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경남문화재자료

문화재자료 제320호 (합천군) 합천구평윤씨신도비(陜川龜坪尹氏神道碑)

오늘의 쉼터 2011. 1. 2. 11:16

 

종 목 문화재자료  제320호 (합천군)
명 칭 합천구평윤씨신도비(陜川龜坪尹氏神道碑)
분 류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면적 2기(15.30㎡)
지정(등록)일 2002.08.14
소 재 지 경남 합천군  가회면 함방리 257,278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파평윤씨소정공파삼찬공문중
관리자(관리단체) 윤한덕
상 세 문 의 경상남도 합천군 문화공보과 055-930-3175

 

일반설명

 

이 비석은 구산(龜山) 윤탁(尹鐸, 1554∼1593)과 추담(秋潭) 윤선(尹銑, 1559∼1640)의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2기의 신도비이다.

구산 윤탁은 조선 선조 25년(1592)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키고, 1593년에는 진주성에 들어가 왜적을 막다가 순절하였다. 추담 윤선은 임진왜란 기간 동안 세자(世子)의 막하에서 활동하였고, 광해군 때 의정부 우참찬을 지냈다.

이 2기의 비석은 모두 신축년(1901년)에 세워졌는데, 내용만 다를 뿐 재질과 모양 및 크기가 서로 같다. 귀부(龜趺)와 이수(이首)는 진양석(晉陽石)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비신(碑身)은 사암(沙岩)으로 이루어져 있다. 비신의 가로·세로·두께는 각각 87㎝·236㎝·27㎝이다. 바라보는 쪽에서 오른편에 있는 비석이 구산 윤탁의 신도비이고, 왼편에 있는 비석이 추담 윤선의 신도비이다.

구산 윤탁의 신도비는 향산(響山) 이만도(李晩燾, 1842∼1910)가 지었고, 추담 윤선의 신도비는 성재(性齋) 허전(許傳, 1797∼1886)이 지었으며, 글씨는 2기 모두 이곡(梨谷) 하인수(河仁壽, 1830∼1904)가 썼다.

이 2기의 신도비는 그 크기나 주인공 및 찬자(撰者)와 서자(書者)의 명성으로 보더라도 충분히 문화재적 가치가 있다. 특히 이들 신도비는 인조반정 이후 남명학파가 와해되어 북인이 거의 사라지고 없는 상황에서, 조선후기까지 북인임을 자처했던 집안에 의해 세워진 비석이라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가 크다.

 

 

 


합천구평윤씨신도비

 


합천구평윤씨신도비

 


합천구평윤씨신도비
 

합천구평윤씨신도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