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경상남도 기념물 제17호 (밀양시) |
---|---|
명 칭 | 천황산표충사(天皇山表忠寺) |
분 류 |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인물기념/ 사우 |
수량/면적 | 일원 |
지정(등록)일 | 1974.12.28 |
소 재 지 | 경남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
시 대 | |
소유자(소유단체) | 국유,사유 |
관리자(관리단체) | 밀양시,표충사 |
상 세 문 의 | 경상남도 밀양시 문화관광과 055-359-5636 |
일반설명
표충사는 신라 무열왕 원년(654) 원효대사가 터를 잡아 세운 죽림사(竹林寺)이다. 흥덕왕 4년(829) 셋째 왕자가 몹쓸 병을 얻어 전국의 명산과 명의를 찾던 중 이곳의 약수를 먹고 병이 낫게 되자 탑을 세우고 약수 이름을 영정약수라 불렀다고 한다. 이때부터 절 이름을 재약산영정사라 부르고 절을 크게 부흥시켰다. 신라 때는 보우국사가, 고려시대 때는 해린국사가 이곳에 머물렀다고 하며 특히 일연이 이곳에서 『삼국유사』를 탈고하였다고 한다. 조선 헌종 5년(1839) 영축산 백하암에 있던 사명대사의 사당을 이곳에 옮기면서 표충사라 하였는데, 이 사당을 절에서 관리하면서 사(祠)자가 사(寺)로 바뀌었다.
사명대사는 서산대사의 제자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평양 탈환의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사신으로 임명되어 여러 차례 적진에 들어가 회담을 했고, 그 성과로 포로로 잡혀간 3003여명의 동포를 데리고 귀국하는 등 외교적 업적을 남겼다. 현재 이곳에는 중앙에 사명대사의 영정이 있고 동쪽에는 그의 스승인 서산대사, 서쪽에는 임진왜란 때 금산싸움에서 전사한 기허당의 영정을 함께 모시고 있다. 주위의 뛰어난 경관뿐 아니라 불교와 유교가 통합되어 있는 한국사찰의 유연성을 보여 주는 곳이다.
천황산표충사 |
'문화재 > 경남기념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남도 기념물 제19호 남해 대국산성 (0) | 2010.10.03 |
---|---|
경상남도 기념물 제18호 남해 금산 <해제> (0) | 2010.10.02 |
경상남도 기념물 제16호 진주 이충무공 진뱀이 유지 (0) | 2010.09.30 |
경상남도 기념물 제15호 창원 웅천읍성지 (0) | 2010.09.30 |
경상남도 기념물 제14호 진주 강민첨 탄생지 (0) | 2010.09.30 |