석없이 賜宴의 형식으로 베풀어 졌습니다. 宣이 차일 옆에 준비되고 司甕院 관원이 그 주위에서酒卓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술이 돌아가고 악공의 연주에맞추어 女妓가 춤을 추는 등 분위기가 한창 무르익었는데 이미 몇몇 사람은 취하여 몸을 가누지 못한 채 시종의 부축을 받으며 연석을 빠져나가고 있습니다. 





중묘조서연관사연도


//////////////////////////////////////////////////////////////////////////////////////////////////////////////////////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82-3

명 칭

명묘조서총대시예도 (明廟朝瑞葱臺試藝圖)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풍속화/ 풍속화

수량/면적

1폭

지정(등록)일

2016.04.07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시 대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

관리자(관리단체)

高麗大學校博物館

상 세 문 의

서울특별시 


일반설명

 

 〈명묘조서총대시예도〉는 명종(明宗1546~1567)이 서총대에 친림하여 文武試藝를 시행한 어느 날 남응운(南應雲1509~1587)이 製述과 활쏘기에 모두 으뜸으로 뽑혀 말 두 필을 상으로 하사받은 고사를 그린 것입니다. 유몽인(柳夢寅1559~1623)의 「어유야담於于野譚」에서 인용한 고사가 그림 뒤에 부수되어 있습니다. 화면에는 시예가 모두 끝나고 남응운이 말 두필을 받고 있는 장면이 그려져있습니다.





명묘조서총대시예도


//////////////////////////////////////////////////////////////////////////////////////////////////////////////////////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82-4

명 칭

선묘조제재경수연도 (宣廟朝諸宰慶壽宴圖)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풍속화/ 풍속화

수량/면적

5폭

지정(등록)일

2016.04.07

소 재 지

?

시 대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

관리자(관리단체)

高麗大學校博物館

상 세 문 의

서울특별시 


일반설명

 

 <선묘조제재경수연도>는 1605년(선조38년)4월 삼청동 公廨에서 宰臣들이 노모를 위해 개최한 경수연의모습을 다섯 장면에 나누어 그린 것입니다. 그림 뒤에는 慶壽宴節目 . 이 날의 주인공들인 10명의 大夫人 座次, 次夫人座次 . 13명의 契員 . 8명의 入侍子弟 및 19명의 執事子弟 . 1605년 4월9일자의 예조계사(禮曺啓辭) . 이경석(李景奭1595~1671)이 쓴 백세채대부인경수연도서(百歲蔡大夫人慶壽宴圖序) . 허목(許穆1595~1682)이 1655년(孝宗6년)5월에 쓴 경수연도서가 차례로 수록되어 있습니다. 1603년(宣祖36년)9월에 예조참의 이거(李遽1532~1608)가 모친이 100세된 것을 축하하는 경수연을 열었던 것이 계기가 되어 1605년 70세 이상된 노모를 모시고 있는 13명의 宰臣들이 奉老契를 결성하였는데, 이 그림은 이 계원들이 주축이 되어 자신들의 노모를 위해 개최한 경수연의 광경을 그린 것입니다. 행사의 전모는 행사장 밖 대문 주변의 정경 묘사로 시작으로 음식을 만드는 造饌所의 모습을 담고 계원들의 회동 . 집사 자제들의 대부인에 대한 헌수 . 대부인과 차부인들을위한 연희 등의 세 장면으로 나누어 경수연 광경을 묘사하였습니다. 




선묘조제재경수연도

선묘조제재경수연도

선묘조제재경수연도

선묘조제재경수연도

의령남씨전가경완도 內 <선묘조제재경수연도>


//////////////////////////////////////////////////////////////////////////////////////////////////////////////////////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82-5

명 칭

영묘조구궐진작도 (英廟朝舊闕進爵圖)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풍속화/ 풍속화

수량/면적

1폭

지정(등록)일

2016.04.07

소 재 지

?

시 대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

관리자(관리단체)

?

상 세 문 의

서울특별시 

일반설명


선왕의 사적을 매개로 행해지면서 계술(繼述) 이념으로 표방되었는데, 이는 선왕의 추모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국왕의 정치적 주도권을 명분적으로 확보하는 의미도 있다. 이 때문에 근정전 구기의 과거 설행은 철저하게 국왕의 뜻에 따라 이루어졌다.

근정전 구기에서는 과거 외에 진작례(進爵禮)와 망배례(望拜禮)도 행해졌다. 1767년(영조 43)에는 태종이 태조에게 상수(上壽)한 고사에 따라 근정전 구기에서 진작례를 베풀었다. 행사의 의미가 “국초에 성사(盛事)를 추술하는 것”으로 설명되는데서 드러나듯이 이 또한 과거 설행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이와 관련하여 홍익대학교에서 소장하고 있는 ≪의령남씨가전화첩(宜寧南氏家傳畵帖)≫에 있는 <영묘조구궐진작도(英廟朝舊闕進爵圖)>는 태종이 태조에게 장수를 기원하며 술잔을 올렸다는 고사에 따라 진작례를 행한 내용을 담고 있다.



영묘조구궐진작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