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68호 |
---|---|
명 칭 |
영월 만봉불화박물관 소장 시왕도 초본과 사자도 초본 (寧越 萬奉佛畵博物館 所藏 十王圖 草本과 使者圖 草本) |
분 류 | 유물 / 불교회화/ / |
수량/면적 | 10점(시왕도 9점, 사자도 1점) |
지정(등록)일 | 2013.01.11 |
소 재 지 | 강원 영월군 김삿갓면 망경대산길 135-3 만봉불화박물관 |
시 대 | 조선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재)신원불교재단 이사장 |
관리자(관리단체) | 만봉불화박물관장 |
상 세 문 의 | 강원도 영월군 문화관광과 033-370-2100 |
일반설명 불화를 그릴 때 밑그림으로 제작한 초본이다. 사람이 죽은 후 지옥에서 망자를 심판하는 시왕과 지옥사자를 그린 것이다. 시왕도 중 제9 도시대왕과 사자도 2점 중 1점이 결락되어, 시왕도 9점 사자도 1점(총10)이 있다. 시왕도는 각 폭이 세로 146~150cm, 가로 104~106cm에 달하며, 초의 오른쪽(향좌)에는 각 대왕의 이름과 주재지옥을 적었으며, 왼쪽(향우)에는 광서5년(1879)에서 광서6년(1880)에 이르는 연호와 習者의 이름을 적었다. 사자도는 2폭으로 이루어진 四直使者圖 중 한 폭으로 광서7년(1881)의 연호가 적혀있다. 시왕도는 각 폭의 향우측 여백에 “習者 明眼 東雲” 또는 “習者 東雲”이라는 묵서가 있는 것으로 보아 習繪用으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東雲이라고 적은 부분은 다른 종이에다 적은 후에 잘라서 붙였는데, 그 아래에 機炯이라는 이름이 적혀져 있는 것을 볼 때, 명안과 기형이 그린 습작을 후에 동운이 다시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초를 사용한 東雲은 20세기 전반에 활동한 東雲 奎鉉으로 추정되며, 동운은 1906년에 수화승 大雲 奉河와 경기도 여주 신륵사 지장도 및 시왕도, 수화승 虛谷 亘巡과 신중도를 제작하였으며, 1930년에 수화승 禮芸 尙奎와 경남 밀양 표충사 삼세불도를 조성하였다. 이 그림은 시왕도를 그리기 위해 밑그림으로 제작한 초본으로 세밀한 필치와 능숙한 묘법이 돋보이고, 전국적으로 남겨진 수가 많지 않아 희소성이 클 뿐만 아니라 제작연대와 제작자가 명확하여 불교미술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진광대왕
초광대왕
송제대왕
오관대왕
염라대왕
변성대왕
태산대왕
평등대왕
오도전륜대왕
사직사자도 |
'문화재 > 강원 유형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70호 삼척 영은사 석가삼존도와 복장유물 (0) | 2014.09.01 |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69호 삼척 지장암 목조지장보살좌상과 복장유물 (0) | 2014.09.01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67호 강릉 보현사 석조아미타삼존불상과 복장유물 (0) | 2014.09.01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66호 속초 신흥사 명부전 (0) | 2014.09.01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65호 속초 신흥사 안양암 아미타회상도 (0) | 2014.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