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경남문화재자료

문화재자료 제296호 (통영시) 통영용화사현왕도(統營龍華寺現王圖)

오늘의 쉼터 2011. 1. 1. 20:51

 

 

종 목 문화재자료  제296호 (통영시)
명 칭 통영용화사현왕도(統營龍華寺現王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탱화/ 기타
수량/면적 1점(點)
지정(등록)일 2001.09.27
소 재 지 경남 통영시  봉평동 404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용화사
관리자(관리단체) 용화사
상 세 문 의 경상남도 통영시 문화관광과 055-650-5363

 

일반설명

 

통영 용화사에 있는 이 현왕도는 비단 바탕에 채색하여 그렸으며, 크기는 가로 83.5㎝, 세로 107.9㎝이다. 현재 판넬 형식으로 보존되어 있는데, 전체적으로 화면의 테두리 외곽은 오염되었고 채색이 바래져 있다. 이 그림의 뒤쪽 상단에는 그림을 걸기 위한 2개의 고리가 있다.

화면은 중앙의 현왕을 중심으로 각각 6명의 인물을 좌우에 배치하고 있다. 현왕은 비교적 자유로운 자세로 의자에 앉아 있고 권속들은 현왕을 향하여 서 있는 형태이다. 색깔은 주색·자색·녹청색·군청색·백색 등이 많이 쓰였고 부분적으로 금칠이 되어 있다. 현왕과 권속 뒤에는 3폭의 병풍을 둘렀는데 병풍내의 그림은 녹청색으로 엷게 채색한 산수가 그려져 있다.

화면 하단의 오른쪽에 쓰여진 기록에 의하면 진해(震海) 염학비구(念學比丘)가 은사와 선망부모를 위하여 조선 고종 12년(1875)에 조성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불교회화사 연구에 중요한 학술적 자료이다.

 

 

 


용화사현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