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가도(冊架圖), 문방도(文房圖)라고도 한다. 높게 쌓아놓은 책더미와 서재의 여러 가지 일상용품을 적절히 배치한 정물화풍의 그림으로, 전통 장식화 및 민화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림의 기원은 분명하지 않으나 18세기 후반에 이미 널리 유행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서가 모양의 격자 구획 안에 책갑으로 묶인 책과 향로·필통·붓·먹·연적·도장 등의 문방구를 비롯하여 선비의 격조에 맞는 도자기·청동기·화병·화분·부채 등이 주요 소재이다. 또한 선비의 여가생활과 관련된 술병·술잔·담뱃대·담배함·악기·도검·바둑판·골패·시계·안경 등도 등장한다. 그후 시대가 지날수록 소재가 다양해졌고 다른 민화들처럼 길상구복의 상징물도 등장하였다.
표현형식은 초기에는 서가로 구획된 화면에 소재들이 좌우대칭을 이루며 정확히 균형을 이루다가 점차 정물화처럼 자유로운 배치 구도를 취하였다. 화법은 보는 이가 그림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그림이 보는 이를 바라보는 듯한 역원근법(逆遠近法)으로 그렸는데, 이는 서양의 현대 미학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화법이다. 배경에는 대체로 아무것도 그리지 않았다.
주로 선비가 아들의 방을 장식하기 위해 주문하였고 서재에 비치되기도 하였다. 면학에 정진하고 글공부를 적극 권장했던 당시의 생활을 엿볼 수 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이형록(李亨祿)의 《책가문방도 팔곡병(冊架文房圖八曲屛)》 등이 있다
이형록(李亨祿)의 《책가문방도 팔곡병(冊架文房圖八曲屛)》
선비들의 서재를 장식하는 그림이 <책거리> 그림이다.<책거리> 그림은 조선 말기 경제 상황의 변화 에 따른 부민층의 성장으로 선비 생활의 일면을 그림으로 그려 집안에 장식함으로써 스스로 만족감을 얻기위한 수단으로 많이 그려졌다.
이〈책거리〉그림에는 서가에 책만 있는 것이 아니라 꽃이나 과일, 거문고, 필기구, 도장등 일상 생활에서 쓰이는 온갖 물건들이 같이 그려져 있다. 이들은 특별한 의미는 없고 단지 장식으로 여러 물건들이 적절히 조화를 이루면서 배치되어 있다.
민화는 그려진 연대나 제작자가 밝혀진 것이 많지 않다. 아직 체계적인 조사가 이루어진 것은 아니나 수집된 지역에 따라 특색이 있고, 어느 경우는 그림 속에 나타난 도장을 자세히 보면 제작자의 이름이 새겨져 있는 경우도 있다.
민화는 전문 화가가 아닌 무명 화가가 그린 것이기 때문에 치졸한 경우도 있지만, 대담한 구성이나 화려한 색상 등 일반 회화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멋이 깃든 것도 있다.
이〈책거리〉그림도 정교한 탁자 위에 쌓듯이 놓인 책들과 골동품, 문방구, 거문고, 꽃들이 어울린 화려한 그림으로, 이들은 어떤 연관을 지니기보다는 각각이 제 모습을 지니면서 장식적인 효과가 매우 크다.
또한 책거리 그림에는 특히 서양화에서 사용되는 원근법과 명암법이 사용되는 등 당시 화단의 여러 경향이 반영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