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강원 유형문화재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68호 영월 만봉불화박물관 소장 시왕도 초본과 사자도 초본

오늘의 쉼터 2014. 9. 1. 21:19

 

종 목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68호
명 칭

영월 만봉불화박물관 소장 시왕도 초본과 사자도 초본

(寧越 萬奉佛畵博物館 所藏 十王圖 草本과 使者圖 草本)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수량/면적 10점(시왕도 9점, 사자도 1점)
지정(등록)일 2013.01.11
소 재 지 강원 영월군  김삿갓면 망경대산길 135-3 만봉불화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재)신원불교재단 이사장
관리자(관리단체) 만봉불화박물관장
상 세 문 의 강원도 영월군 문화관광과 033-370-2100

 

일반설명

 

불화를 그릴 때 밑그림으로 제작한 초본이다. 사람이 죽은 후 지옥에서 망자를 심판하는 시왕과 지옥사자를 그린 것이다.

시왕도 중 제9 도시대왕과 사자도 2점 중 1점이 결락되어, 시왕도 9점 사자도 1점(총10)이 있다.

시왕도는 각 폭이 세로 146~150cm, 가로 104~106cm에 달하며, 초의 오른쪽(향좌)에는 각 대왕의 이름과 주재지옥을 적었으며, 왼쪽(향우)에는 광서5년(1879)에서 광서6년(1880)에 이르는 연호와 習者의 이름을 적었다.

사자도는 2폭으로 이루어진 四直使者圖 중 한 폭으로 광서7년(1881)의 연호가 적혀있다.

시왕도는 각 폭의 향우측 여백에 “習者 明眼 東雲” 또는 “習者 東雲”이라는 묵서가 있는 것으로 보아 習繪用으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東雲이라고 적은 부분은 다른 종이에다 적은 후에 잘라서 붙였는데, 그 아래에 機炯이라는 이름이 적혀져 있는 것을 볼 때, 명안과 기형이 그린 습작을 후에 동운이 다시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초를 사용한 東雲은 20세기 전반에 활동한 東雲 奎鉉으로 추정되며, 동운은 1906년에 수화승 大雲 奉河와 경기도 여주 신륵사 지장도 및 시왕도, 수화승 虛谷 亘巡과 신중도를 제작하였으며, 1930년에 수화승 禮芸 尙奎와 경남 밀양 표충사 삼세불도를 조성하였다.

이 그림은 시왕도를 그리기 위해 밑그림으로 제작한 초본으로 세밀한 필치와 능숙한 묘법이 돋보이고, 전국적으로 남겨진 수가 많지 않아 희소성이 클 뿐만 아니라 제작연대와 제작자가 명확하여 불교미술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진광대왕

 

 초광대왕

 

 송제대왕

 

 오관대왕

 

 염라대왕

 

 변성대왕

 

 태산대왕

 

 평등대왕

 

 오도전륜대왕

 

 사직사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