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고미술

퇴촌 김식(退村 金埴)

오늘의 쉼터 2011. 1. 20. 17:52

 

 

퇴촌 김식(退村 金埴) ;조선 중기

 

조선 중기의 선비화가. 본관은 연안(延安). 초명은 윤(允). 자는 중후(仲厚). 또는 치온(致溫). 호는 퇴촌(退村). 청포(淸浦). 죽창(竹窓) 혹은 죽서(竹西). 시(示+是)의 손자이며, 아버지 봉선(奉先)은 원래 안로(安老)의 삼남인 휘(徽)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작은아버지인 시의 후사가 없어 양자로 출계했기 때문에 그의 양손자가 되었다. 1606년에 진사가 되었고, 1635년에 원종어진 제작에 참여했으며 숭은전(崇恩殿) 묘례(廟禮) 때 일자(一資)가 가해졌다.

벼슬은 찰방을 지냈으며 후년에는 선산(善山)에서 살았다.

그는 산수도 잘 그렸으나, 그를 유명하게 해준 것은 독특한 소 그림이다.

조선 중기의 가장 유명한 소 그림 전문화가였기 때문에 웬만한 소 그림은 모두 그의 작품으로 불리어왔다. 그의 소 그림들은 할아버지 시의 절파화풍(浙波畵風)과 영모화풍(令+羽毛畵風)을 토대로 간일한 산수를 배경으로 묘사되는 게 상례인데, 음영(陰影)으로 표현된 소의 퉁퉁한 몸이나 X자형의 주둥이, 달무리진 듯 선량한 눈매, 그리고 무엇보다도 평화롭고 따뜻한 그림의 분위기 등을 특징으로 하고있다.

이러한 그의 소 그림들은 전형적인 한국적 특색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이나 일본의 소 그림들과는 현저하게 다른 특색을 지니고 있다.

대표작으로 <고목우도 枯木牛圖>와 <영모도> 등이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우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우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모자우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고목우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마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화조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제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도요새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해오라기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단풍서조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추금탐주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동경산수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산수인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